-
[박상욱의 미래를 묻다] 세계 휩쓰는 K팝, 한국 산업화 성공 공식 따라왔다
━ K팝의 성공과 미래 박상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열네 번째 글을 끝으로 이 코너를 마치며 풍전등화와 같은 국가의 미래를 걱정하며 각자의 안일함을 통탄하는 21세기판 시
-
“지금의 구글·MS·페이스북, 30년 뒤엔 존재하지 않는다” 유료 전용
━ 글로벌 머니가 만난 석학 ■ 모놀로그 「 제러미 리프킨은 기자가 물으면, 질문의 답변만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야기 전후로 방대한 스토리를 풀어놓았습니다. 모든 것
-
‘6차 대멸종’이 오고 있다…더 이상 효율 극대화는 불가능 유료 전용
━ 글로벌 머니가 만난 석학 ■ 프롤로그 「 1980년대 중반 이야기입니다.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는 주변의 되풀이되는 조언을 좇아 대학입시를 마치자마자 책을 하
-
“세상 붕괴 직전…인간, 자연 적응해야”
세계적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지금까지는 인간이 자연의 지배자인 줄 알았다. 말도 안 되는 소리다”라며 “인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보잘것없는 존재”라고 말했다. [
-
세계적 미래학자 "세상은 붕괴 직전...우리 사고 재설정해야"
신간 '회복력 시대' 펴낸 제러미 리프킨. [사진 민음사] "현재의 세상은 붕괴 직전 상태이다.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세상의 성공을 만든 가정들이 바로 인류를 멸종위기까
-
효율성 좇는 ‘진보의 시대’는 끝났다
회복력 시대 회복력 시대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민음사 “진보의 시대 전체를 이끈 시간적 지향의 근본은 ‘효율성’이다. 즉 천연자원의 착취와 소비와 폐기를 최적화하고
-
'효율성' 과 진보의 시대는 끝났다..미래는 '적응성'과 회복력에[BOOK]
책표지 회복력 시대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민음사 "진보의 시대 전체를 이끈 시간적 지향의 근본은 '효율성'이다. 즉 천연자원의 착취와 소비와 폐기를 최적화하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AI인간의 진화, 앵커·은행원·상담원도 척척
━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⑮ 마인즈랩 유태준 대표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가 10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 마인즈랩 사무실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가상 인간들과 포즈
-
[박상욱의 미래를 묻다] 탄소중립 위한 수소경제, 긴 호흡 필요하다
━ 왜 지금, 다시 수소인가 박상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서울 상암동에서 사무용 가구업체를 운영하는 박 사장은 수소전기차를 탄다. 회사 근처에 수소충전소가 있어서 불
-
[강혜련의 휴먼임팩트] 노동의 종말, 대반전을 기대하며
강혜련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기술과 노동은 지난 200년 동안 갈등 관계를 이어왔다.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노동 부담을 줄여주고 여유 시간을 제공했지만 새로운 기술은 생산성을
-
‘고기 먹는 채식주의자’ 200만 명 시대, 채식 인구 10여 년 새 17배 늘었다
━ [SPECIAL REPORT] ‘플렉시테리언’이 뜬다 ‘탄소 중립’이 화두인 시대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말
-
[전문]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환영사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서 기대하는 생태학적 문명의 세계 [전문]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환영사 안녕하십니까. 이 시대의 화두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제로 한 뜻 깊은 토
-
[염재호 칼럼] 아토피 정치와 공감의 시대
염재호 고려대 명예교수·전 총장 지금 우리 정치는 심각한 아토피 병에 걸려있다. 면역력이 결핍되어 아토피 병에 걸리면 아주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가려움증을 참지 못해
-
[책꽂이] 하룻밤에 읽는 영국사 外
하룻밤에 읽는 영국사 하룻밤에 읽는 영국사(안병억 지음, 페이퍼로드)=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부터 브렉시트와 코로나19가 등장하는 오늘날까지 영국의 역사를 다룬다. 역사의 밝은 면
-
[월간중앙] ‘쩐의 전쟁’에 한국이 취했다···정치권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
긴급재난지원금 효과 맛본 정치권 대책 없이 ‘베팅 경쟁’... 단기적 증세 명분과 표심 확보 수단 되면 갈등만 깊어져 기본소득 논쟁에 불이 붙었다. 논쟁은 거스를 수 없는 대
-
한국판 뉴딜 포함된 그린 뉴딜, 그 핵심인 ‘그린리모델링’ 뜬다
한국 외국어대학교 도서관의 그린리모델링 전 전경. 한국 외국어대학교 도서관의 그린리모델링 후 전경. 단열보강 및 창호교체, 고효율 냉,난방기 및 강제환기장치와 태양광패널 등을 적
-
[임혁백의 퍼스펙티브] 격해지는 미·중 경쟁, 중국 의존 줄이고 교역 분산해야
━ 코로나19 이후의 세계 질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격화하며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글로벌 리더십이 실종됐다. 중국이 코로나19 팬데믹
-
[리셋 코리아] 그린 뉴딜 성공하려면 다음 세대 위해 기득권 절제해야
김상협 KAIST 글로벌전략연구소 지속발전센터장전 청와대 녹색성장기획관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판 뉴딜에 ‘그린 뉴딜’ 추가 방침을 밝힌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무엇을, 왜,
-
[책꽂이] 글로벌 그린 뉴딜 外
글로벌 그린 뉴딜 글로벌 그린 뉴딜(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민음사)=『소유의 종말』 『노동의 종말』 등에서 선보였던 미래상에 대한 관심을 환경 문제에 쏟았다. 193
-
"운전사도 노동자다" 미국, 우버 노동자 보호법 제정
“말이 좋아 ‘공유경제’지, 사실은 ‘찌꺼기(scraps)를 나누는 경제’가 아닌가?” 전 미국 노동부 장관인 로버트 라이시 UC버클리대 교수는 2015년 차량 공유업체 우버
-
SK, 차세대 먹거리는 인공지능과 에너지...나흘간 이천포럼 열어
최태원 SK회장(왼쪽)이 19 일 오전 서울 광장동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19 이천포럼 개막식에 참석해 소개 영상을 보고 있다. [사진 SK] SK그룹이 주최하는 20
-
[이현상 논설위원이 간다] ‘탄소 0’ 수소경제, 원자력 없이 가능할까
━ 정부의 ‘수소 로드맵’ 현실성 있나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를 찾은 관람객들이 현대자동차 부스에서 수소 연료탱크와 연료
-
[분수대] 눈치와 공감 능력
이동현 산업1팀 차장대우 악의를 갖고 한 말이라 생각하진 않는다. 영어권 사람에게 한국인의 이름은 발음하기 어렵다. 여자 골프에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생각은 자유다. 하지만
-
[최준호의 사이언스&] 문재인 정부의 수소경제, 꿈일까 현실일까
수소연료에는 석탄·석유·천연가스와 달리 탄소 원자는 전혀 포함돼 있지 않다. 『수소 경제』 저자 제러미 리프킨은 ’수소가 미래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등장한다는 것은 인류 역사를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