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중권 칼럼] 굴욕 외교의 수사학
진중권 광운대 교수 WBC 야구 한일전 결과보다 참혹했다. 아낌없이 나눠주고 받아온 거라곤 달랑 ‘오므라이스’ 한 그릇. 외무부 장관은 ‘우리가 물컵의 반을 채웠으니 일본이 나머
-
시체관극? 엄숙주의는 시대착오, 극장문 하루종일 열어놔야
━ [유주현의 비욘드 스테이지] 안호상 세종문화회관 사장 서울시무용단·서울시오페라단·서울시뮤지컬단…. 이런 단체의 공연을 본 적 있는 서울시민이 얼마나 될까. 창립 45주
-
초상권 덕에 친해진 백남준, 장례식까지 앵글에 담았죠
━ 1세대 사진작가 이은주 지난달 15일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제6전시실 백남준 특별전에서 백남준 예술가의 생전 모습을 사진 찍어온 이은주 작가가 그동안의
-
광주비엔날레 이숙경 감독 “테이트 모던서 쌓은 경험 다 담겠다”
이숙경 테이트 모던 미술관 수석 큐레이터가 예술감독을 맡은 제14회 광주비엔날레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영국계 가나 작가 래리 아치암퐁(38)의 영상작품 ‘성유물함 2’의 한 장
-
"테이트 모던에서 쌓은 역량, 광주비엔날레에서 펼치겠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은 이숙경 테이트 모던 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사진 광주비엔날레] 아시아 최대 현대미술 축제로 꼽히는 광주비엔날레가 내년 4월 7일 개막을 앞
-
[이달의 예술] 디지털 시대에 더 빛나는 드로잉
이주현 미술사학자·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드로잉을 간단히 표면에 ‘선을 그리는 행위’라 정의할 때, 이는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가 말해 주듯 인간의 가장 원초적 표현 행위이다.
-
[문소영의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 대척점에 선 ‘탑건:매버릭’과 ‘러브,데스+로봇’의 공존
━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 영화의 미래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국내 500만 관객 고지를 막 넘어선 영화 ‘탑건: 매버릭’에는 ‘뮤지엄 피스(museum pie
-
광대와 나란히 앉은 최태원…"1빠로 봤다" SNS에 올린 전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포도뮤지엄의 두번째 기획전시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를 관람했다고 밝혔다. 포도뮤지엄은 최 회장의 동거인인 김희영 씨가 총괄디렉터로 있
-
[문소영의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 반지성주의, 민주주의에 대한 착각에서 나온다
━ 지성 혐오의 배경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1년 반 전에 모 방송PD가 주요 일간지에 쓴 칼럼이 물의를 일으켰다. 그의 양친이 부부싸움을 할 때 책 안 읽는 부
-
존 레넌 미워한 아들, ‘이매진’ 처음 불렀다
줄리언 레넌이 아버지 존 레넌이 작사·작곡한 ‘이매진’을 부르고 있다. [유튜브 캡처] 존 레넌의 아들 줄리언 레넌(59)이 지난 8일(현지시간) 유튜브에 아버지의 대표곡 ‘이매
-
부친 미웠던 존 레넌 아들, 우크라 위해 처음 '이매진' 불렀다
2019년 9월 모나코의 몬테카를로 글로벌 오션 갈라에 참석한 줄리언 레넌. 로이터=연합뉴스 “모든 사람이 평화롭게 사는 걸 상상해요. 당신은 내가 몽상가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
[책꽂이]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 논리 外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 논리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자본주의 문화 논리(프레드릭 제임슨 지음, 임경규 옮김, 문학과지성사)=마르크스주의 문화이론가인 저자의 기
-
제 얼굴을 되찾는 피카소 ‘우는 여자’
에르메스 수첩의 비밀 에르메스 수첩의 비밀 브리지트 벤케문 지음 윤진 옮김 복복서가 남편이 아끼던 에르메스 수첩을 잃어버렸다. 더는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원의 말에 이베이에서
-
피카소의 ‘우는 여자’는 웃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했다[BOOK]
책표지 에르메스 수첩의 비밀 브리지트 벤케문 지음 윤진 옮김 복복서가 남편이 아끼던 에르메스 수첩을 잃어버렸다. 더는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원의 말에 이베이에서 좀 더
-
‘펀 팰리스’로 거듭날 발전소…“문화적 촉매제 공간 될 것”
━ 당인리 문화발전소 설계한 건축가 조민석 서울 마포구 당인리 문화발전소 모형 앞에 선 건축가 조민석 매스스터디스 대표. 1970년대 지어져 수명이 다한 서울화력 4호기와
-
[이달의 예술] 버려진 것들의 진실
이주현 미술사학자·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21세기 지구화 시대를 맞아 중국 현대미술은 비엔날레와 미술시장을 휩쓸며 국제미술계에 안착한 듯하다. 작품에 대한 중국 정부의 검열은 여
-
테니스 개막식 참석한 펑솨이…'실종' 의혹만 더 키운 그 영상
21일 오전 베이징테니스센터에서 열린 주니어대회 개막식에 참석한 펑솨이 모습을 공개한 후시진 중국 환구시보 편집인의 트위터. 왼쪽 두번째 운동복 차림 여성이 펑솨이. [트위터캡처
-
구순의 화가 박서보 "마음이 병든 시대, 치유의 예술이 답이다"
박서보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삼청동 국제갤러리 전시장. [사진 국제갤러리] 박서보 개인전 전시장 현장. [사진 국제갤러리] 박서보, 묘법, 2012, 한지에 혼합재료, 13
-
[문소영의 영감의 원천] ‘괴작’ 조롱받던 독학 화가, 피카소의 영웅 되다
━ [영감의 원천] 앙리 루소의 정글 그림 1 앙리 루소의 ‘꿈’(1910), 캔버스에 유채, 204.5x298.5㎝. [사진 뉴욕 현대미술관 MoMA] “우리는 이국적이
-
와인 기사 작위 받은 ‘물방울 선생’ 양고기 요리도 척척
━ [예술가의 한끼] 김창열 1990년대 스튜디오에서 작업 중인 화가 김창열. [사진 갤러리현대] 파리 뤽상부르공원 근처, 이름 대신 물방울을 그린 문패가 달린 한 아파트
-
조각가 심문섭, 통영선 안 먹던 멍게·해삼 서울 와 즐겨
━ 예술가의 한끼 경남 통영 출신 조각가 심문섭. [사진 심문섭] 통영의 봄은 살이 막 여물어지기 시작하는 남해의 도다리와 해풍을 뚫고 고개를 내민 어린 쑥으로 만든 도다
-
[문소영의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 ‘달항아리’는 철학과 감성 결합한 최고의 브랜딩 사례
━ 전통 아이콘 형성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에 새로 나타난 달항아리 공간. [연합뉴스] 달항아리는 원래 ‘달항아리’가 아니었다. 조선 후기부터 만들어졌지만 ‘달항아리’라는
-
박서보, 최종태, 김구림...거장들의 미술관 줄줄이 건립 준비
서울 구기동에 지어질 박서보 단색화 미술관 이미지. [사진 가나아트재단] 단색화의 기수 박서보(90), 조각계의 거장 최종태(89), 한국 전위예술의 선구자 김구림(85) 등 한
-
[삶의 향기] 구체적 메시지를 자제한 ‘기생충’
전상직 서울대 음대 교수 언제든 짬만 있다면 여유 있게 영화를 찾아볼 수 있는 유료방송 덕에 늦게나마 ‘기생충’을 보았다. 사실 제목부터 편치 않았기에, 더욱이 누구나 익히 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