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소재 금융기관에 외환시장 개방…마감시간 새벽 2시까지 연장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시스 앞으로 해외에 있는 외국 금융기관도 국내 외환시장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외환시장 마감 시간은 현
-
한총리 "한국 물가, 나름대로 좀 선방하고 있어"
한덕수 국무총리가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뉴스1 한덕수 국무총리는 5일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6%로 두 달 연속
-
원화값 하락에 무역적자 덮쳐, 비상 금통위라도 열어야
━ [위기의 금융시장 긴급 점검] 외환시장 4대 이슈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미국발(發) 긴축 공포가 한국을 덮치고 있다. 원화 가치는 달러당 1400원 선 아래로 떨어
-
김대종 세종대 교수 “환율1,350 급등, 국가부도 방어막 한미·한일 통화스와프 체결하라”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가“환율 1,350원 급등과 외환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윤석열 정부의 한미·한일 통화스와프 체결이 가장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
[서경호의 시선] 통(通)하였느냐, 이창용 스타일
서경호 논설위원 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사상 처음 네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렸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예고한 대로 기준금리를 연 2.50%로 0.25%포인트 인상
-
[사설] 넉 달 연속 무역적자, 수출 전선 이상 없나
우리나라의 7월 무역수지가 46억7천만 달러(약 6조900억원) 적자를 보여 넉달 연속 적자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넉 달 연속 무역수지 적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
-
[고현곤 칼럼] 위기감 느껴지지 않는 윤석열 정부
고현곤 논설주간 겸 신문제작총괄 경제 위기가 진짜 오는 건지 궁금하다면 주목할 세 가지 경제지표가 있다. 첫째로 원·엔 환율이다. 원·달러 환율 못지않게 중요한 가늠자다. 미국이
-
“외환보유액 급감 우려스러워, 당국 개입은 위기로 비칠수도”
━ [SUNDAY 인터뷰] 김정식 연세대 명예교수 “물가 잡으려다 외환위기 오면, 경제를 잃습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전 한국경제학회장)는 최근 원·달
-
넉달새 235억 달러 급감, 외환보유액 괜찮나
1달러 값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1300원선을 오르내리자, 외환보유액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한·미 금리 역전이 눈앞에
-
3조 달러 넘는 中도 기준 미달…줄어든 외환보유액, 위기 신호?
경제에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달러값은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1300원 선에 안착할 모양새다. 비상시 사용하기 위해 나라 곳간에 채워둔 외환보유액도 세계 금융
-
6월 외환보유액 94억달러 감소,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
한국 외환보유액이 한 달 새 94억3000만 달러 줄었다. 감소 폭으로는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컸다. 달러 강세로 다른 통화 보유 자산의 평가액이 줄어든 데다 원화가치 하락(
-
2001·2008 붕괴 다 맞춘 韓닥터둠 "집도 위험...내년 진짜위기"
━ [SUNDAY 인터뷰] ‘한국의 닥터둠’ 김영익 서강대 교수 김영익 교수는 내년 심각한 경기침체로 자산 가치와 물가상승률이 떨어지고, 금리를 내려야 하는 상황이 올 것
-
“내년엔 주택시장 거품 꺼지고, 공황 수준 침체 불가피”
━ [SUNDAY 인터뷰] ‘한국의 닥터둠’ 김영익 서강대 교수 김영익 교수는 내년 심각한 경기침체로 자산 가치와 물가상승률이 떨어지고, 금리를 내려야 하는 상황이 올 것
-
김대종 세종대 교수 “한국 기축통화 논란, 외환보유고 두 배 확대하라"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가 “기축통화 논란과 관련하여, 한국의 외환보유고를 두 배 늘이고, 국제금융 경쟁력을 올리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외환보유고는 한국
-
[신년 인터뷰] 이창용 IMF 국장의 쓴소리
━ "재정 여력 있으니 더 써도 된다? 부작용 간과한 무책임한 주장" * 이 기사는 1월6일자 중앙일보 1, 8면에 게재된 인터뷰 기사의 전문(全文)입니다.
-
[신년 인터뷰] 이창용 IMF 국장 "재정 여력 있으니 더 써도 된다? 부작용 간과한 무책임한 주장"
이창용 IMF 아태국장 “2040년보다 더 빠른 시점에 국가부채비율이 100%를 넘어설 수도 있다. 재정 여력이 있으니 더 써도 된다는 주장은 앞으로 몇 년 뒤에는 하기 힘들 것
-
[김세직의 이코노믹스] 실물 경제 못 살리면 어떤 경기부양도 소용 없다
━ 25년 전 IMF 사태의 교훈 김세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올해는 우리 국민이 구제금융 사태를 겪은 지 25년째 되는 해다. 벌써 아득한 일이지만 ‘위기의 추억’이 여
-
바이든 ‘약한 달러’ 카드로 미국 제조업 살리기?
“미국을 제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 미국의 전·현직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와 조 바이든이 공통으로 내세운 목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기는 관세였다. 중국산 수입품 등에 ‘관
-
'제2의 플라자합의'까지?…美, 제조업 살리러 ‘약달러’ 만지작
「 “미국을 제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 」 지난해 9월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가 미시간주 전미자동차노조를 방문해 ‘미국산 구매’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AP] 도널
-
외환보유액 4431억달러로 사상최대...약달러로 신기록 행진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431억달러를 기록했다. 6개월 연속 사상 최대치를 돌파했다. 연합뉴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지난달 또다시 사상 최대치
-
코로나 연말까지 이어지면…기업 절반, 돈 벌어 이자도 못 갚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연말까지 지속할 경우 올해 국내 기업 50% 이상의 이자보상배율이 1에도 못 미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은
-
나라빚 1인당 1400만원인데…또 빚내서 지원금 준다는 여야
“나랏빚을 내면 혜택을 받는 현세대는 당장 나쁠 게 없다. 피부에 와 닿지도 않는다. 정부와 정치권이 나랏돈을 마구 쓰고픈 유혹에 빠지는 이유다”(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
韓美 통화스와프로 한숨 돌렸지만···"달러 상승 압력은 불가피"
19일 한국과 미국이 600억 달러(한화 75조5580억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며 금융시장 불안 심리는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관측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체결한
-
원화값 1300원도 뚫리나…"한·미 통화스와프 체결돼야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촉발된 경기침체 우려는 19일 한국 외환시장에도 직격탄을 날렸다. 원화값은 장중 한때 달러당 1296원까지 추락했다. 정부가 전날 꺼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