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훈 칼럼] 누리호와 G8: 국가의 실력, 위신, 그리고 위험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1. 누리호가 푸른 하늘로 시원하게 솟구치면서 눌려 있던 우리의 마음도 함께 날아올랐다. 세계 7번째의 독자 발사체 국가라는 긍지는 그동안 북
-
[장훈 칼럼] 우리는 멜로니의 함정을 피할 수 있을까?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이탈리아하면 먼저 무엇이 떠오르시는지? 마늘과 올리브가 듬뿍 들어간 이탈리아 음식? 정열적인 사람들? 피렌체? 우리네 일상적 관심을 넘어서기
-
[장훈 칼럼] 무한교착의 정치와 당선인의 상시 캠페인 통치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아름다운 허니문이 이어지리라고 기대하지는 않았다. 부족전쟁처럼 치러진 선거 이후 정치 휴전이 얼마나 지속될 지가 관심거리였다. 역시나 거대 야당
-
[장훈 칼럼] 후보들, 시대정신에서 밈으로 이동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칼럼 제목에서 ‘시대정신’에 눈길이 먼저 가는 독자들은 아마도 필자와 같은 시대를 살아오셨을 듯하다. 정치가 시대정신을 담아야 한다고 믿던 세대
-
[이현상의 퍼스펙티브] 메아리 없는 시민 불만이 포퓰리즘에는 기회였다
━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의 정치학 이현상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이재명 경기지사의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 기사 댓글 중 눈에 띄는 게 있었다. “국민연금에 손해를 끼치는 행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코로나 위기, 더 많은 민주주의로 넘어서야
━ 2020년 코로나의 세계 지난 4월 헝가리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이동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무장한 군인들이 순찰을 도는 모습. [신화=연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바이든 행정부는 오바마 2.0 아니다
━ 바이든 시대와 세계 현직 부통령 시절이던 2015년 10월, 바이든 당선인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장남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고통스러워하던 끝에 불출마의 길을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트럼프 현상은 선거 이후에도 계속될 것인가?
━ 2020년 미국 대선 트럼프 대통령(공화)과 민주당의 조 바이든 대선 후보가 맞붙은 첫 토론이 지난달 29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에서 열렸다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공장형 대학에서 지식 큐레이팅 대학으로
━ 코로나 시대의 대학 칼럼니스트의 눈 메인 코로나 2학기가 시작되는 오늘 아침, 필자의 머릿속을 맴도는 숫자는 7, 30, 70이다. 지난봄 코로나가 온 세계를 덮치면서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딥 페이크가 트럼프 대통령을 구할 수 있을까?
━ 미국 대선과 딥 페이크 오바마 전 대통령을 소재로 한 딥 페이크 영상. 진짜처럼 보이게 하는 가짜 동영상 기술의 발전이 선거 결과를 왜곡하고 국가 안보에 영향을 줄 수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오웰의 『1984 』로 보는 코로나 시대의 위험과 희망
━ 코로나와 빅브라더, 양극화 1984 영화 이미지 [Imdb] 2016년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 고전 소설 하나가 새삼 주목받게 되었다. 영국 작가 조지 오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트럼프식 탈진실 정치와 코로나 위기
━ 코로나 전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28일 유세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톤에 도착한 모습. [AP=연합뉴스] 『로빈슨 크루소』의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감시 권위주의, 서구 포퓰리즘의 표류, 그리고 한국모델
━ 코로나전쟁과 국가의 변신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한 직후인 지난 1월 중국 상하이. 한 남성이 변형된 중국 공산당의 상징 그림이 그려진 벽화 앞을 마스크를 쓴 채 지나가고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데이터 홍수시대에 투명성도, 개방성도 없는 정당 공천
━ 빅데이터·플랫폼 시대의 정당 공천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오성운동’ 지지자들이 지난해 8월 콘테 총리가 연설하는 의회 밖에서 시위하고 있다. [AP=연합뉴스]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알고리즘 의존하는 일상이 이념 양극화 불러
━ 알고리즘 세상과 정치 양극화 그래픽=최종윤 yanjj@joongang.co.kr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싸우는 방역 당국의 노력을 지켜보다 보니, 우리가 맞서 싸우는 바
-
[중앙시평] 노란조끼 그리고 쇼윈도 밖의 분노
장 훈 본사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요즘 프랑스를 넘어 서유럽으로 번지고 있는 노란조끼 운동은 우리가 사는 세계가 분노 2.0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을 알리는 경보음이다. 팍팍해
-
[장훈의 퍼스펙티브] 우왕좌왕 한국당의 복지정책 … 공존·연대의 리더십 절실
━ 보수와 복지 차가운 겨울로 가는 길목, 3평 안의 죽음과 3조원의 부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우리의 분노를 자극한다. 종로 고시원 3평짜리 쪽방 안 사소한 화재가 최약자
-
[중앙시평] 4·27 판문점, 그리고 그후
장 훈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전쟁과 평화를 가르는 극적인 만남으로서의 정상회담에 대해 깊은 통찰을 많이 남긴 이들은 영국인이었다. 지도자들이 국가의 생존을 걸고 벌이는
-
[중앙시평] 평창올림픽이 남긴 숙제들
장 훈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 요즘 청년들의 표현대로 평창올림픽은 한 편의 힙한 드라마다. 땀과 인내로 다져 온 올림픽 스타들은 주경기장에 펄럭이는 국기들만큼이나 다양한
-
[중앙시평] 직접 민주주의가 아니라 투 트랙 민주주의!
장 훈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최악의 위기로 치닫던 미국과 북한의 말 폭탄 대결은 트럼프 대통령의 예기치 않은 실언을 계기로 잦아들고 있다. 북한 미사일 도발에 대해 ‘화염
-
[장훈의 퍼스펙티브] 2030 “트럼프는 싫지만 미국은 좋아”
━ 한국인의 대미 인식 전 세계가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에 대한 비판으로 들끓던 2003년. 한국의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석상에서 이렇게 발언한다. “동맹관계를 존중하고 또 오
-
[장훈의 퍼스펙티브] 한국에는 이제 제왕적 대통령이 없다
━ 개헌 논의의 함정 우리가 30년째 운영하고 있는 1987년 헌법은 처음부터 하나의 미완성된 헌법으로 취급받아 왔다. 출범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부터 내각제 개헌론이 노태우
-
[퍼스펙티브] 마크롱은 못 미덥고 르펜은 싫어 … 진퇴양난
━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 D-3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들이 매주 목요일 ‘퍼스펙티브(Perspective)’란 이름으로 대형 칼럼을 싣습니다. 사내의 김영희·박보균·김진국·배명복·
-
[중앙시평] 대선후보들이 잊고 있는 것
장 훈중앙일보 칼럼니스트·중앙대 교수대선후보들의 윤곽이 구체화되면서 무대 위의 열기는 연일 달아오르고 있지만, 무대 밖 시민들에게도 뜨거운 관심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고 하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