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꺽꿀꺽 캬~' 밤 9시에 들린 소리…전문가들 "이게 문제"
오비맥주가 최근 내놓은 방송 광고 '이제 만납시다'. [사진 오비맥주] 술 광고의 "카~~"와 같은 감탄사가 음주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런 소리가 안 나게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
-
"거리 나앉게 생겼다" 절규…되레 '노마스크'가 무섭다는 그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첫날인 20일 오전 서울 지하철 신도림역에서 시민 대부분이 마스크를 쓴 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제 마스크 완전 해제라니, 거리에 나앉게
-
2만대 vs 131만대 …'테슬라 쇼크'에 칼 가는 세계 1위 도요타
김현예 도쿄 특파원 ‘전기차 퍼스트’ 다음 달 1일 세계 자동차 회사 1위인 일본 도요타의 제12대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로 정식 취임하는 사토 고지(佐藤恒治·53)가 지난
-
교통안전공단, 자율주행차 상용화 위한 준비 작업 ‘착착’
정부는 미래 모빌리티 육성을 위한 국정과제의 중점 추진을 위해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을 마련한 데 이어 규제 개선 및 실증을 통한 혁신 성과 창출, 법제도 기반 강화, 인프라 확충
-
"배당 자제" 요구에도…SC·씨티, 2300억원 해외 본사 배당
SC제일은행ㆍ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이 지난해 실적을 기반으로 2300억원이 넘는 돈을 본국에 송금하기로 했다. 금융권에 ‘돈 잔치’ 비판이 제기되고, 금융당국도 과도한 배당
-
與 "주 69시간에 오해 있다" MZ "과도한 근로는 악습일 뿐"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임이자 의원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향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주69
-
서울시민감시단, 지난해 성매매 광고 14만건 적발…‘역대 최대’
2023년 서울시 인터넷 시민감시단 모집 홍보 포스터.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해 ‘서울시 인터넷 시민감시단’ 활동으로 총 14만1313건의 성매매 알선 광고를 적발했다고
-
[시론] 신규 반도체 단지, 저출산 난제 풀 수 있어
송헌재 서울시립대 경제학부 교수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8명이라는 충격적인 발표가 있었다.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체출산율(2.1명)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
-
노조 27% 아직까지 '회계제출 거부'…"과태료 부과 돌입"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화상 국무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의 모두 발언을 듣고 있다. 뉴스1 노동조합 회계 투명성 강화를 추진하
-
로봇, 그게 돈이 되냐고? 이재용도 끌린 미래 세계 유료 전용
Today’s Topic, 로봇, 그기 돈이 됩니까 언제적 로봇인가 싶은데, 언젠가부터 기업들이 다시 로봇을 외친다. 2017년부터 로봇 기업을 하나씩 사들인 LG전자에
-
석양보며 곤돌라 타고 수영도…'걸어서 10분' 한강이 달라진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강에 설치할 예정인 곤돌라. [사진 서울시] 한강이 또 한 번 바뀐다. 곤돌라가 석양으로 물든 강을 가로지르고, 수상 산책로가 놓인다. 또 한
-
내 이자가 더 비싸네?…집에서 '대출 갈아타기' 가능해진다
국내 한 시중은행에서 신용대출로 7000만원을 빌린 한모(34)씨는 최근 같은 은행에서 대출 만기를 1년 더 연장했다. 그 과정에서 4%대였던 금리도 6%대로 올랐다. 한씨는 “
-
“코인 죽어도, 기술 안 죽는다” 카카오 뗀 클레이튼의 확신 유료 전용
‘카카오의 암호화폐 사업’.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이 2019년 이런 이름표를 달고 서비스를 시작한 지 올해로 5년째. 그간 다양한 프로젝트가 클레이튼과 연을 맺었다. 현
-
중대재해법에도 늘어난 산재 사망…“처벌보다 예방 초점”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위험성평가’ 제도를 오는 2025년까지 전 사업장에 의무화하기로 했다. 노사가 사전에 사업장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게 골자다.
-
배달음식 광고비·악성리뷰 어떻게?…플랫폼·음식점 세세히 계약
배달 플랫폼과 음식점 간 계약서에 수수료와 광고비, 계약 변경ㆍ해지 사유, 검색 노출 기준 같은 세세한 내용이 담긴다. 음식점과 고객 사이 분쟁이 생기면 배달 플랫폼이 나서고,
-
중대재해법에도 늘어난 산재사망…"처벌보단 사전예방 강화"
건설현장 모습. 기사 내용과 무관한 사진. 연합뉴스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위험성평가’ 제도를 오는 2025년까지 전 사업장에 의무화하기로 했다. 노사가 사전에 사
-
[Q&A]근로시간제 개편, 기존 주52시간에서 어떻게 달라지나?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정부가 6일 현행 ‘주52시간제’를 유연하게 개
-
2030 직장인 "주 4일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고 싶다"
서울 종로 시내에 직장인 등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20·30대 직장인의 절반 이상은 현행 근로시간 제도가 시대 흐름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
美, 中기업 무더기로 ‘수출제재’ 때렸다…사이버안보 전략도 발표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들을 무더기로 수출 제재 명단에 올렸다. 중국군의 현대화를 지원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는 이유를 들었다. 미국이 중국에 '러시아를 지원하는 레드라인
-
‘입국 휴대품 신고서’ 안 내도 OK…로봇도 배달하고 순찰
인천공항으로 입국시 세관을 통과하는 모습. [사진 인천세관] 오는 7월부턴 국내로 입국할 때 무조건 써야 했던 ‘여행자 휴대품 신고서’를 내지 않아도 된다. 신고할 물품이 있는
-
[세컷칼럼] 위기 때마다 은행이 문제였다
1997년 외환위기 과정을 요약하면 이렇다. 기업이 빚을 내 사업을 무리하게 확장했다. 은행과 종합금융회사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외화(주로 일본자금)를 빌려 그 돈을 댔다. 금융의
-
'입국 휴대품 신고서' 안 내도 OK…로봇이 배달하고 순찰 돈다
인천공항으로 입국시 세관을 통과하는 모습. 사진 인천세관 오는 7월부터 국내로 입국할 때 무조건 써야 했던 '여행자 휴대품 신고서'를 내지 않아도 된다. 입국자 편의를 위해 신고
-
[고현곤 칼럼] 위기 때마다 은행이 문제였다
고현곤 편집인 1997년 외환위기 과정을 요약하면 이렇다. 기업이 빚을 내 사업을 무리하게 확장했다. 은행과 종합금융회사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외화(주로 일본자금)를 빌려 그 돈을
-
‘적과의 동침’ 그 후 2년…LINE·배민, 오겡키데스카 유료 전용
Today’s Topic돈 벌러 외국 간 LINE과 배민, 오겡키데스카 2년 전인 2021년 3월, 한국 IT 업계에 두 개의 커다란 출범이 있었다. 일본에서 LINE(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