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서울대, 2학기부터 '챗GPT' 활용한 반도체 설계 강의
서울대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가 올해 2학기에 ‘챗GPT를 이용한 AI반도체 설계’ 강의를 새로 열기로 했다. 30일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학부 내에선 이미 강의계획서 초안
-
[라이프 트렌드&] 스마트팜 기술과 인공지능 시대…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필요하다
기고 안호근 한국농업기술진흥 원장 2016년 3월 AI 분야에 ‘세기의 승부’라고 불리는 사건이 있었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AlphaGO)가 마주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인
-
고객 중심 경영 앞장서고, 친환경차 부품 국산화…제주개발공사·코리아에프티 8연속 수상 영예
━ THE CREATIVE 2023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각 분야에서 창조적인 경영 활동과 성과를 이뤄낸 우수한 경영·브랜드 사례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창조경영
-
'52억 땅부자' 질병청장, 주식은 0개…임명때 남편 몽땅 팔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이 22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 19 대응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지영미 질병관리청장과 배우자 보유 주식은 ‘0주’로 나타났
-
[팩플] 엔씨, AI 10년 투자하더니…윤송이의 무기 ‘디지털 김택진’
2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에서 엔씨소프트가 제작한 '디지털 김택진'이 공개됐다.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의 10년 인공지
-
"야설 작가 굶어죽겠네"…챗GPT 탈옥시켜 음란채팅하는 그들
“GPT-4는 XX소리의 혁명을 만들 것이다” “오늘 뽑은 간단한 △△ 장면” “제작자 의도에 맞게 ○○○ 조교하기” 지난 20일 오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런 제목의 ‘
-
[장강명의 마음읽기] AI 시대 소설의 미래, 우울한 버전으로
장강명 소설가 ‘우울증 환자들이 우울증에 걸리지 않은 사람보다 주변 세상을 더 정확하게 본다’는 말을 어딘가에서 읽은 적이 있는데,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았다. 챗GPT에게 물어
-
[박경렬의 미래를 묻다] 우리는 AI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박경렬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산이 바다를 사랑할 리는 없다. 그래도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는 이육사의 시 ‘광야
-
세계적 언어학자 촘스키 쓴소리 "챗GPT 사이비과학일 뿐"
챗GPT 등 머신러닝에 기반한 인공지능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인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94)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 겸 매사추세츠공대(MIT) 명예교수가 정반대
-
국민대, 입학식서 인공지능 학습 윤리강령 선포
국민대학교는 2일 2023학년도 입학식에 맞추어 새로이 대학의 구성원이 된 새내기들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교수학습 활용과 관련해 10개 항목의 윤리 강령을 선포한다.
-
[현장에서] 구글·빙 이어 네이버도… ‘그럴듯한 거짓말’ 어쩌나
27일 네이버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에서 공개된 서치GPT 예시. 사진 네이버 “일본 여행 가려고 하는데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와 입국 정보 등록하는 방법 알려줘.” “일본
-
[팩플] 한국어 만렙에 최근 정보까지?…네이버 서치GPT 통할까
네이버가 상반기 출시를 예고한 ‘서치GPT’가 베일을 벗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검색엔진 빙에 적용하면서 검색의 패러다임이 키워드에서 대화
-
메타도 참전, 격해지는 초거대 AI 경쟁
메타가 초거대 언어 모델(LLM)인 ‘라마(LLaMA)’를 출시했다. 빅테크가 이끄는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 대열에 메타도 합류한 모양새다. 불붙는 경쟁 뒤에는 “비용 부담
-
[팩플] 메타도 한다, 초거대AI…실적‧윤리 고민에도 공개한 이유
REUTERS=연합뉴스 메타가 초거대 언어 모델(LLM)인 ‘라마(LLaMA)’를 출시했다. 빅테크들이 이끌고 있는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 대열에 메타도 합류한 모양새다.
-
뮌헨서 만나는 韓ㆍ日 외교수장…강제징용 막판 협의 주목
박진 외교부 장관이 17~19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 안보회의를 계기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상과 회담할 전망이다.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한 '막바지 협
-
[강주안의 직격인터뷰] “일의 중간 단계선 AI 막강하지만 시작과 끝은 사람 몫”
━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강주안 논설위원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가 연일 화제다. 세상에 나온 지 두 달 만에 월간 사용자(MAU) 1억명을 넘어선 데 이어
-
[세컷칼럼] 尹 "훌륭하더라"…그 말대로, 챗GPT에 신년사 맡기니
■ 「 MBA 기말고사, 의사시험도 통과 기계의 인간화 vs 인간의 기계화 인간역량 키워가는 데 활용해야 」 ‘챗GPT’의 열풍이 거세다. 일론 머스크의 ‘오픈AI’
-
“러 침략” 말했다 증발… 중국판 ‘챗GPT’ 사흘만에 서비스 종료
2016년 3월 15일 구글 알파고와 최종 경기에서 첫 수를 놓고 있는 이세돌 9단. 한국기원 세계 최정상급 프로기사인 이세돌과 대국을 펼쳤던 AI ‘알파고’를 기억하는가. 아무
-
[리셋 코리아] AI의 안착, 투명한 운용에 달렸다
오혜연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리셋 코리아 자문위원 미국 기업 오픈AI가 지난해 11월 내놓은 챗GPT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질문에 답하거나, 문장을 생성하는 등
-
尹 "훌륭하더라"…그 말대로 해봤다, 챗GPT에 신년사 맡기니 [윤석만의 시선]
윤석만 논설위원 ‘챗GPT’의 열풍이 거세다. 일론 머스크의 ‘오픈AI’가 석 달 전 공개한 챗GPT는 자연어 처리 기술로 만든 대화형 AI다. 두 달 만에 월간 사용자(MAU)
-
"검색은 추억서도 사라질 것" 벌써 1억명 삶 바꾼 챗GPT 미래 [김필규의 아하, 아메리카]
전기나 심지어 불보다도 인류에게 더 심오할 것. 김필규 워싱턴 특파원 2018년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구글의 최고경영자(CEO) 선다 피차이가 인공지능(AI)에 대해 내놓은
-
AI법은 손도 못댄 정치권…'챗GPT' 끌고와 "연설문 써달라"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인공지능(AI) 채팅로봇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를 두고 정치권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안철수 국민
-
[AI 예술 시대] “챗GPT는 최첨단 표절시스템”…수퍼 지능 그늘도 짙다
━ [SPECIAL REPORT - AI 예술 시대] 부작용 막을 법·제도 시급 챗GPT를 이용 중인 기기. 챗GPT는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기도 한다. [AP=연합뉴스]
-
숙제·시험에 챗GPT 활용 늘어, 대학들 대응책 마련 부심
━ 김진경의 ‘호이, 채메’ AI 챗봇 표절 지난해 12월 말 대학원 학기말 시험 하루 전날 저녁이었다. 같은 수업을 듣는 이탈리아 출신 학생 R에게 문자메시지가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