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타버스에서 다시 만나는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웰컴 홈: 향연’ 개최
메타라이브 내 전시 사진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원장 김정길, 이하 ‘문예진흥원’) 문화예술본부와 관광본부가 신개념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라이브’에서 대구미술관 카테고리를 통해
-
전시만 50번 열렸다…아트에 진심인 터미널, 복터 유료 전용
서울에 ‘고터’가 있다면, 대전엔 ‘복터’가 있다. ‘고터’는 서울 강남 고속터미널, ‘복터’는 대전시 동구의 대전복합터미널(DTC·Daejeon Termnial City)을 말
-
중앙일보, ‘제3회 중앙회화대전’ 본선 진출작 300점 선정
‘미술은 작품 그 자체만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방향성을 가지고 블라인드 평가로 공정함을 이어가고 있는 '제3회 중앙 회화대전: 2023, 기본의 가치'의 1차 본선 진출작 30
-
[중앙 시조 백일장-5월 수상작] 바닷길 재단사
━ 장원 바닷길 재단사 한승남 바닷길과 맞대어져 항구의 사연 깁는다 양복점 라사 거리 바다 향기 품을 때 옷감에 파도 떠다니듯 스쳐 가는 가윗날 조각난 해풍은 수습
-
“박수근·이중섭보다 천재” 조선 피카소는 왜 잊혀졌나 ③ 유료 전용
요즘 미술 경매 시장에선 김환기 화백 작품이 가장 ‘핫’합니다. 김환기 이전엔 박수근과 이중섭 작품이 잘나갔습니다. 그런데 한때 박수근과 이중섭보다 훨씬 잘나가는 작가가 있었습니
-
야수파 구본웅, 힘찬 운필로 귀기 어린 친구 이상 그려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구본웅이 이상을 그린 ‘친구의 초상’. 1935년, 캔버스에 유채, 62x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1972년 10월에
-
[시(詩)와 사색] 강
강 황인숙 당신이 얼마나 외로운지, 얼마나 괴로운지, 미쳐버리고 싶은지 미쳐지지 않는지 나한테 토로하지 말라 심장의 벌레에 대해 옷장의 나비에 대해 찬장의 거미줄에 대해 터지
-
This Week Chart & Guide
━ 영화 예매 영화 예매 자료=영화진흥위원회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자료=교보문고 ━ 클래식 음반 클래식 음반 자료=벅스 ━ 뮤지컬 예매
-
도쿄서 미술 배운 이완석, 공예 통해 한·일 문화 교류 힘 써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미술활동가 이완석(李完錫, 1915~ 1969)은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도쿄의 대성중학교를 졸업한 후 태평양미술학교에 다녔다. 전공이 디자인이
-
This Week Chart & Guide
━ 영화 예매 영화 예매 자료=영화진흥위원회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자료=교보문고 ━ 클래식 음반 클래식 음반 자료=벅스 ━ 뮤지컬 예매
-
‘조영남은 외계인 아니다’…대구 2곳서 잇단 개인전
조영남은 외계인 아니다 개인전 ‘화수(畵手·화가 겸 가수)’ 조영남씨가 대구의 전시장 두 곳에서 개인전을 연다. 25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대백플라자 특별전시장, 28일부터 다음
-
'조영남은 외계인이 아니다'…그가 겁나는 대구로 간 까닭
그림 그리는 가수 조영남. 서울 청담동 자택의 작업 공간 모습이다. 김경빈 기자 '화수(畵手·화가 겸 가수)' 조영남씨가 대구의 전시장 두 곳에서 동시에 개인전을 연다. 25
-
눈부신 햇살과 바람, 4인의 화가가 캔버스에 담아온 그리스
안창홍 길, 130x130cm, 캔버스에 아크릴, 2022. 사진 나마갤러리 안창홍, 사이프러스 나무들, 80x195cm, 캔버스에 아크릴, 2022. 사진 나마갤러리 지난 6월
-
스벅 이전 국내 유명 커피 브랜드, 다 대구에서 나왔다?
코로나19 1차 대유행 전인 2019년 11월. 커피 원두를 잔뜩 챙겨 든 클라우드 간자 주한 르완다 대사관 1등 참사관 등 외교관 2명이 대구를 찾았다. 르완다산 커피를 ‘
-
'스벅 원두' 르완다서도 온다…'커피 좀 안다'는 이들 모이는 곳[e슐랭 토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1차 대유행 전인 2019년 11월. 커피 원두를 잔뜩 챙겨 든 클라우드 간자 주한 르완다 대사관 1등 참사관 등 르완다 외교관 2명이
-
제주의 구름·꽃·파도…그의 그림에선 바람이 분다
‘바비가 온 정원’, 2021, 194x520㎝. [사진 학고재] ‘그림은 눈으로 보는 것’이란 정의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강요배(70) 화백의 그림을 말할 땐 더욱
-
[부고] 문명의 근원 탐구한 김차섭 화백 별세
김차섭 한국 전위미술에 앞장섰던 김차섭(사진) 화백이 28일 새벽 별세했다. 82세. 서울대 미대 회화과를 졸업한 그의 판화(에칭) 작품은 미국 화단의 주목을 받았다. 작품들은
-
문명의 근원 탐구한 화가 김차섭 별세
생전의 김차섭 화백. 그의 뒤로 자갈을 소재로 한 그의 작품이 보인다. [사진 유족 제공] 문명의 근원을 탐구하며 한국 전위미술에 앞장섰던 김차섭 화백이 28일 새벽 별세했다.
-
격렬하게, 잔잔하게, 부드럽게...자연인 듯, 사람의 마음인 듯
강요배, '바비'가 온 정원', 2021, 캔버스에 아크릴, 194X520cm. [사진 학고재] 강요배, 풍설매, 2022, 캔버스에 아크릴, 2022, 130x162cm. [사
-
살아 꿈틀대는 붓질…그림은 평면이 아니다
미술 전시장에 자주 가는 사람은 안다. 기술이 발달해도 도록이나 디지털 이미지로 본 그림과 전시장에서 직접 본 그림이 같을 수 없다는 것을. 최근 국내외 미술관과 갤러리의 온라인
-
회화는 여전히 강력하다··· 국내 중견작가 절정의 그림들
심문섭, 'The presentation-To the Island'의 일부, 2019, Acrylic on canvas, 162 x 130cm..[사진 가나아트] 심문섭, The
-
[유홍준의 문화의 창] 망우리 별곡
유홍준 본사 칼럼니스트·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망우리 공동묘지가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름만 바꾼 것이 아니라 지난 4월 1일 ‘망우역사문화공간’이라는 멋진
-
겸재·다산·모네 한자리…“이건희가 쓴 국민 미술교과서”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의 ‘수련이 있는 연못’(1917~20). [사진 국립현대미술관·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겸재 정선(1676~1759)의 수묵화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
전시 자체가 하나의 '이건희 미술관'...355점 모두가 '명품'
국립중앙박물관 '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시장에 옛 서적이 즐비하다. 고 이건희 회장의 기록문화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보여준다. [사진 이은주] 고 이건희 회장이 소장품으로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