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판 노예 의사’ 필수과 전공의, 주 80시간 근무 개선해야
━ 러브에이징 “적게 일하고 많이 버세요” 몇 년 전 인기 드라마 주인공의 대사인데 대중적 공감을 얻어 지금까지 덕담처럼 사용된다. 어렵고 고된 일은 타인이, 즐겁
-
[중앙시평] 의과학 정책에 대해 챗GPT는 이렇게 답했다
김명자 한국과총 명예회장·전 환경부장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이라 선언한(2020년 3월 12일) 지 3년 만에 대중교통에서도 마스크를 벗게 됐다. 세계 코로
-
[사랑방] 제16회 아산의학상 시상식
제16회 아산의학상 시상식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21일 제16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왼쪽부터 젊은의학자부문 박세훈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임상의학부문
-
상위권 대학 더 쉽게 가나…"수험생 줄고 정원 늘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해 11월 17일 오전 인천시 미추홀구 25지구 제13시험장이 마련된 선인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고사장을 확인하고 있다. 뉴스1 저출생 등의
-
[소년중앙] “범인은 반드시 흔적을 남긴다” 첨단기술 활용한 과학수사로 사건 해결!
머리카락 한 올, 희미한 지문...현장에 남은 모든 게 과학수사 단서 되죠 DNA 분석으로 장기 미제사건의 범인을 밝혀내는 것부터 다양한 영화‧드라마 덕분에 과학수사는 우리에
-
[건강한 가족] “60세 넘어 무릎 통증 온종일 괴롭다면, 인공관절 수술 고려할 만”
인터뷰 김태균 판교 TK정형외과 원장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건강 백세시대의 복병이다. 체중을 지탱하는 무릎 연골이 모두 닳아 없어지면 뼈와 뼈가 부딪쳐 생기는 통증으로 두 다리로
-
[건강한 가족] 뇌종양, 뇌암이라고 부르지 않는 이유는
전문의 칼럼 윤완수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교수 뇌에 생기는 종양, 즉 뇌종양은 뇌암으로 부르지 않는다. 이유가 있다. 뇌종양의 일반적인 암과 다른 특성 때
-
“네가 뭔 생각하는지 알아”…AI, 결국 두뇌도 읽어내다 유료 전용
이제 AI는 사람 마음을 실제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3일 벤처투자가 시키 첸(Siqi Chen)이 쓴 문장 하나가 커다란 화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 트윗은 며칠 만에 7
-
제38회 국제의료기기 · 병원설비전시회 (KIMES 2023)
국민보건 향상과 의학술 발전 및 의료, 병원 관련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38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3)가 ‘더 나은 삶, 더 나은 미래(Better Lif
-
울먹인 조민 "총장과 각별…표창장 준다길래, 그려러니 했다"
“지금껏 살아오며 유복한 환경 등 (남들과 다른) 혜택을 받고 컸다는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됐습니다. 다만 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살았다는 말을 하고 싶어 법정에 나왔습니다.”
-
[박승우의 미래의학] 의료계의 ‘붉은 여왕 효과’
박승우 성균관 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원장 최근 국내 의료 관련 뉴스는 의사 인력 부족에 따른 비상 상황이 주를 이룬다. 이런저런 대책도 제시되고 있다. 의료계에선 예전부터 SO
-
[비즈 칼럼] 고준위방폐물 특별법이 ‘희망의 메시지’가 되기를
김재윤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네덜란드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가는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라는 저서에서 인간 문화의 기원을 ‘놀이’라는 화두를 통해 깊이 성찰해 인문·사
-
마취 깬 환자도 “그만합시다”…17시간 심장과 혈투, 김영훈 유료 전문공개
지난달 23일 김영훈(65) 고려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를 인터뷰하러 가는 길, 기자의 휴대폰이 울렸다. 응급 수술이 잡혔으니 인터뷰를 서둘러야 할 것 같다는 병원 홍보팀의 연
-
체온 10도로 떨어뜨렸더니…심정지 환자의 놀라운 변화 유료 전문공개
불의의 사고를 당해 여러분 심장이 갑자기 멈췄다고 해봅시다. 심정지가 곧 죽음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약 5분 안에 심장이 다시 뛰지 않으면 여러분은 예전 모습으로 살아갈
-
‘연봉 4억’ 신직업도 생겼다…생성AI, 어디까지 써봤니 유료 전문공개
Today’s Topic,생성AI, 어디까지 써봤니 3040세대라면 한때 ‘컴활(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따러 컴퓨터 학원에 달려가본 경험이 있을지도. 현란한 파워포인트(PPT)
-
45세 갑부는 18세 몸 원했다, 현대판 진시황의 ‘26억 베팅’ 유료 전문공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꿈꾸는 현대판 진시황이 나타났다. 자신의 신체 나이를 18세로 되돌리기 위해 한 해 200만 달러(약 26억원)를 쏟아붓는다. 전직 테크기업 대표이자 억만장
-
IQ 높으면 정말 똑똑할까? 하버드 교수 생각은 달랐다 유료 전용
양육자는 시간이 없습니다. 하지만 풀어야 할 문제는 산더미죠. 바쁜 여러분을 위해 hello! Parents가 양육자의 문제 상황, 고민을 주제로 4권의 책을 선정해 대신 읽어
-
[건강한 가족] 최소침습 기술 등 상지 수술·치료법 비약 발전
전문의 칼럼 전인호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 인간의 상지(上肢·팔)는 삶과 사회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손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주요 수단이고, 육체노
-
[비즈 칼럼] 생명 구하는 의료데이터 제대로 쓰이려면
김종엽 건양대 의대 정보의학교실 교수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기술과 첨단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제공하는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를 말한다. 미국을 선두로 핀란드와 포르투
-
'K-의료' 한국 찾는 비용 5배 아낀다…몽골 난임여성 원격진료
지난 13일 경기 고양시 일산차병원 난임센터에서 몽골인 환자가 화상 통화를 통해 진료를 받고 있다. 왼쪽은 최지영 산부인과 교수, 오른쪽은 몽골어 통역가 르카그베이줄람 니암서.
-
인정받고 싶은 건 본능, 몰입 과하면 ‘관심 중독’ 빠져
━ 러브에이징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 일제 강점기 때 기생들이 만든 음반을 타고 국민 유행가로 등극한 밀양아리랑의
-
[황태연 동국대 교수] 조선은 1만4117종 책의 나라였다, 세계 첫 일간지도 발행
━ 조선시대 출판 연구, 황태연 동국대 교수 황태연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는 23일 중앙SUNDAY와 인터뷰에서 “조선이야말로 서양보다 앞서 출판혁명과 지식의 대중화에 성공한
-
[헬스&뷰티] 척추 질환 통증 줄이기 위한 연구 전념...추간공확장술 개발로 ‘특허 부자’ 등극
서울 광혜병원 척추 수술 방법·기구 개발 후에도 회복·재활 기간 긴 단점 극복하려 척추 비수술요법과 시술 도구 개발 “AI·빅데이터 등 접목한 연구 계획” 서울 광혜병원
-
낙동강 페놀이 인생 바꿨다, 47세 늦깎이 교수의 반전 유료 전용
세계적 석학들은 일찌감치 자신만의 길을 찾아 연구를 시작한 경우가 많다.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듯, 이른 나이에 연구를 시작해 보통 40대에 학문적 전성기를 맞는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