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젠 중국이 앞섰다, K배터리 정신차려야”
━ [0.1%를 만나다] 선양국 한양대 교수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학교 실험실에서 학생들을 격려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국내 모든 대학이 개발한 기술을 기업
-
노벨상 발표날, BTS 틀었다…자타공인 ‘나노 대가’ 현택환 유료 전문공개
■ 0.1% ‘월클’ 박사들의 특강 「 학문의 세계에도 ‘월드 클래스’가 있습니다. 축구계의 ‘월클’ 손흥민처럼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학계에서 ‘엄지척’을 망설이지 않는 연구
-
우리도 ‘월클’ 연구자 있다…0.1% 세계로의 초대 유료 전용
━ 우리에게도 월클 연구자가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세상. 그 선두에서 인간이 닿지 못한 영역에 길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치병을 치료하고, 환경 파괴를 막고,
-
[후후월드]코로나도 맞짱 뜬다···대륙이 환호한 84세 몸짱할배 의사
■ 「 ※[후후월드]는 세계적 이슈가 되는 사건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을 파헤쳐 보는 중앙일보국제외교안보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
50살 KIST, 선수보다 심판이 많아서야
일러스트 강일구 오는 21일은 과학의 날이다.과학기술처가 설립된 1967년 4월 21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 『과학기술 40년사』를 보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제대로 된
-
[사람 속으로] 노벨상 예측 전문가가 뽑은 한국 유망 과학자
“천진우(Jinwoo Cheon), 조길원(Kilwon Cho), 조열제(Yeol Je Cho), 현택환(Taeghwan Hyeon)….”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국제
-
[포커스] 신임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이 박수 받는 이유
▲ 서울대병원 전경 “저는 우리 서울대학교병원의 창조적인 진화와 발전을 위해 여러분과 동행(同行)하고자 합니다. 같은 길을 함께 가는 우리가 뜻과 힘을 모아 서울대학교병원의 아름
-
300억 들여 국내 첫 ‘발효 연구소’ 연말 완공
박진선 대표가 콩 발효액과 천일염 같은 자연물로 만든 조미료 ‘연두’를 들어 보이고 있다. [김성룡 기자]애초엔 가업을 물려받을 생각이 없었다고 했다. 간장 장사보다 더 근사한 걸
-
[희망의 인문학 -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3) 비교문화역사학자 임지현
한양대 임지현 교수(오른쪽)는 “철학·역사·사회·정치·문화를 특정 국가의 경계 안에서만 바라보는 틀을 극복하기 위해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 국경을 넘은)’
-
[열린 광장] 연구개발 글로벌화 시급하다
연구개발의 글로벌화는 지난 세기 동안의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고 국가적 정책목표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도 이를 성취하기 위해 최근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사업(World
-
“세계 수준 학자는 10명 중 3명뿐” 8250억 해외석학 유치사업 겉도나
서울 소재 S대의 A교수는 최근 황당한 경험을 했다. 2007년 임용 과정에서 경합했던 B교수가 WCU(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사업을 통해 해외 석학 자격으로 학교에 초빙된 것
-
약세장에서 배워라
밝은 면을 보자. 지난 2년 간의 미국 증시 손실은 주식 투자를 할 때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훌륭한 교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는 데에는 모닝스타의 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