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치문의 검은 돌 흰 돌] 영화 ‘오펜하이머’와 원폭 순간의 바둑
영화 오펜하이머 포스터 [유니버설 픽처스]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면서 한판의 바둑이 떠올랐다. 원자폭탄이 떨어지던 1945년 8월의 그날, 히로시마(廣島)에서는 본인방전 도
-
“원자탄에 감사해야 한다” 日 총리에 직격탄 날린 JP (31) 유료 전용
한·일 회담에 임하는 내 마음은 1961년 혁명 때 목숨을 걸었던 것과 다르지 않았다. 내게는 제2의 혁명이었다. 누군가는 해야 하지만 아무도 하지 않으려는 일, 그 일을 수행하
-
'오펜하이머'에 왜 피카소 그림이? 양자역학·큐비즘 서로 통하다 [문소영의 영감의 원천]
━ [문소영의 영감의 원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과 현대미술 영화 '오펜하이머'(2023) 포스터와 영화 중 나온 피카소의 그림 '팔짱을 끼고 앉아있는 여인'(193
-
"원자폭탄처럼 댐 터졌다" 처참한 리비아, 사망자 2만명 될 수도
북아프리카 리비아 동부를 열대성 저기압 ‘대니얼’이 휩쓸고 지나가며 한 도시에서만 2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
“물이 도시를 지웠다”…리비아 대홍수 최소 6000명 사망
12일 북아프리카 리비아의 항구도시 데르나가 지난 10일 폭풍우 ‘대니얼’ 로 폐허가 되어 있다. 이번 홍수로 최소 6000명이 사망했다. [AP=연합뉴스] 열대성 저기압 ‘대니
-
공산주의 비판 내용인데 中서 흥행돌풍 '이 영화', 무슨 일?
크리스토퍼 놀란 연출, 킬리언 머피 주연의 영화 '오펜하이머' 포스터. 사진 네이버, 다음 영화 제2차 세계대전 때 있었던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에 대해 다룬 영화 '오펜하이
-
"댐도 무너졌다" 리비아 5300명 사망…'정치무능'이 부른 최악참사
10일(현지시간)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발생한 홍수로 북동부 도시에서 최소 5300명이 사망했다. 유엔 세계기상기구 홈페이지 캡처 열대성 저기압 ‘대니얼’이 휩쓸고 지나간 북아프
-
[아이랑GO]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두고 갑론을박…영어 중국어 쏙쏙 들어오는 쏙쏙만평
아이와 함께 일주일에 한 번, 한컷으로 된 중앙일보 만평으로 영어와 중국어를 공부해보세요. 매주 아이와 외국어 만평을 보다 보면 어느새 외국어 실력은 일취월장. 여기에 세상 돌아
-
[중국읽기] 두 개의 탄과 하나의 별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양탄일성(兩彈一星). 두 개의 탄(彈)과 하나의 별(星)이라는 뜻이다.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그리고 인공위성을 뜻하는 중국어다. 단어가 만들어진 건 19
-
日총리 면전에 “돈 많이 내라”…나라 일으킬 밑천 필요했다 (26) 유료 전용
1961년 가을, 고민이 깊어갔다. 혁명정부는 정치적으로 안정을 찾아가고 있었지만 나라의 빈곤을 몰아내고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해법을 어떻게든 마련해야 했다. 때마침 미국의 존
-
[세컷칼럼]코리안 프로메테우스
영화 ‘오펜하이머’는 새롭고도 낯익다. 과학과 정치, 두 날개를 달았다. 오펜하이머가 책임지고 개발한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에 떨어지고, 일본이 마침내 항복하자 트루먼 대통령이 그를
-
[중앙시평] 왜 이제 와서 ‘오펜하이머 신드롬’인가
김명자 카이스트 이사장·전 환경부장관 세계적 오펜하이머 신드롬에다 1980년대부터 과학사 강의를 했던 터라 간만에 영화관을 찾았다. 흑백과 천연색의 비선형적 스토리 전개에서 휙휙
-
[권석천의 컷 cut] 악수를 거절하는 용기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오늘은 영화 ‘오펜하이머’의 한 장면에 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원자폭탄의 아버지’ J 로버트 오펜하이머에게 부인 키티는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그
-
11월 바이든·시진핑 회담? 찬물 확 끼얹은 中국가안전부의 글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정상회담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F
-
영화 ‘오펜하이머’, 전 세계서 1조원 흥행 수입 1조원 올려
영화 ‘오펜하이머’ 스틸. 사진 유니버설 픽쳐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영화 ‘오펜하이머’가 전 세계 극장가에서 총 1조원이 넘는 티켓 수입을 올렸다. 4일(현지시간) 미
-
[이후남의 영화몽상] 요약을 거부하는 영화 ‘오펜하이머’
이후남 문화선임기자 영국 출신으로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크리스토퍼 놀런은 한국에선 ‘천만 감독’이다. 그의 영화 가운데 ‘인터스텔라’는 우주와 시간에 대한 제법 난해한 과학이론이
-
[김겨울의 행복한 북카페] 70년 전의 히스테리
김겨울 작가·북 유튜버 “제길, 나는 이 나라를 사랑한단 말이야.” 영화 ‘오펜하이머’에서 오펜하이머가 하는 이 말은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에도 기록되어 있는 오펜하이머의
-
고립된 중국이 더 위험하다, 미국 전문가 뜻밖의 경고 유료 전용
중국 경제는 더는 미국을 앞지르지 못한다. 단 중국을 고립시킬 경우 더 위험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최근의 중국 경제 현황을 진단한 미국의 경제 전문가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지
-
[박정호의 시시각각] 코리안 프로메테우스
1950년 무렵의 오펜하이머(오른쪽)와 아인슈타인. 당시 그들은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함께 근무했다. 영화 ‘오펜하이머’에도 그들의 각별한 인연이 등장한다. [사진 위키피
-
尹대통령, 추석 연휴에 日 원폭 피해 동포 한국 초청
지난 5월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 한 호텔에서 열린 히로시마 동포 원폭 피해자와의 간담회에서 피폭자 박남주 전 한국
-
스탈린 “만들 수 없다면 훔쳐라” 핵 정보 ‘거대한 작전’ 성공
━ [제3전선, 정보전쟁] 핵무기 개발 막전막후 〈하〉 모스크바 서남쪽에 위치한 소련 최초의 원폭실험실인 아자마스연구소 (Arzamas-16). 소련 원자폭탄 개발의 상징
-
[권석천의 컷 cut] 인간이라는, 어떤 블랙홀
권석천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영화 ‘오펜하이머’의 키워드는 ‘파멸의 연쇄반응’이다. 이 연쇄반응은 다분히 중의적이다. 주인공인 미국 물리학자 J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2차 세계대전
-
[글로벌 아이] ‘오펜하이머’ 그리고 간토대지진
이영희 도쿄특파원 올해 안에 영화 ‘오펜하이머’를 볼 수 있을까.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 팬으로 오래전부터 기다려왔지만 일본에선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원자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
[황원묵의 과학 산책] 티끌 모아 태산
황원묵 미국 텍사스 A&M 생명공학부 교수 ‘티끌 모아 태산’이란 말은 주로 긍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작은 노력을 모으거나 절약하면 나중에 큰 성과나 재산을 얻을 수 있는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