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팩플] 의료·법률·세무 플랫폼에 힘 싣는 국회?…유니콘팜 “의원들 설득하겠다”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스타트업 연구모임 '유니콘팜' 주최로 '스타트업과 윈윈은 불가능한가' 토론회가 열렸다. 왼쪽 다섯번째부터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성진 코
-
“99%가 초진” 물꼬 트인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 반발 이유는
2022년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의사가 재택치료 중인 코로나19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비대면 진료를 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중앙포토 정부가 제도화를 추진
-
"참 편리한데" 1300만명 받은 비대면 진료, 5월이면 불법된다?
비대면 진료를 보는 의사. 뉴스1 정부가 코로나19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의 운명에 의료계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르면 한 달 뒤 코로나19 위기
-
연예인 영상도 유출된 강남 병원…의사들 "우려한 일" 성토 왜
IP카메라 이미지. 사진 JTBC 뉴스룸 캡처 서울 강남 한 성형외과 진료실에서 찍힌 영상이 인터넷에 무단으로 유출돼 경찰이 수사에 나선 가운데 오는 9월 시행 예정인 수술실 폐
-
본인이 암 걸려도 수술했다…말기 위암 파이터, 노성훈 유료 전문공개
37년간 1만1000여 건의 암 수술, 본인은 후두암, 부인은 암으로 떠나고…. 암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생이다. 노성훈(69) 연세대 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위장관외과 특
-
'K-의료' 한국 찾는 비용 5배 아낀다…몽골 난임여성 원격진료
지난 13일 경기 고양시 일산차병원 난임센터에서 몽골인 환자가 화상 통화를 통해 진료를 받고 있다. 왼쪽은 최지영 산부인과 교수, 오른쪽은 몽골어 통역가 르카그베이줄람 니암서.
-
[교육이 미래다] 정보접근의 유비쿼터스를 위한 SW중심대학의 전교생 SW교육
이종우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SW중심대학사업단장 기고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SW는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 됐다. 의료에서 교육, 비즈니스에서 사회 서비스에 이르기
-
[건강한 가족] 시대 변화 맞춰 교육과정 혁신, 창의 융합형 미래 의학 인재 키운다
의대 탐방 고려대 의과대학 고려대 의과대학은 흰 가운 속에 담긴 ‘의사 정신’을 되새기는 화이트코트 세리머니를 매해 개최하고 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상(像
-
[단독] "실손보험 간소화, 왜 막나" 與, 의협회장 불러 최후통첩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이 최근 실비손해보험 청구 간소화에 반대하는 대한의사협회
-
강아지 진료도 이제 온라인에서…中 최대 동물병원 체인 '신루이펑'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펫코노미(Petconomy)’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펫코노미란 반려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 산업을 뜻한
-
간 이식 수술방서 자던 의사…세계적 칼잡이, 이승규였다 유료 전용
아침 7시 한국의 서울아산병원입니다. 세계 각국의 수백, 수천 명의 말기 간 질환 환자들이 간 이식을 받고 생명을 되찾고 있습니다. 한국의 한 간 이식팀이 독자적인 수술 방법으로
-
“아플 땐 119 다음으로 우리” 900만이 찾은 ‘헬스케어 앱’ [90년대생 창업자 ⑥] 유료 전용
■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 창업의 길을 택한 1990년대생, 그들은 누구인가. 한국의 정보기술(IT) 산업이 태동한 90년대에 태어나 청소년기에 스마트폰 혁명을 경험한 이
-
포켓몬GO도 약이 될 수 있을까? 디지털 치료제가 뭐길래 유료 전용
Today’s Topic 포켓몬고(GO)도 치료제가 될 수 있나요? 2017년 출시 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고’를 기억하시는지. 미국 듀크대
-
재건축·재개발 조합, 온라인 총회 연다…반려동물 비문 등록 가능
재건축, 재개발 등 주택 정비사업 조합의 온라인 총회 개최가 허용된다. 정부는 규제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규제 샌드박스 사업으로 정비사업 전자총회 서비스를 신규 지정했다. 박윤규
-
투자 의사, 창업 의사에 따졌다 “스마트폰 진료가 혁신인가?” 유료 전용
스마트폰 앱으로 진료받고 약을 배달받는 건 혁신일까, 아닐까. 의료 인프라가 훌륭한 한국에선 비대면 진료를 대폭 허용할 필요가 있을까, 없을까. 팩플팀이 만난 비대면 진료 앱
-
더이상 노인 질환 아니다…'180㎝·120㎏' 20대男도 걸린 이 병
당뇨병 자료 사진 20대 남성 A씨는 군대 신체검사에서 혈당이 높다고 나와 병원을 찾았다. 체중 120kg 이었던 A씨는 몸무게는 많이 나가도 키는 180cm로 큰 편이었고 몸
-
[이번 주 리뷰] 이재명 사법리스크 '태풍의 눈'…'깡통전세' 속출(17~22일)
이번 주(17~22일) 주요 뉴스 키워드는 #카카오 #남궁훈 사퇴 #만성질환 #BTS #주택담보대출금리 #이재명 #김혜경 #전주환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서욱 #이승엽 #박진
-
의협 "보조수단"이라더니..의원 11곳선 진료 90% 이상 비대면으로
대한의사협회가 “비대면 진료는 대면 진료의 보완수단”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지만, 정작 의원급에선 절반 이상의 진료를 비대면으로 하는 곳이 최근 1년새 7배로 급증한 것으로
-
[시론] 원격진료 관련 법제화, 더 미뤄선 안 돼
권용진 서울대병원 교수 원격진료는 얼굴을 마주하는 대면 진료여야 한다. 비접촉이지 비대면이 아니다. 전화 진료와는 다르다. 지금의 기술력으로 화상을 통해 얼굴을 마주 보면서 다양
-
中도 코로나 블루로 ‘몸살’ 디지털 멘탈 헬스케어 시장 뜬다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중국에서도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중국 정신 의학 저널이 코로나 19 대유행 시기 중국인 1만 5000명의 심리상태를 조사한
-
[앤츠랩]10년간 10배…'바이든 수혜' 입는 헬스케어 대장주
미국이 또 한 번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으려나 봅니다. 지난해 말 조 맨친 상원의원(민주당)의 반대로 상원에 계류됐던 'BBB(Build Back Better·더 나은 재건)법'이
-
코로나로 비대면 진료 허용하자 무허가 수입의약품으로 무자격자가 제조…의료계 "가이드라인 필요"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원격의료와 비대면 진료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
-
전화 한통에 약 배달, 코로나 말고도 몰렸다…제일 많은 질병은?
경기도 수원에 사는 김모(41)씨는 지난 3월 비대면 진료 앱인 닥터나우를 통해 석 달 치 탈모 치료제를 처방받았다. 닥터나우는 전화·화상 등 원격으로 의사가 진료하고 제휴 약국
-
약병 늘어놓고 숨진 노모와 아들…0.06%뿐인 재택의료 현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 3월 서울 강남구의 하나이비인후과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를 화상전화를 통해 진료 하는 모습.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