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 중심 경영 앞장서고, 친환경차 부품 국산화…제주개발공사·코리아에프티 8연속 수상 영예
━ THE CREATIVE 2023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각 분야에서 창조적인 경영 활동과 성과를 이뤄낸 우수한 경영·브랜드 사례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창조경영
-
껌값도 이 정도 아닌데…요즘같은 시대에 '1000원'만 받는 곳
광주광역시 동구 대인시장 내 '천원식당'으로 알려진 해뜨는 식당 업주 김윤경 씨가 요리하고 있다. [뉴스1] 1000원짜리 식당과 택시·공연 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고물가·고
-
[조원경의 돈의 세계] 짧으면 돈이 되는 것들
조원경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우리가 뭔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attention span)은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 12초였다. 이제 8초로 뚝 떨어졌다. 9초인 금붕어보다 못하다
-
울산 찾은 尹 "첨단산업 혁신허브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울산광역시 남구 울산항만공사에서 열린 울산경제인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9일 울산 경제인들과의 만남에서 “울산이 세계 최고의 첨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연구성과 1등 대학의 비결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48)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생명공학
-
[2023 COTY] “가격 대비 가치 높다”…현대자동차 ‘아이오닉 6’ 1위
‘중앙일보 2023 올해의 차(COTY)’ 16개 모델 1차 심사 스케치 혁신적 디자인 등으로 980점 선두 2·3위는 기아 EV6 GT, 니로 차지 2차 현장 평가에서 최종
-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 연구성과 1등 대학의 창업 비결
━ [혁신창업의 길]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가운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가 자신이 창업한 생명공학 스타트업 슈파인세라퓨틱
-
이젠 대세는 전기차…아이오닉6, EV6 GT 등 점수 높았다
━ 2023 올해의 차(Car of the Year·COTY) 1차 심사 “소비자들이 차량 구매를 결정하는데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지난
-
[알림] 의미에 재미를 더했다, 새 칼럼 25개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새롭고 다채로운 필진이 중앙일보 오피니언에 합류합니다. 여성 및 젊은 필진의 합류로 더 다양해진 목소리를 담았
-
[사랑방] 아산재단, 학생 502명에게 장학금 35억
아산재단, 학생 502명에게 장학금 35억 아산사회복지재단은 23일 ‘2023년 장학증서 수여식’을 열고 대학원생 69명, 대학생 433명 등 장학생 총 502명에게 장학금 35
-
“AI 대평원 바라만 볼 건가…K반도체, 4만 기마병 키워야”
한림대 도헌학술원이 주최한 ‘AI시대, 한국의 디지털·반도체 산업과 대학교육’ 심포지엄이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사진은 송호근 도헌학술원장(중앙일보 칼럼니스
-
“4만 반도체 양병 키우자”…송호근·김기남·박정호 머리 맞댔다
송호근 한림대 도헌학술원장(중앙일보 칼럼니스트)이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AI시대, 한국의 디지털?반도체 산업과 대학교육'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장
-
전기연, 내비게이션 구현할 스마트 콘택트렌즈 핵심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의 설승권 박사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임두 교수팀이 3D 프린터로 증강현실(AR) 기반 내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스
-
[세컷칼럼] 폐플라스틱서 짜낸 기름… 에너지·기후 두 마리 토끼 잡기
. . ━ 속도 내는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역대급 한파가 엄습했다. 혹한에 따른 ‘역대급 전력 사용’과 가정에 전달된 ‘역대급 난방비’ 고지서는 국민의 냉가슴을 때렸다
-
[문병주 논설위원이 간다] 폐플라스틱서 짜낸 기름… 에너지·기후 두 마리 토끼 잡기
━ 속도 내는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문병주 논설위원 역대급 한파가 엄습했다. 혹한에 따른 ‘역대급 전력 사용’과 가정에 전달된 ‘역대급 난방비’ 고지서는 국민의 냉가슴
-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공공기관서 빠진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광주과학기술원(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이 공공기관에서 빠진다. 금융감독원에 대해서는 올해
-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공공기관 제외…금감원 또 지정 유보
한국과학기술원(KAIST)ㆍ광주과학기술원(GIST)ㆍ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ㆍ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이 공공기관에서 빠진다. 금융감독원에 대해서는 올해
-
KAIST 공공기관에서 빠진다…4대 과학기술원 지정 해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
“‘대장동 의혹’ 성남도개공, 종합청렴도서 최하위 ‘5등급’ 유일”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기관의 지난해 1년간 청렴도 평가와
-
SK온, KAIST와 손잡고 글로벌 배터리 인재 키운다
SK온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손잡고 배터리 산업을 이끌 전문 인력을 직접 육성한다. 18일 SK온에 따르면 SK온은 전날 대전시 유성구 KAIST 본관 제1회의실에서
-
[조원경의 이코노믹스] 규제 완화·옥석 감별이 바이오산업 도약 열쇠
━ 성장판 닫힌 한국 바이오산업 조원경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 글로벌산학협력센터장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우리 국민이 바이오산업에 거는 기대는 매우 컸다. 국산 백신이나
-
장민 교수 연구팀, 대기 중 CO2 활용, 탄산프로필렌 생산을 위한 단일 원자 촉매 개발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장민 교수 연구팀은 환경공학과 황건덕(Wong Kien Tiek) 박사후 연구원(제1저자)와 함께 높은 표면적(박리된 GCN)을 지니고 있고, 가장자리에 N
-
치매잡는 PET·3D 현미경…딥테크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
2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심포지엄에서 혁신창업상 수상자들이 내빈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토모큐브, 브라이토닉스이미징,
-
“기술 창업으로 미래세대 먹거리 만들어야…대학의 책임”
박용근 KAIST 교수(오른쪽)는 전문창업가 홍기현 토모큐브 대표와 함께 2015년 토모큐브를 창업했다. 살아있는 세포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관찰 가능한 레이저 홀로그래피 현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