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연 경질 中친강, 유명 女앵커와 내연관계…美서 대리모 출산"
친강 전 중국 외교부장과 유명 방송인 푸샤오톈. 푸샤오톈 X 계정 캡처 돌연 경질된 친강 전 중국 외교부장(장관)이 중국 유명 TV 진행자와 내연 관계였으며, 상대방이 미국에
-
탈레반, 中화웨이와 아프간에 감시 카메라망 구축 협의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강경 무장조직 탈레반 정권이 수도 카불 등 주요 도시에 대규모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협력을
-
브렉시트 후회하는 영국…프랑스·독일 "미니 EU회원 해보라"
영국 국기인 유니언잭과 유럽연합(EU) 기가 교차해 펄럭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유럽연합(EU)의 두 축인 프랑스와 독일이 EU를 탈퇴한 영국에 새로운 제안을 내놨다. '
-
[단독] 김정은이 우주기지 갈 때, 北경제팀은 따로 움직였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8일 "김정은 동지가 러시아 연방에 대한 공식 친선방문 일정을 성과적으로 마치고 17일 블라디보스토크시를 출발했다"라고 전했다. 사진은 김정은이
-
이란 외무부 "한국 동결된 자금, 오늘 이란에 들어올 것"…美와 수감자 맞교환도
미국의 제재로 한국의 은행에 동결됐다가 해제된 이란의 석유 수출대금 60억 달러를 이란 측이 받았으며, 이에 따라 미국과 이란 간의 수감자 맞교환이 진행될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
'전략적 시간 벌기' 중인 시진핑의 다음 행보[장세정의 시선]
장세정 논설위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요즘 깊은 고민에 빠진 것 같다. 국내적으로 부동산·소비 등 경제가 빨간 불이 켜졌다. 청년 실업률 통계 발표조차 중단했다. 지난
-
日매체 "中정부, 전기차 업체에 자국산 부품만 사용 지시"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에 들어가는 반도체 등 전자부품을 중국산만 쓰라고 지시했다는 일본 매체의 보도가 나왔다. 앞서 중국 공무원과 공기업·공공기관 직원에게 "미국 아이폰 대신
-
'전투기 고장' 수리도 못하는 김정은…'러 스텔스기' 공장 갔다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났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5일(현지시간) 하바롭스크주를 찾았다. 타스·스푸트니크 등에 따르면 김정은은
-
합의문도 없는 희한한 북·러 정상회담…결국 비즈니스 관계였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 연회 등 일정을 진행한 뒤 다음 방문지를 향해 떠났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
中 CCTV “북·러 군사력 강화 주목”…블라디엔 金 '핵잠 조선소' 방문설
중국 관영 매체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회담의 핵심이 군사력 강화였다며 보도했다. 국제 뉴스를 다루는 중국중앙방송(CC-TV) 채널4는
-
푸틴, 포탄 좀 얻자고…자신들이 만든 유엔헌장·NPT 뒤흔든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4년 5개월 만에 다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유엔
-
김정은 30분 기다린 푸틴 “위성개발 돕겠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우주기지를 회담 장소로 정한 것은 탄약
-
시진핑 먼저 눈치챘나…1주일 전에 '북·러회담' 인근 국경 갔다
지난 6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헤이룽장(黑龍江)성 다싱안링(大興安嶺)지구 모허(漠河)시 베이지(北極·북극)촌을 시찰하고 있다. 13일 김정은-푸틴 북·러 정상회담이
-
김정은 방러 일성 "전략적 중요성"…전방위 협력 대놓고 예고
올레그 코제먀코 연해주 주지사가 자신의 텔레그램 채널에 공개한 지난 12일 하산영 환영식에 나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영상. AP=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일 새
-
김정은·푸틴 '위험한 거래' 땐…한국 '특단선택'으로 내몰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0일 오후 러시아 방문을 위해 전용열차로 평양을 출발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2일 보도했다. 뉴스1 북한과 러시아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
-
일본 언론 “푸틴,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서 김정은과 회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당초 예상됐던 극동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닌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푸틴
-
김정은 13일 낮 우주기지 도착? 불가측성 가득한 북·러 회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일 러시아에 도착했지만,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극동', '수일 내' 등 모호한 공식 발표만 나오고 있다. 통상의 정상외교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상황
-
북·러 '위험한 만남' 강행한다…김정은·푸틴 단독회담도 준비
러시아와 북한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두 번째 북·러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11일(현지시간) 동시에 공식 발표했다. 북·러 간 무기 거래 움직임 등을 이유로 미
-
김정은의 방탄기차 '태양호' 10일 오후 늦게 평양 떠났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4월 24일 오전 전용열차를 타고 북-러 국경을 넘어 하산역에 도착하는 모습. 연해주 주정부 홈페이지,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블라디
-
김정은 오늘 방러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 개최가 예상되는 동방경제포럼(EEF)이 10일(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막을 올렸지만 김 위원
-
나란히 ‘코너’ 몰린 북·러…국제 제재에도 ‘무기 거래’ 꺼내나
조선중앙통신은 2019년 4월 26일 홈페이지에 전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 사진을 공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
-
제2 요소수 대란? "中 수출중단" 보도에, 정부 "비료용 문제 없어"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으로 2021년처럼 또다시 요소 품귀 현상이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 등 일부 외신이 “중국 비료 제조 업체들이 당국 요청에 따라
-
美 화나게 한 中화웨이 폰에 '하이닉스 칩'…"거래 한 적 없다"
미국의 제재를 받아 온 화웨이가 중국 반도체 제조업체 SMIC로부터 공급받은 7㎚(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프로세서를 탑재한 신형 프리미엄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를
-
미국 '차이나 칩' 쇼크…"중국에 모든 기술 수출 중단해야"
화웨이가 최근 출시한 5G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에 중국 내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SMIC의 7나노(nm·1나노는 10억분의 1m) 반도체를 탑재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