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일ㆍ이념 논란에 박보균 후보자 “내 글 반대로 해석 말라"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2일 국회에서 열린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는 후보자의
-
[더오래]노루 모피 50장→10장… 과중한 공납 줄여준 청백리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9) 한라산 중턱인 제주 곰솔공원에 세워진 이약동의 산신단 사적비. [사진 제공 김천문화원] ━ ① 모피 공납 5
-
청각장애인에 세례 거절한 신부, 30년 지나 후회한 이유 [더오래]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8) 울릉도 북쪽 천주교 천부성당에 몸담았던 최 베다 신부의 이야기다. 울릉도에 ‘아바’라는 여자가 있었다. 그는 청각
-
[더오래]조총 이긴 활…조선 선비에 무너진 사무라이 왜군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7) 임진왜란이 나자 곽재우(郭再祐‧1552~1617)는 의병을 일으켜 경남 의령군 의령읍 정암진에 지휘본부를 두었다
-
[더오래]한국판 백이·숙제…고향서 독립운동한 향산과 유천 형제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6) “유세차신축십일월병술삭십육일신축 유학(幼學) 진성 이동후가 감히 토지신(土地神)께 고합니다. 이번에 유천헌(柳川軒) 편
-
[더오래]천주교 신자였던 안중근, 왜 뒤늦게 ‘복자’ 추진되는 걸까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5) 안중근 의사는 알려진 대로 종교적 믿음이 깊었다. 그는 세례명이 ‘도마’ 즉 토마스인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다. 안 의사
-
[더오래]정적이지만…서인의 제자 사위 삼은 남인 정경세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4) 1626년(인조 4) 임금의 생모를 둘러싼 상복 논의가 일어난다. 이귀‧최명길 등은 임금도 아들인 만큼 상주로서 삼
-
[더오래]청량산 아홉구비 절경 노래한 ‘청량구곡가’ 최초 공개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3) 조선시대 선비들은 산이나 계곡 등 자연을 찾아 심신을 수양하는 시간을 마련하곤 했다. 아홉 굽이 절경을 차례로 거슬
-
[더오래]지구가 추락하지 않는 이유는…조선 유학자의 ‘우주설’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2) 국산 기술로 만든 우주발사체(KSLV-2) 누리호가 10월 21일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솟아올랐다. 누리호는 이날
-
[더오래]K뷰티의 뿌리…쑥과 마늘로 백색 피부 가꾼 웅녀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1) 한국 문화가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OED)에 최근 한류와 관련된 단어 20여 개가 새로 실렸다
-
[더오래] 임진왜란 때 곽재우 의병장의 숨은 조연…죽유 오운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10) 임진왜란은 조선이 개국한 뒤 직면한 초유의 국난이었다. 그 시기 죽유(竹牖) 오운(吳澐·1540~1617)이란 문신
-
[더오래]제사에 조상 숭배 덧씌워 허례허식으로 몰고간 일제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9) 추석이 다가온다. 명절에 따르는 차례 문화는 바뀌고 있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차례를 지내지 않는 사람은 1992년 8%
-
[더오래]대일 긴장 모드를 조선통신사 파견으로 푼 세종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8) 낙동강 낙단보 의성 쪽 선착장에 조성된 ‘박서생 통신사공원’의 수차 모형. [사진 송의호]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일
-
[더오래]안동 노른자 땅 빼앗아 일본인에 헐값 분양한 일제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7) 일제는 조선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안동 읍성을 강제로 헐었다. 읍성 소멸은 망국의 징표가 됐다. 이어 동양척식회사를 세
-
[더오래]‘불사이군’에도 살아남은 길재, 이방원의 동네 선배였다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6) 불사이군(不事二君).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정확히는 본래 임금을 부당하게 해치고 새로 왕위에 오른 자를 섬기지 않
-
[더오래]이건희 컬렉션이 고른 월북작가…고향으로 돌아오다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5) 지난 7월 7일 가족들과 모처럼 대구미술관을 찾았다. 그곳에서 열리는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을 보기 위해서다. 장대비
-
[더오래]조식은 의리, 이황은 수양…두 사람 특성 비교해보니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4) “이황은 온화하고 인정이 두터우며 실천이 독실합니다. 공부는 매우 숙련되어 그 단계가 분명하므로 배우는 자가 그 길을
-
[더오래]6월은 음력으로 치면 ‘仲夏’, 여름의 한복판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3) 옛날 혼례에 사용된 편지 문구를 보다가 문득 의문이 들었다. 혼인을 허락하는 허혼 편지는 대체로 이렇게 시작한다.
-
[더오래]‘차 한 홉이 쌀 한 말’ 함양의 진상품 민원 풀어준 김종직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2)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18대 종손인 김진규 씨가 경북 고령군 쌍림면 개실마을 종택에서 선조를 회고하고 있다. [사진
-
[더오래]맹사성 놀린 말버르장머리 없는 젊은이, 알고보니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1) 조선 세종 시기 맹사성(孟思誠‧1360~1438)은 좋은 음식이나 값비싼 옷을 탐내지 않았다. 그가 어느 날 고향을 다
-
[더오래]“갈 것이다”수염 씻고 자리에 누운 선비의 임종 전야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100) 조선시대 큰선비들은 임종이 가까워지면 제자가 병석을 지키며 마지막 모습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른바 고종기(考終記) 또는
-
[더오래]"좋은 전답보다 낫다"정약용이 아들에 당부한 ‘근·검’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99)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마재에 있는 사당 문도사의 정약용 초상화. [사진 송의호] 영화 ‘자산어보’는 정약전이 유배지
-
[더오래]저고리만 입으면 속옷 차림…한복의 완성은 ‘이것’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98) 신입생들이 한복 바지와 저고리를 입어보고 있다. [사진 송의호] 대구 중구 종로1가 도심에는 한복 고름 매기 등을 익히는
-
[더오래]경쟁 학파였던 퇴계 글 그대로 베껴 간직한 송시열
━ [더,오래] 송의호의 온고지신 우리문화(97) 우암 송시열의 초상화. [사진 국립청주박물관‧송정훈] 우암 송시열(宋時烈‧1607~1689)은 조선 후기 장기간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