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 찾아주기’ 소문난 그 남자, 가족에 돈 퍼준 뒤 벌어진 악몽 유료 전용
유품정리사로 일하게 된 지 벌써 15년이 넘었다. 이젠 이 낯선 직업을 알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었다. 매주 칼럼을 쓰고, 유튜브 채널까지 운영하면서부터는 나를 알아봐주는
-
“그는 정말 나쁜 인간이었다”…살고 싶었던 ‘노모의 세 시간’ 유료 전용
이제 이런 뉴스는 너무 흔해졌다. 폭력을 일삼는 배우자, 지독한 폭력에 시달리다 마침내 살인에 이르는 사건까지 끔찍한 뉴스들은 잊을 만하면 포털 사이트에 뜬다. 해가 거듭 지나도
-
별거 아내는 행복해 보였다…장롱 위 숨겨둔 ‘증오 흔적’ 유료 전용
최근 한 남성이 이혼한 전 부인을 살해한 사건 뉴스를 보고 지난 사건이 떠올랐다. 2015년 범죄피해자지원 현장 청소를 위해 다녀온 현장이었다. 살해 도구로 사용된 칼을 내가 현
-
강남 그 방엔 벽돌 가득했다…어느 모녀의 ‘극악무도 범죄’ 유료 전용
오래전에 다녀왔던 범죄피해 현장은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살해 후 시신을 유기한 방식이 극악무도했기 때문이다. 현장은 강남의 한 빌라였다. 현장은 사전에 이야기를 듣지
-
“내 삶 찾고싶다” 이혼 1년뒤, 전남편 울린 그녀의 약봉투 유료 전용
유품 정리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을 때의 일이다. 의뢰인은 고인의 전 남편이었다. 두 사람은 20대 중반에 결혼하고, 그 직후 연년생으로 아이 둘을 낳아 소박하게 살았다고
-
그 흔한 외식 한번 없었다, 일기장에 비친 노인의 70년 유료 전용
얼마 전 다녀온 곳은 고인의 조카가 의뢰한 현장이었다. 고인은 사후 한 달여간 방치되어 있었고, 악취 때문에 신고가 들어와 발견되었다. 경찰이 고인의 가족을 수소문한 끝에 찾
-
조현병 딸이 정상이었을지도…날 분노케 한 ‘부부와 대리인’ 유료 전용
방화 범죄 피해자 지원을 위해 다녀온 현장은 얼마 전 뉴스에도 나온 사건이 발생한 곳이었다. 20대 여성이 토치라이터를 이용해 자신의 집 안방에 불을 지른 현장이었다. 화재
-
암투병 흔적도 딸 흔적도…감쪽같이 사라진 모녀의 집 유료 전용
집주인의 의뢰로 다녀온 곳은 39평 크기의 아파트였다. 세입자인 엄마와 딸이 거주했고, 엄마가 고독사했다고 한다. 어찌 된 일인지 딸의 행방은 오리무중이고, 그 외 가족에 대해선
-
처음으로 인생 흔적 못 찾았다, 골목서 얼어죽은 그녀의 쪽방 유료 전용
이미 몇 년이 지난 일이다. 고인이 된 이는 50대 후반의 여성. 딸에게서 연락을 받고 찾아간 곳은 서울 구의동에 위치한 쪽방촌이었다. 고인이 살던 집은 마당을 5~6개의 방
-
“남편 사진 꼭 버려주세요” 지옥서도 아이들 챙긴 엄마 유료 전용
수년 전 범죄 피해 현장 청소 지원을 위해 다녀왔던 현장의 이야기다. 마침 현장 검증이 진행된 날. 내가 도착했을 때 포승줄에 묶인 가해자가 현장 검증을 끝내고 현장을 빠져나
-
‘나는 신이다’ 보며 떠올랐다, 스스로 악마가 된 그 엄마 유료 전용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를 보다가 지난 현장이 문득 떠올랐다. 한창 날이 뜨겁던 8월. 범죄피해 현장 청소 지원을 하던 시기였다. 피해 현장은 대부분 가정집이었
-
“내 아들이 데리러 올거야” 1984년 이혼 그날에 갇힌 母 유료 전용
고인의 아들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통화 내내 그의 목소리에선 무심함이 묻어났다. 마치 남의 이야기를 하듯. 이미 수십 년 전에 부모는 이혼했고, 자식들은 아버지와
-
일에 미쳐있던 아빠의 죽음…홀로 남아 씁쓸한 ‘장영실상’ 유료 전용
재작년 3월. 파릇파릇한 새싹은 돋았지만 아직은 밤공기가 차가웠던 계절. 찾아간 현장은 가산동의 작은 원룸이었다. 원룸 중에서도 소형 평수, 싱글침대 하나 놓으면 간신히 걸어
-
피 토하면서도 “아빤 잘 있어”…자식이 크자 삶을 접었다 유료 전용
아스팔트가 끓어오를 정도로 더위가 한창인 여름, 젊은 청년의 의뢰가 들어왔다. 고독사 현장에선 시체가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진동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놓고 청소
-
그는 ‘어른’이 되려고 했다, 어느 대학생의 슬픈 일기장 유료 전용
아들이 자취방에서 자살했다고 했다. 이달 초 전화로 의뢰해 온 이는 고인의 어머니였다. 아들을 잃은 엄마는 통화하는 내내 울먹거렸다. 장례를 치른 뒤 남편과 함께 아들의 자취방을
-
텅빈 방, 시신마저 깨끗했다…겨울보다 시렸던 ‘그의 죽음’ 유료 전용
지난 2월 6일 찾아간 현장은 두 시간 넘게 운전해 닿는 곳이었다. 사흘 전 유족에게 전화를 받았고, 단순 유품 정리를 의뢰했다. 부지런히 장비와 용품을 챙겨 새벽에 길을 나
-
아파트 전체를 휘감은 악취, 그 뒤 걸려온 ‘희한한 전화’ 유료 전용
유품 정리를 직접 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기억 속에 머무는 현장이 있다. 지난해 8월에 방문했던 그곳, 청주의 어느 아파트였다. 처음 존재를 알게 된 건 8월 중순께 아파트
-
“미안해” 빚 2억 떠안은 남편…80년대생 신혼부부의 죽음 유료 전용
2022년 3월 꽃샘추위로 봄기운이 미처 닿지 못했을 때였다. 남동생을 잃은 한 여성에게서 의뢰 전화가 왔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사연을 듣게 됐다. 지금까지 대화의 기억이 선연할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환갑도 안 지난 모친의 죽음 누구 탓 아니다, 불운이었다 홀로 자식들 키운 어머니의 마지막 흔적들. 반지하방을 보며
-
환갑도 안 지난 모친의 죽음…누구 탓 아니다, 불운이었다 유료 전용
지난여름 고인의 딸에게서 의뢰가 왔다. 혼자 지내던 어머니가 고독사했고 꽤 오랜 기간 방치돼 특수청소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찾아간 곳은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다가구주택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힘내, 살아내” 위로의 말 그녀에겐 사치일 뿐이었다 범인은 잡지 못했고 딸의 몸과 마음은 크게 다쳤습니다. 결국 고인이 된 딸, 마지막 누
-
“힘내, 살아내” 위로의 말…그녀에겐 사치일 뿐이었다 유료 전용
소복하게 눈이 쌓인 그날 찾아간 곳은 젊은 여성의 자살 현장이었다. 고인의 어머니가 직접 내게 의뢰했다. 부모는 건물 2층에, 딸은 1층에 거주했다고 한다. 주인을 잃은 집은
-
3주간 아무도 찾지 않았나…욕조 속 노모가 남긴 의문점 유료 전용
매서운 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2월. 입김이 얼어붙던 어느 날 의뢰가 들어왔다. 고인의 사위라는 남자는 장모님의 집을 정리해 달라고 했다. 찾아간 곳은 꽤 넓은 평수의 아파트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한여름, 어느 의사의 고독사 친형은 외제차 타고 나타났다 고인은 수재였습니다. 의대 졸업 뒤 병원을 차려 성공했지만 중국에서 망하고 말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