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세상 읽기] 네타냐후 vs 머스크…AI가 세상 바꾸나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지난주 미국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캘리포니아주 테슬라 공장을 방문해 일론 머스크를 만났다. 이런 만남을 할 때는 양쪽이 서로 필요한 게
-
美·이란 수감자 맞교환 합의에…"韓 동결자금 8조원, 스위스로"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조지타운 인근 외벽에 이란에서 구금 중인 시아마크 나마지, 베네수엘라에 붙잡혀있는 조시 앤젤 페레이라의 사진이 걸려 있다. 이란 정부는 최근
-
한일관계, 미중관계·한국정치의 종속에서 탈피해야
영국과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유럽의 가장 큰 두 축이었다. 해양 세력인 영국은 고래로 대륙의 최강국을 견제하며 세력균형을 유지해 왔다. 윈스턴 처칠은 “400년 동안 영국의 외교정
-
"푸틴 왜 무리수 두냐고? 서방, 늘 예측 틀리는 이유는 딱 하나" [우크라이나전쟁 1년]
■ "출구전략 보이지 않는 전쟁" 우크라전 1년을 말하다 「 오는 24일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두 진영에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를 남긴 이번 전
-
베이징 백지시위에…中, 하다하다 월드컵 중계 '관중석' 가렸다
“친구 절반과 헤어졌네, 탁주 한 사발이 여흥을 남기니 오늘 밤은 춥지 않구나(知交半零落 一瓢濁酒盡餘歡 今宵別夢寒)” 27일 오후 9시30분쯤 중국 베이징의 외국 대사관 단지를
-
[홍성남의 속풀이처방] 교황이 보여주는 지도자의 품위
홍성남 가톨릭 영성심리상담소장 지도자들에 대한 논란으로 전 세계가 시끌시끌하다. 러시아의 푸틴을 비롯한 몇몇 지도자들이 망조 들린 정책을 일삼고 있어서이다. 지도자의 품위에 대한
-
[한중비전포럼] 한중 ‘다음 30년’은 체제와 이념 차이 분명히 하는 ‘화이부동’ 시대 열어야
한중이 오는 24일로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사진은 1992년 8월 24일 이상옥 외무장관(앞줄 왼쪽)이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과 ‘한중 외교관
-
금태섭 "개혁 이름 붙여 검수완박 고집…비판하면 악마 몰았다" [단독 인터뷰]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3일 서울 용산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금 전 의원은 “저는 민주당은 탈당했고 돌아갈 생각은 없지만, 민주당에 대한
-
마크롱 재선했지만, 르펜 극우바람 거셌다
마크롱 중도를 지향하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45·사진) 대통령이 24일 대선 결선투표에서 극우 성향의 마린 르펜(54·사진) 국민연합(RN) 후보를 꺾고 연임에 성공했다.
-
탈레반 “파키스탄군, 국경 공습·포격…민간인 45명 사망”
16일 파키스탄군의 공습을 규탄하는 아프간 호스트주의 시위대. AFP=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집권 세력인 탈레반이 “파키스탄군의 공격으로 인해 국경 인근에서 살던 자국민 수십 명이
-
[염재호 칼럼] 좌파의 딜레마와 한국 정치의 미래
염재호 고려대 명예교수·전 총장 프랑스 월간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최신호는 올해 4월 프랑스 대통령선거에서 이번에도 좌파가 패배할 것이라는 지배적 전망을 소개하고 있다. 19
-
마크롱 “우크라, 핀란드화 하자”…푸틴 “그나마 현실적”
지난 7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긴 탁자의 양쪽 끝에 앉아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결방안을 위해 회담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
-
文 "통합·화합에 역할 못했다" 7대 종단 오찬간담회서 시인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우리나라 민주주의에서 남은 마지막 과제가 국민들 사이의 지나친 적대와 분열을 치유하고, 통합과 화합의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
세 번째 대선출마선언 안철수, 9년 전 외친 “정치쇄신” 또 말할까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11월 1일 세 번째 대선 출마를 선언한다. 권은희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31일 중앙일보 통화에서 “출마선언문에는 안 대표의 트레이드마크인 미래와 과학에 관
-
“스튜어트 대사 환영, 마오가 더 기뻐해” 저우언라이 전화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93〉 1946년 말, 중국에서 철수하는 미군 군조처 요원들. [사진 김명호] 스튜어트는 성실한 교육자이며 성직자였다. 대를
-
[이훈범의 퍼스펙티브] 반목은 지도자들이, 전쟁은 젊은이들의 몫
━ 무엇을 위한 역사인가 이훈범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얼마 전 때아닌 점령군-해방군 논쟁이 있었다. “해방 후 이 땅에 들어온 미군은 점령군이고, 소련군은 해방군이었다”는
-
[월간중앙] 단독 인터뷰 '골든크로스' 넘보는 이낙연 민주당 대선후보의 直說
■ 모두에 똑같은 돈 나눠주면 오히려 소득 불평등 심화시킬 것 ■ 文 정부 한반도 긴장 완화는 성과, 부동산 시장 불안 뼈아파 ■ 이념·세대·계층·젠더 갈라치기로 이익 취하려는
-
[특별기고] 미·소 해방군·점령군 논쟁 어떻게 볼까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해방 정국의 풍경』 저자 국가 경영에서 역사를 잊는 것도 비극이지만, 역사 논쟁이 과열돼 진영 논리로 비화하고 국론이 분열되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
스위스 미술관에 남북한 미술작품 나란히 걸렸다
한국 조각가 김인배의 2007년 작 ‘델러 혼 데이니(Deller hon Dainy). [사진 Sigg Collection] 남북한 미술이 유럽의 한 미술관에서 함께 전시 중이다
-
스위스 미술관에 남북한 미술이 나란히...그러나
한국작가 이세현의 'Between Red33', 2007 Oil on canvas two parts, each 250 x 200 cm . [사진 Sigg Collection] 한
-
LH사태 예언 유현준 “20대, 안타깝지만 앞으로도 집 못 산다”
“저는 이기심이 많아요. 안 착해요. (정치는) 저보다 착한 사람이 해야 돼요.” 유현준(52)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는 '정치할 생각 없느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했다. 유명
-
LH사태 예언 유현준 “20대, 안타깝지만 앞으로도 집 못 산다”
지난 달 27일 유현준(52)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가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정수경PD “저는 이기심이 많아요. 안 착해요. (정치는) 저보다 착한 사람이 해야 돼요.”
-
문희상 "강국 틈바구니는 숙명, 미국 풀 중국 풀 가려 먹을 수 있나" [월간중앙]
■ 국익을 우선에 두는, 유연하고 변형 가능한 실용 외교 절실 ■ 안보·경제 다 중요, 미·중 가운데 한쪽 택하는 건 어리석은 일 ■ 한·일 관계 해법은 단 하나, 정상회담 통해
-
日 '새로운 제안' 요구하는데, 정부 “일본이 호응할 차례”
3ㆍ1절 기념사를 통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화 제안에 일본이 냉담한 반응을 보인 가운데 정부가 “이제는 일본이 호응할 차례”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