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리바바 6개로 쪼갠다...시진핑 규제 속 빅테크 ‘돌파구’ 되나
중국 항저우 알리바바 본사. 로이터=연합뉴스 서슬퍼런 중국 당국 규제에 움츠리고 있던 빅테크 기업 알리바바가 분사라는 회심의 카드를 던졌다. 6개 기업으로 분할해 개별 상장까지
-
외국 떠돌던 마윈, 中 나타났다…알리바바 주가 뒤흔든 귀국
마윈(오른쪽 두번째) 중국 알리바바 창업자가 27일 항저우에 자신이 세운 윈구학교를 찾아 관계자들과 환담하고 있다. 윈구학교 웨이보 캡처 중국 인터넷 기업 알리바바를 창업한 마윈
-
韓 대리운전에 반한 88년생, 中 뒤흔든 ‘헬로 세계’ 만들다 유료 전용
2012년, 중국의 한 젊은 창업가가 서울에 왔다. 목적은 대리운전 시찰. 한국에서 성업하고 있는 대리운전 시스템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이 서비스를 어떻게 하면 중국 대륙에
-
‘적과의 동침’ 그 후 2년…LINE·배민, 오겡키데스카 유료 전용
Today’s Topic돈 벌러 외국 간 LINE과 배민, 오겡키데스카 2년 전인 2021년 3월, 한국 IT 업계에 두 개의 커다란 출범이 있었다. 일본에서 LINE(라인)
-
앤트그룹 잃은 마윈 재기 노리나… 홍콩서 태국 최대 부호와 회동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오른쪽)과 태국 최대 부호인 짜른 포카판(약칭 C.P.) 그룹의 셰궈민(謝國民) 회장(왼쪽)이 최근 홍콩에서 만났다는 보도가 나왔
-
"거울 보는 줄" 마윈도 인정한 '리틀 마윈' 길거리 구걸에 발칵
논란이 된 '리틀 마윈' 구걸 영상. 중국 펑파이 캡처.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과 닮아 '리틀 마윈'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중국 소년이 최근 길거리에서
-
시진핑에 찍힌 마윈, 결국 앤트그룹 지배권 잃었다
마윈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馬雲)이 자신이 세운 핀테크 회사 앤트그룹의 지배권을 잃었다. 이로써 앤트그룹을 두고 2020년 10월부터 이어진 중국 당
-
시진핑에 찍힌 자의 최후…마윈, 앤트그룹 지배권 잃었다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馬雲)이 자신이 세운 핀테크 회사 앤트그룹의 지배권을 잃었다. 이로써 앤트그룹을 두고 지난
-
넷플 '기묘한이야기'서 동성애 연기한 18세 배우 "실제로 게이"
미국 배우 노아 슈냅. AP=연합뉴스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에서 동성애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 노아 슈냅(18)이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혔
-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자회사 앤트그룹 지배권 상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로이터=연합뉴스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이 중국 최대 핀테크 기업인 앤트그룹의 지배권을 상실했다. 7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앤트그룹은 이날 홈페이지 공지
-
[강혜련의 휴먼임팩트] ‘친디아’ 경쟁에서 배우는 것
강혜련 이화여대 명예교수·경영학과 ‘친디아(Chindia)’라는 용어는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2005년 글로벌 경제를 전망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당시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
-
[차이나 유니콘](1) 2022 중국 신경제 유니콘 기업의 현주소는?
2021년 기준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45조 5000억 위안(약 8835조 6450억 원), 오는 2024년에는 68조 3000억 위안(약 1경 3263조 1770억 원)에
-
“마윈, 도쿄서 가족과 반년째 은신”
외부 활동이 거의 없었던 마윈이 도쿄 외곽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포토]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馬雲)이 약 6개월 전부터 가족과 함께
-
시진핑에 찍힌 뒤 잠행 2년째…알리바바 '마윈' 어딨나 봤더니
알리바바 마윈. 중앙포토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馬雲)이 약 6개월 전부터 가족과 함께 일본 도쿄에서 머물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9일(현지
-
2022 후룬리포트에 오른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한나라의 경제가 생동(生動)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일까. 그 해에 어떤 종목의 스타트업이, 어떤 혁신을 이루고 성과를 냈는지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지난
-
[돈줄 마른 스타트업] 미국은 민간 CVC가 시장 지탱, 일본·중국은 정부가 스타트업 육성
━ SPECIAL REPORT 후불결제(BNPL) 핀테크 스타트업 클라르나의 홈페이지 모습 [사진 클라르나] 59억 달러(약8조5000억원). ‘유럽의 페이팔’이라 불리는
-
2022 중국 AI 일자리 도감, ‘신입 초임, 평균 근속연수 얼마?’
도로에선 완전 자율주행 무인 택시가 내달리고, 병원에선 AI 로봇이 수술을 돕는다. TV에선 AI 앵커가 뉴스를 진행하고, 휴대폰에선 버추얼 인플루언서가 물건을 판매한다. 최
-
우크라 극적 선제골에…"푸틴! 푸틴!" 페네르바체 막장 응원
페네르바체(튀르키예) 팬들. AP=연합뉴스 유럽축구연맹(UEFA)이 디나모 키이우(우크라이나)와의 경기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이름을 외친 페네르바체(튀르키예)
-
WSJ "마윈, 앤트그룹 대주주 지배권 내려놓기로 했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로이터=연합뉴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이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의 대주주 지배권을 내려놓기로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 문제에 정통한 소
-
中 스마트폰 업체 오포·비보, OOOO 사업 늘렸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 오포와 비보가 인터넷 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온라인 소액대출 사업에 진출해 화제다. 얼마 전 충칭룽셰(重庆隆携)소액대출유한공사(이하, ‘충칭룽셰’)가 사
-
알리바바, 유럽 시장 공략 전에 들린 '이 나라'는?
중국 당국의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때리기'와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승승장구하던 알리바바(阿里巴巴)그룹과 마윈이 지난 2년여간* 암흑기를 보냈다. 지난달 27일 알리바바그
-
美 나이키, 中 안타도 NFT 뛰어들었다...왜?
중국 안타(安踏), 리닝(李宁), 나이키, 룰루레몬 이들 스포츠 브랜드를 하나로 잇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올들어 NFT(대체불가능토큰) 관련 제품을 출시하거나 관련 상표권을 출
-
WEB 3.0 뭐길래? …中 인터넷 거물 다 뛰어든다
중국 당국의 강도 높은 빅테크 규제가 1년 이상 이어지는 가운데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의 IT 거물은 인터넷의 새로운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홍콩에서 가
-
[유니콘 차이나](5) 징둥은 왜 세 차례나 상호를 변경했을까?
'징둥금융(JD Finance, 京東金融)'에서 'JD디지츠(JD Digits, 京東數科)', '징둥테크(JD Tech,京東科技)'까지… 상호를 얼마나 더 바꿔야 IPO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