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TS·블핑도 달려갔다…'갓' 쓰고 노래한 팝 아이콘 첫 내한
해리 스타일스가 20일 오후 서울 올림픽공원 KSPO돔에서 열린 첫 내한 공연에서 태극기를 들고 흔들고 있다. Lloyd Wakefield “한국 와서 행복해요!” 영국 출신
-
우아하고 기품있네, 낭만발레의 정수 ‘지젤’ 원조
━ 파리오페라발레단 30년만에 내한 ‘지젤’ 2막 윌리들의 군무. [사진 POB] 30년 만에 찾아오니 더 반갑다. 1669년 창단해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
-
어느새 서른 살, 예술의전당 생일잔치에 클래식 별들이 뜬다
예술의전당이 올해 전관 개관 30주년을 맞아 이달부터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진다. 14일 콘서트홀에서 미국 피아니스트 케빈 케너와 리사이틀을 갖는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일찌감치
-
경주엑스포대공원, 올해 4세대 미디어아트 전시관 건립
‘365일 힐링파크’를 지향하고 있는 경주엑스포대공원은 지난해 상시개장 전환 이후 최고의 실적을 올리며, 자립이 가능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에 경주엑스포대공원은
-
팝스타 해리 스타일스, 내년 3월 체조경기장서 첫 내한 공연
팝스타 해리 스타일스. AP=연합뉴스 팝스타 해리 스타일스가 내년 3월 20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KSPO DOME)에서 첫 내한 공연을 연다. 15일 라이브네이션
-
러시아의 백조 “젊은 관객들에 고전발레 아름다움 전하고파”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발레 씨어터(SPBT)의 지난해 런던 '백조의 호수' 공연 장면. 마린스키 발레단 수석무용수 김기민이 초청돼 SPBT의 간판 스타 이리
-
‘바위섬’ 가수 김원중 북녘 공연 추진하는 까닭은?
━ 한국, 섬 전락…육로로 해외여행 가자 차량으로 휴전선을 넘어가 북한과 러시아·독일 등에서의 공연을 추진 중인 가수 김원중씨. 왼쪽은 ‘코리아-유라시아 로드 런’의 1집
-
세계 음악인들은 2월에 러시아 소치로 몰려간다, 왜?
16일 러시아 소치시의 겨울극장에서 열린 공연. 피아니스트 김대진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장)이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을 협연하고 있다. [사진 소치겨울예술축제] 소치
-
서울예대 협업 연극 미국 브로드웨이서 호평
연극 '파노라마' 공연 장면. [사진 서울예대] 서울예대가 무대ㆍ영상 디자인에 참여한 연극 ‘파노라마(Panorama)’가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 무대에 올라 현
-
“진격하랍신다” 65세 김덕수 ‘신명’의 에너지, 광풍 일으키다
━ [정재숙의 공간탐색] 광대 60년, 김덕수의 사물놀이 전용극장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프라자 ‘김덕수의 사물놀이 전용극장’ 무대.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장구 송동운·
-
입 꾹 다문 김정은 진짜 속마음 "난 이제 트럼프와…"
━ [월간중앙] ‘로켓맨’ 김정은, 한 달 묵언의 속내 트럼프 아시아 방문, 시진핑 당대회 앞둔 ‘고슴도치’ 모드…말폭탄으로 존재감 높인 후 미·중의 대응 지켜본다 한반
-
“덩더꿍 절로 나오는 어깨춤, 쓰러지기 전까지 출 것”
“오픈 더 도어(Open the door), 문을 열어라!” 공연장의 무대만 바라보던 관객들이 화들짝 놀라 뒤를 쳐다봤다. 연주자들이 관객용 출입문을 통해 객석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
한 많은 고려 아리랑, 가까이서 천천히 바라본 시간
[매거진M] 멀게만 느껴지는 ‘고려인’이라는 단어엔 민족의 아픈 역사가 담겨 있다. 일제강점기 생계를 위해 이국땅 연해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스스로 고려인이라 불렀다. 1930년
-
고려인 고된 삶 위로했던 애절한 음악
[매거진M] '고려 아리랑:천산의 디바' 스틸 감독 김소영 장르 다큐멘터리 상영 시간 96분 등급 전체 관람가 ★★★☆ '고려인'은 일제강점기에 생존을 위해 연해주로 이주한
-
[문화동네] 이이남·김구림·강요배 등 14명 작품전 外
이이남·김구림·강요배 등 14명 작품전 이이남, 김구림, 권오상, 전명자, 강형구, 강요배 등 저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하는 작가 14명의 작품 100여점을 선보이는 ‘2017
-
유덕형 서울예대 총장 한국인 첫 ‘존 D. 록펠러 3세 상’
유덕형 총장(오른쪽)과 오닐 의장. [사진 서울예대]유덕형(78) 서울예술대학교 총장이 14일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아시아문화위원회(Asian Cultural Council)가
-
CEO를 위한 창조적 삶 (5) 노태철 모스크바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객원지휘자
유럽에서 10년, 미국에서 3년, 그리고 지금은 러시아에서 13년째 살고 있다. 지금까지 지휘했던 세계 곳곳의 오케스트라만 130여 개에 달한다. 한국 출신으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
전통의 힘과 파격의 묘미 함께 느껴보세요
허윤정 나윤선 ‘여우락’(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7월1~26일 국립극장)의 계절이 돌아왔다. 지난 5년간 젊은 아티스트들에게 열린 만남의 장을 제공하고 관객에게 국악의 새로운 매
-
전통의 힘과 파격의 자유 함께 느껴보세요
‘여우락’(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7월1~26일 국립극장)의 계절이 돌아왔다. 지난 5년간 젊은 아티스트들에게 열린 만남의 장을 제공하고 관객에게 국악의 새로운 매력을 알려온 사실
-
[함영준의 사람과 세상] 자칭 보통사람 정명훈 “천재 못 따라가니 평생 노력”
정명훈씨가 프랑스 프로방스 자택 정원에서 셋째 아들 민씨(지휘자)와 지난 2월 태어난 손자 준이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식탁에는 풋고추와 어린 홍당무 등이 놓여 있다
-
생명을 파괴하는 피카소의 여성 편력
75세 때의 피카소. 육체적으로 피카소보다 오래 산 여성은 피카소를 버린 프랑수와즈 한 명뿐이다. 나머지 6명은 모두 불행한 인생을 살다가 갔다. 최근 우연히 말디브(Maldive
-
[영국 록의 원류를 찾아서] 최고 록밴드 U2의 보노, 성탄절엔 거리의 악사 변신
아일랜드 더블린시내의 그래프턴가에서 연주하는 버스커(길거리 악사)와 그를 지켜보는 사람들. 세계 최고의 록밴드 U2의 보노는 매년 크리스마스이브가 되면 이 거리에 서서 불우이웃
-
중국엔 가스, 한·일과는 경협 … 러, 아시아로 중심이동
아시아로 향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행보가 거침없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미국·유럽연합(EU) 등 서방의 경제 제재에 대항해 아시아로의 중심 이동을 가속화하고 있다
-
푸틴의 거침없는 아시아 정책
아시아로 향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행보가 거침없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미국ㆍ유럽연합(EU) 등 서방의 경제 제재에 대항해 아시아로의 중심 이동을 가속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