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화우라늄' 장착...러 장갑차 뚫어버릴 美전차, 우크라 곧 도착
19일(현지시간) 독일 람슈타인 미국 공군기지에서 50여개국 국방장관과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 연락 그룹’(UDCG) 회의에서 발언하는 로이드 오스틴 미
-
'디지털=혁신'? 서울의 숲속 도서관은 '아날로그적 혁신'[BOOK]
책 표지. 어크로스 디지털이 할 수 없는 것들 데이비드 색스 지음 문희경 옮김 어크로스 코로나19가 위세를 떨치던 무렵, 파자마 바람에 맥주 한 캔을 들고 노트
-
어디 떨어질지 몰라 무섭다던 北미사일…정확도까지 붙었다 [정용수의 평양, 평양사람들]
━ 평양의 미사일과 판교 카카오 정용수 통일문화연구소장 #1. 2003년 가을 금강산 취재를 다녀올 때다. 금강산 온정각을 출발해 휴전선을 넘을 때까지 금강산 관광을 진
-
[정용수의 평양, 평양사람들] 9·19합의, 새벽잠 약속 깬 김정은…핵인질 전략 시작됐다
━ 평양의 미사일과 판교 카카오 정용수 통일문화연구소장 #1. 2003년 가을 금강산 취재를 다녀올 때다. 금강산 온정각을 출발해 휴전선을 넘을 때까지 금강산 관광을 진
-
오래된 나무 품은 책 쉼터, 공공건축의 미래 보여주다
━ 한은화의 공간탐구생활 지난해 12월 문 연 양천공원 책 쉼터의 모습. 이 공간 덕에 날씨와 상관없이 공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사진 서로아키텍츠] ‘토지약탈형 건축
-
금기 과감히 건드렸다…"서울의 미래" NYT가 주목한 이곳 [한은화의 공간탐구생활]
지난해 12월 문 연 서울 양천구 신정동 양천공원 책 쉼터. 공원의 오래된 나무를 베지 않고 그대로 품은 채 지었다. [사진 서로아키텍츠] ‘토지약탈형 건축’. 공원ㆍ녹지 분
-
[오병상의 코멘터리] 국민의힘 경선..왜 이렇게 달라졌나
1.국민의힘 당대표에 무려 10명이 출마했습니다. 여론조사 1위 이준석 전 최고위원과 2위 나경원 전 원내대표가 20일 나란히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전례
-
[소년중앙] 눈에서 손으로 귀로…천천히 감겨오는 LP의 매력
무민 캐릭터가 그려진 LP를 들고 포즈를 취한 두 사람. 애니메이션 LP는 깜찍한 캐릭터와 알록달록한 색으로 꾸며지곤 한다. CD 크기의 두 배가 넘는 동그란 판을 기계 위에 올
-
침대는 1도 안파는 침대 매장…오프라인 매장 반격 시작됐다
오프라인 매장의 하락세는 예견된 일이었다. 백가지 상품이 있다는 백(百)화점은 수만 가지 상품을 보유한 온라인 매장을 따라가기 어렵다. 아마존과 배달의 민족, 쿠팡과 마켓컬리 등
-
동네 공원에 카페 같은 도서관…삶의 품격이 달라졌다
지난 10월에 문을 연 서울 배봉산 숲속도서관. 친근하고 편안하면서도 품격을 갖춘 공공건축물이다. 아뜰리에 리옹 서울(담당 심훈용, 현지호)에서 설계했다. [사진 건축사진가 진효
-
동네 공원의 카페 같은 도서관, 작지만 품격 있는 공공건축
지난 10월에 서울 전농동에 문을 연 배봉산 숲속 도서관. 설계는 아틀리에 리옹 서울(담당 심훈용. 현지호)에서 했다. [사진 아뜰리에 리옹 서울 ] 배봉산 숲속 도서관의 실내
-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홍콩시위대 위치정보 껐다···中 디지털 감시에 아날로그 반격
홍콩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공지능(AI)을 동원한 중국식 디지털 감시체계에 걸리지 않으려는 ‘반(反) 디지털 생존법’이 확산하고 있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와 일본의 니
-
[이코노미스트 ]아날로그의 귀환? 밀레니얼·Z세대의 신문물로 각광
LP 생산, 종이 잡지 발행 늘어… 디지털 수익모델과 결합하거나 아이돌 굿즈 취급 성수동에 위치한 마장뮤직앤픽쳐스 LP 레코드 공장. #1. 4월 18일 오후 서울 성수동의
-
[정재승의 퍼스펙티브] ‘아날로그의 반격’ 독립서점은 도심의 사려니숲이다
━ 독립서점 현상 오랜만에 책을 출간해 신간 홍보에 참여해보니 출판시장 변화들을 절감한다. 주요 일간지 북 섹션이나 광고의 영향력은 줄었고, 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소셜
-
[정재승 칼럼] 워라밸에서 바브밸 시대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 저널리스트 데이빗 색스가 말한 ‘아날로그의 반격’ 현상이 도시 곳곳에서 관찰된다. LP 레코드로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카
-
[책 속으로] 잡지가 죽었다고? 좁고 깊게 파니 잘만 나가는데 …
이번 달 ‘여성중앙’이 무기한 휴간에 들어갔다. 1970년에 창간돼 전성기 때 10만 부까지 찍었던 잡지다. 낯선 소식은 아니지만 거함이 침몰한 기분이다. ‘종이 잡지의 대멸종’
-
잡지가 죽었다고? 고퀄 소규모 독립잡지는 순항 중
기존 종이잡지가 사라진 자리에 완성도 높은 소규모 고퀄리티 잡지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중이다. 건축 아이디어와 일상의 삶을 동시에 겨냥한 잡지 '매거진브리크' 이
-
[책 속으로] 그리운 아날로그 … 실리콘 밸리에도 명상 바람
━ 중앙일보·교보문고 선정 '2017 올해의 책 10' 아날로그의 반격 아날로그의 반격 데이비드 색스 지음 박상현·이승연 옮김 어크로스 [경제·경영] 우리는 빛의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상상이 현실이 되고 현실이 가상이 되는 세계
전 세계 VR과 AR 시장이 올해부터 4년 동안 매년 2배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증강현실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꿔놓을까. 증강현실을 우리에게 확실히 각인
-
[직업의 정석]②덕업일치-영화 '아가씨'의 '간호사2' 배우는?
“당신은 왜 일하십니까?” 우리가 지나쳐보던, 우리들의 일 이야기를 전합니다. 이번 회는 '덕업일치', 취미를 일로 승화시킨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스압(스크롤 압박)’ 주의!
-
[직업의 정석]나는 '꿈꾸는 단역배우' 박신혜입니다
"당신은 왜 일 하십니까?"뻔한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열에 여덟아홉은 "그야 물론 돈 때문"이라고 합니다. 정말 우리는 밥벌이 때문에 일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곳곳에서 일하
-
[직업의 정석] 나는 '비정규 육체파 제주 일꾼' 김태호입니다
“당신은 왜 일하십니까?”뻔한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열에 여덟아홉은 “그야 물론 돈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정말 우리는 밥벌이 때문에 일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곳곳에
-
[직업의 정석] 나는 딸기 키우는 '청년 농사꾼' 권두현입니다
"당신은 왜 일 하십니까?"뻔한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열에 여덟아홉은 "그야 물론 돈 때문"이라고 합니다. 정말 우리는 밥벌이 때문에 일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곳곳에서 일하
-
[직업의 정석] '아날로그 음악의 반격' 나는 LP 만드는 하종욱입니다
"당신은 왜 일 하십니까?"뻔한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열에 여덟아홉은 "그야 물론 돈 때문"이라고 합니다. 정말 우리는 밥벌이 때문에 일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곳곳에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