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춘절과 잉어찜(淸烝鯉魚)
[사진 셔터스톡] 설날, 우리는 떡국을 먹는다. 갈비찜도 빠지면 서운하다. 없으면 소고기 산적은 놓여야 그래도 명절 상차림 기분이 난다. 중국 춘절 음식은 기본이 만두(餃子)
-
[단독] 그물 속 장어까지 잡아먹는다…한강 가마우지의 습격
*물고기 도둑 날으는 돌연변이 펭귄인가, 텃새된 가마우지 가득하네. 헤엄도 고기보다 재빨라서, 몽조리 붙잡고야 마는구나. 뱀장어 쫓아가다 꾀부릴땐, 그물속 헤집고서 훔쳐먹고, 하
-
[단독] '참게 그물' 죄다 떠내려갔다…"늑장 예보에 조업 망쳤다"
4일 오전 11시쯤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임진강 두지리 선착장. 밤사이 내린 집중호우로 강물은 평소보다 수위가 2m가량 높아져 있었다. 강가에는 떠밀려 온 쓰레기가 쌓여 있었고
-
[소년중앙] 담수 생태계의 보고 남한강에서 각양각색 민물고기를 만나다
한국 쏘가리부터 멸종 위기 돌상어까지 남한강 담수어와의 특별한 만남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에 따르면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봉 기슭의 검룡소에서 발원해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
-
90년 전 즐긴 개성식 천렵국, 서울서 되살렸다
━ 이택희의 맛따라기 채소 4가지를 곁들인 쏘가리찜. 한낮이면 벌써 발길이 저절로 그늘을 찾는다. 여름이 오는 신호다. 오늘(21일)은 24절기 중 춘분부터 네 번째인 소
-
조각가 김종영, 울긋불긋 ‘꽃대궐’서 미나리 생선탕 즐겨
━ 예술가의 한끼 사진가 임응식이 촬영한 1969년의 김종영. [사진 임응식사진아카이브] 창원은 큰 도시다. 경남도청의 소재지로 수많은 공단이 들어서 있다. 그러나 개발
-
흙도 털지 않고 먹는 귀한 맛 송이, 라면에 넣었더니[백종원의사계MDI]
연산군도 영조도 열광했던 그 맛 황금송이를 먹으러 양양으로 백종원의 사계 MDI. 송이버섯 ■ 「 ‘백종원의 사계 MDI’는 티빙(Tving) 오리지날 콘텐트인 ‘백종원
-
바다없는 충북, 민물고기 아쿠아리움 만들어 관광객 끌어 모은다
━ 괴산에 민물고기 아쿠아리움 추진 바다가 없는 충북에서 민물고기 관람 시설 조성이 잇따라 추진되고 있다. 충북 단양에 있는 국내 최대 민물고기 전시관 '다누리 아쿠아리
-
트럼프가 먹은 독도새우, 오징어, 꽁치…울릉도 대표 생선은?
울릉도의 부속섬인 관음도에는 본섬과 연결된 다리가 놓여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독도를 행정구역으로 품은 울릉도를 상징하는 바닷고기는 무엇일까. 경북 울릉군이 지역을 대표하는
-
여덟 약재 ‘팔물탕’ 밥, 약초·산나물의 하모니…청풍호 매운탕도 명물
━ 일일오끼 - 제천 미식여행 충북 제천 망월산(336m) 자락에서 굽어본 청풍호의 풍경. 산 좋고 물 좋은 고장에서는 먹거리 걱정은 덜어도 좋다. 제천은 전체 면적의 7
-
청풍호 장어, 빨간 어묵, 약초 밥… 의외의 연속 제천 맛 여행
━ 일일오끼-충북 제천 “먹을 게 뭐 있다고?” 충북 제천으로 미식 여행을 간다고 하면, 의아해할 사람이 많을 게다. 맞다. 제천은 ‘맛’으로 기억되는 고장이 아니다.
-
북풍이 가장 먼저 닿는 곳, 한탄강 얼음 아래서 칼칼함을 길어올렸다
━ 일일오끼 - 경기도 포천 50만 년 세월이 빚었다는 한탄강. 지난 7일 오전 11시 영하 15도의 한파로 경기도 포천 한탄강 멍우리협곡의 물길도 꽁꽁 얼어붙었다. 한탄
-
50만년 세월이 빚은 비밀…한탄강 얼어도 ‘혀’ 녹이는 그 맛
달짝지근한 간장 양념을 한 뒤 하루를 재워 숯불에 굽는 이동갈비. 포천이 낳은 대표적인 먹거리다. 경기도 포천은 대한민국 최북단이 멀지 않은 곳이다. 요즘처럼 추울 때는 단단히
-
닭갈비·막국수냐, SNS서 뜬 감자빵이냐…뭐부터 먹을까
━ 일일오끼 - 강원도 춘천 춘천은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고, 너른 호수가 펼쳐지는 물의 도시다. 춘천댐 매운탕골을 비롯해 강변과 호반으로 유서 깊은 맛집이 널려 있다.
-
춘천 맛대결! 정용진 막국수, 검색 1등 닭갈비, SNS 스타 감자빵
━ 일일오끼 - 강원도 춘천 춘천이 자랑하는 대표 먹거리 닭갈비. 남녀노소 부담없이 즐기기 좋은 국민 외식 메뉴기도 하다. 입이 즐거우면 여행도 즐거워진다. 날이 궂어도
-
[전영기 칼럼니스트의 눈] 쓰레기에서 장미꽃을 피우는 동해시의 산업재생
━ 쌍용양회 무릉3지구서 태어난 호수 2개 동해시 석회석 폐광지인 무릉3지구의 과거, 현재, 미래. 2020년 폐광지 빈 터에 K1 거대 호수가 생겨난 모습. [사진 동해
-
'내륙 자갈치시장'이라더니…황량한 괴산 수산단지, 꽃 심는다
━ 매운탕 집 6개월 매출 2000만원…빈 수조 방치 충북 괴산군에 있는 수산식품산업거점단지에 입주한 식당 6곳 중 5곳은 장사가 되지 않아 휴업 중이다. 최종권 기자
-
중국인들은 왜 '썩은 두부'를 먹을까?
상하이의 유명 관광지를 거닐던 때였다. 중국 특유의 스케일과 휘황찬란한 건물에 압도당해 있을 때쯤, 갑자기 코를 찌르는 냄새가 났다. 바로 '취두부' 냄새였다. 가뜩이나 습도 높
-
'하루 7㎏꿀꺽' 가마우지 단양 공습 "20㎏ 잡던 쏘가리 2㎏뿐"
가마우지들이 먹잇감을 두고 다투고 있다. 뉴스1 충북 단양에서 40년째 내수면 어업을 하는 이재완(60)씨는 요즘 줄어든 어획량에 속이 타들어 간다. 이씨는 “그물을 걷어 올
-
[르포]국내 돼지열병 발원지 임진강 가 보니…북한 쓰레기 떠내려와
지난 29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자장리 임진강. 어민이 모는 1t급 어선을 타고 나가본 임진강변은 쓰레기 더미가 곳곳에 널려 있었다. 물이 불어나면 잠기는 강변 언덕의
-
쏘가리에 ‘이 사료’ 먹이면 1.8배 빨리 쑥쑥…대량 양식의 길 열렸다
쏘가리 수년간 쏘가리(사진) 대량 양식을 연구해 온 충북내수연구소는 14일 쏘가리 성장 속도를 1.8배 빠르게 하는 전용 사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잡식성 어류와 달리 쏘가리는
-
‘민물고기 제왕’ 쏘가리 1.8배 빨리 키우는 사료 등장
국내 최대 민물고기 전시관인 다누리 아쿠아리움에 있는 쏘가리. [중앙포토] ‘민물고기의 제왕’으로 불리는 쏘가리는 대표적인 토종 육식 어종이다.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로 육질
-
홍준표 “민간인 사찰 의혹, 文 정부도 탄핵감…내 목표는”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제작하는 유튜브 방송 TV홍카콜라. [사진 유튜브 캡처]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는 31일 문재인 정부의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해 '탄핵감'이라고
-
'핑크빛' 배현진과 홍준표…핑크 의상 맞추고 생방송 출연
[사진 '홍카콜라' 캡처] '홍카콜라' 제작자로 참여한 배현진 전 자유한국당 대변인이 31일 '홍카콜라' 생방송에 짧게 모습을 드러냈다. 의상은 홍 전 대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