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막말 서슴지 않는 시진핑 언어…이젠 대입 시험에도 등장했다 유료 전용
「 제2부: 시진핑의 치국책략(治國策略) 」 ━ 제6장: 대입 시험 등장한 시진핑 언어… 논리보다 감성으로 중국 지배 중국 대입시험인 가오카오(高考)는 매년 6월 초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사서오경에 빠진 명륜당, 영어·공학 가르친 명륜관
━ 한·일 유학교육, 같고도 다른… 김정탁 노장사상가 서울 성균관에는 명륜당이 있고, 일본 하기(萩)에는 명륜관이 있다. 하기는 관부연락선 일본 쪽 종착지인 시모노세키(下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여자라고 성인 못 되나” 친정·시집 둘 다 일으킨 수퍼맘
━ ‘수양과 실천’의 여장부 장계향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바다와 산으로 둘러싸인 영해부(寧海府·현재 경북 영덕군 영해면) 인량리의 너른 들녘을 여섯
-
세종도 3년喪 길다고 했다…이랬던 유교, 전쟁 뒤 생긴 일 유료 전용
━ #궁궁통1 ‘유교’ 하면 왠지 따분하고 고리타분한 느낌을 갖는 사람도 있습니다. 공자왈맹자왈 하면서 딱딱한 예법을 늘어놓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
[박석무의 실학산책] ‘과이불개’ 광인의 길을 가려는가
박석무 다산학자·우석대 석좌교수 얼마 전 연말에 대학교수들이 2022년 한 해를 평가하는 사자성어로 ‘과이불개(過而不改)’를 선정하였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뉘우치고 반성하여 바르
-
"내가 하면 윤석열도 한다" 尹心 등에 업고 뛰는 김은혜 [밀착마크]
‘강냉이와 도라지차’ 23일 오전, 인터뷰를 위해 동승한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의 흰색 카니발엔 김 후보를 움직이게 하는 ‘연료’들이 곳곳에 놓여 있었다. 김 후보는
-
[김준태의 ‘사직상소에 비친 조선 선비의 경세관’ (27)] 국정농단한 외척에 맞서 배수의 진
일러스트:김회룡 aseokim@joongang.co.kr명종 후반기부터 선조 즉위 초기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방계승통(선조는 조선왕조에서 방계로서 임금이 된 첫 사례로, 임금의
-
한국 대표 ‘정신’ 퇴계 이황 모신 곳 공자 후손이 세운 ‘추로지향’ 비석이…
5 도산서당 기숙사인 농운정사. 학생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라는 의미에서 지붕을 ‘공(工)’자 형태로 지었다. 김경빈 기자 세계에 내놓을 한국의 대표적 ‘정신’으로 꼽는다면을 빼놓을
-
“죽을 고비서도 신념 지켜, 중국 역사적 인물과 흡사”
1 중국을 남북으로 잇는 대운하의 위청(盂城) 구간에서 바라본 운하 물길이다. 아직도 풍부한 수량의 운하 위로 많은 화물선이 다니고 있다. 2 중국 랴오청에 위치한 운하박물관에
-
산수화 같은 풍경, 다양한 먹거리와 문화…365일이 즐거운 축제의 땅
구이저우성의 볼거리·먹거리1 산수화 같은 풍경그림 같은 윈서촌(云舍村) 풍경.동양의 산수화를 꼭 닮은 풍경을 음미하면서 자연의 교향곡을 즐길 수 있다. 구이저우 안순시의 명승지 황
-
왕치산-후쿠야마 대담 전문
올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유명 정치사상가인 프랜시스 후쿠야마와 저명한 비교경제학자인 아오키 마사히코는 중국 베이징에서 거행된 해외전문가국(外專局·외전국)의 개혁 건의 좌담회
-
맛대맛 라이벌 (21) 장어구이 - 여름 제철 보양식
장어는 생긴 건 다소 징그럽지만 몸에는 좋은 보양식입니다. 비타민 A·E가 풍부하고 불포화 지방을 함유해 혈관노화를 예방한다고 합니다. 특히 여름부터 초가을이 제철이라고 하니 무더
-
내 마음의 명문장 한형조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형조 교수는 청계산 자락에 자리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연을 복이라 여긴다. 동쪽 연못가에 앉아 봄볕을 맞던 한 교수는 “맑은 물에는 갓끈을 씻고, 탁한 물에는 발을 씻는다”며 신
-
명분·이념 갈등 해소, 내 마음 속 양심이 답
양명학은 표면적인 명분보다 내면의 양심에 귀 기울이는 유학의 한 갈래다. 양심 혹은 양지를 잘 파악하기 위해 불교의 화두 참선과 비슷한 정좌법을 활용한다. 『양명학의 정신』을 출간
-
경주 양동마을, 성리학 이념 깃든 힐링의 성지
양동마을은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전형적 형태를 갖추고 있다. 언덕 위에 종가가 있고, 골짜기를 따라 기와집과 초가집들이 차곡차곡 늘어서 종가를 감싼다. 현재도 주민 400여 명이 살
-
동양고전에 묻다 ⑦·끝 새로운 나를 찾아서
박지원(左), 이황(右) 중앙일보와 플라톤 아카데미가 함께해온 ‘동양고전에 묻다’의 마지막 회다. 국내 고전 전문가들과 함께 웰빙·소통·상상력·리더십·행복 등 우리 시대의 화두를
-
이영관 교수의 조선 리더십 충청도 기행 ⑭ 이순신의 창조적 완벽주의
1. 통영 충렬사에서 문화관광해설사로부터 설명을 듣는 관광객들. 2. 제승당에서 바라본 한산도 앞바다 풍경. 3. 한산도 제승당 경내의 수루 [사진= 이영관 교수] 조선왕조를 빛낸
-
‘보이지 않는 유교’와의 대화가 우리 사회 이끄는 힘
20세기 유교를 보는 시선의 전변20세기, 유교는 잊혀졌다. 1)망국은 유교에 원죄를 묻고, 다시는 말을 못하게 입을 봉했다. 그 절망을 단재 신채호가 대변하고 있다. “닭이나
-
눈에만 담아두기 아까운 우리 동네, 찰칵
킨텍스 로비와 정발산역, 주엽역에서는 31일까지 고양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의 도시, 고양’을 주제로 열린 제3회 고양 사진·영상공모
-
역세권 대단지 프리미엄의 명품 아파트,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파격 혜택 특별분양 화제!
초특급 블록버스터 태풍같은 아파트가 온다. 역세권 2700세대 대단지의 프리미엄과 차별화된 초고층 최고급아파트!! 감히 최고라 장담할 수 있는 최고급 명품 아파트!! 대지 27,3
-
고품격 명품아파트,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파격적 혜택으로 특별분양해 화제
초특급 블록버스터 태풍같은 아파트가 온다. 역세권 2700세대 대단지의 프리미엄과 차별화된 초고층 최고급아파트!! 감히 최고라 장담할 수 있는 최고급 명품 아파트!! 대지 27,3
-
“화두란 상념 차단하는 도구…정신의 빛을 성취하라”
1. 율곡의 입산(入山)을 옹호하는 논리는 다양했다. “불교 또한 ‘마음의 수련(心學)’을 목표로 하고 있지 않으냐”는 온건한 변명에서부터, 우암 송시열의 허를 찌르는 역습도 있
-
“실천이 어렵다지만, 제대로 알기가 더 어렵다”
주자학은 ‘지식’을 핵심 브랜드로 내세웠다. 이 카드 하나로 오랜 불교의 지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기실 정신의 ‘수렴(收斂)’, 그 노하우에서 유교는 불교와 시쳇말로 잽이 안
-
[남윤호의 시장 헤집기]도비문답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고객만족, 품질관리, 사회공헌…. 기업들이 흔히 내세우는 슬로건이다. 원래는 일본 기업들이 전매특허처럼 쓰던 거였다. 나온 지 270년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