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소비자만족 브랜드 대상 1위’ 시상식 성료
[사진 : 소비자만족 브랜드 대상 시상식] 9월 22일 스탠포드호텔코리아 그랜드볼룸에서 중앙일보가 후원하고 제이와이네트워크가 주최하는 ‘2023 소비자만족 브랜드 대상 1위’ 시
-
"광화문에 대통령 글씨 쓴 격"…희경루에 자신 글씨 새긴 시장
광주광역시가 지역 대표 누각인 희경루를 복원하면서 현판에 강기정 시장 서체와 낙관을 사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오전 광주 남구 구동 광주공원 인근에서 희경루의 중건식이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술 빚고 김치 담근 선비 김유, 그가 품은 큰 뜻은…
━ 16세기 안동 지역 요리책 『수운잡방』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6세기 경북 안동에 살던 한 사족 남성이 요리책을 썼다. 유교 지식의 자장 내에 있
-
대원군, 조대비가 복원한 왕정 체제 무시하다 7년 만에 실각
━ [근현대사 특강] 흥선대원군의 흥망 1882년 6월 10일 임오군란으로 흥선대원군이 재집권에 성공한 다음 날, 의정부는 대원군을 받드는 의절(儀節) 6가지를 왕에게 올
-
JP “위안부 속임수 내가 봤다” 日지도층 앞 작심 연설 (25) 유료 전용
「 생전의 JP가 중앙일보에 현대사 증언을 연재했던 2015년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이었다. 1965년 양국 수교는 곡절과 파란의 역사였다. 김종필(JP) 중앙정보부장은 6
-
[아이랑GO] 해녀는 어떻게 물질할까? 인류문화유산 ‘제주 해녀문화’ 3단계 체험하기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이번
-
‘여걸’ 조대비 개혁 정책, 흥선대원군 치적으로 둔갑됐다
━ [근현대사 특강] 고종의 즉위와 정계 변화 〈하〉 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면 왕실의 모계 어른인 대왕대비 또는 대비가 일정한 기간 정사를 돌본다. 왕이 앉은 자리 가까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유배지서 일가 일으킨 이문건, 눈물과 콧물의 육아일기
━ 유학자의 삶, 가족의 무게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을사년(1545) 9월 6일, 큰형의 아들 이휘(李煇)가 역모죄로 거론되자 승지 이문건(李文楗·1
-
[소년중앙]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인 이유, 지리·역사·국제법적으로 풀어볼까요
“독도는 우리 땅~!” 어릴 때부터 많이 듣고 많이 부른 노래의 후렴구로 글자만 봐도 절로 흥얼거리게 되는 가사죠. 동해의 화산섬 독도는 우리나라 동쪽 끝에 있어 가장 먼저 해가
-
'민둥산을 푸른 빛으로' 韓산림녹화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추진한다
1973~1977년 영일만 복구 사진. 산림녹화 기록물 중 일부다. 사진 문화재청=연합뉴스 전쟁 이후 폐허가 된 국토를 성공적으로 녹화(綠化)한 과정이 기록된 ‘산림녹화 기록
-
AI 거짓말, 걸러낼 수 있을까…내년 총선, ‘가짜 뉴스’와의 전쟁 유료 전용
Today’s Topic‘메이드 바이 AI’… 가짜뉴스와의 전쟁 “여러분, 저는 사실 인공지능(AI)입니다. 혹시 제가 에이브러햄 링컨으로 보인다면 그것 또한 AI의 탓이라고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권력·치정에 눈먼 인조 “자식 죽이는 것도 왕의 권한”
━ 공포영화 뺨치는 궁궐 잔혹사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총명한 자질의 소현세자가 34세 나이로 급서하자 나라는 온통 충격에 휩싸인다. 청나라 볼모로 심
-
광운대 박재영교수팀, 전원이 필요 없는 보행 분석 스마트 깔창 개발
박재영 교수(좌), 쿠마르 석박통합과정(우) 광운대 박재영교수 연구팀(전자공학과)은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기반 무전원 압력센서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보행 분석 스마트 깔창(인솔)
-
[세컷칼럼] 이민 자석 국가로의 시작 ‘웰컴 투 코리아’
팬데믹 이후의 메가 트렌드는 바로 ‘이주(migration)’다. 장벽 완화와 개방, 유인이 전쟁 수준이다. 성경을 빗대면 “내가 너희의 하느님 될 터이니 너희는 내 백성이 되거
-
[최훈 칼럼] 이민 자석 국가로의 시작 ‘웰컴 투 코리아’
최훈 주필 팬데믹 이후의 메가 트렌드는 바로 ‘이주(migration)’다. 장벽 완화와 개방, 유인이 전쟁 수준이다. 성경을 빗대면 “내가 너희의 하느님 될 터이니 너희는 내
-
[아이랑GO] 조선 땅에 코끼리가? 알고 보면 더 재밌는 조선왕조 500년
책과 함께 크는 아이를 바라신다고요? 근데 어떤 책이 좋은지 모르겠다면, 아이랑GO가 준비한 책 이야기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랑GO가 일주일에 한 번, 마법처럼 아이들이 푹
-
고종·순종실록, 1만여 종 공문서 자료 빼 일제 통치 정당화
━ [근현대사 특강] 일제 식민주의가 남긴 멍에 〈하〉 고종 시대사는 서로 다른 견해가 엇갈리고 대립하기도 하여 혼란스럽다. 필자처럼 긍정적으로 보려는 연구자가 있는가 하
-
[아이랑GO] 우크라이나 갈까 고구려 갈까…책으로 떠나는 세계 여행
책과 함께 크는 아이를 바라신다고요? 근데 어떤 책이 좋은지 모르겠다면, 아이랑GO가 준비한 책 이야기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랑GO가 일주일에 한 번, 마법처럼 아이들이 푹
-
[세컷칼럼] 부산 엑스포와 ‘직지(直指)’
“박람회 때 도와준 공로가 있으니 특별히 훈1등에 올려 서임하고 태극장(太極章)을 수여하라.” 『고종실록』 39년(1902년) 10월 20일의 기록이다. 여기서 박람회는 19
-
[박정호의 시시각각] 부산 엑스포와 ‘직지(直指)’
다음 달 16일까지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서 전시되는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직지). [뉴스1] “박람회 때 도와준 공로가 있으니 특별히 훈1등에 올려 서임하고 태극장(太
-
K유물에 빠진 미 게임사, 조선 ‘죽책’ 152년 만에 귀국시켜
━ 한국 문화재 환수 앞장선 미 게임사 라이엇 게임즈가 2012년부터 문화재청과 산하 국외소재문화재단, 문화유산국민신탁 등과 함께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 프로젝트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만고충신 김상용, 그는 과연 나라 위해 폭사했나
━ 명가(名家)의 탄생, 빛과 그림자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선 후기 세도정치를 주도한 장동 김씨는 안동 김씨의 한 분파로 서울을 근거지로 16세기에
-
"조선시대 책 중개상"…현대판 '책쾌' 연못 위 도서관에 모인다
━ 조선시대 책장수 ‘책쾌’ 안녕하시오. 나는 ‘책쾌(冊儈)’요. 처음 들어보는 이가 대부분일 거요. 서점업이 금지된 조선시대 때 책을 사고팔던 ‘서적 중개상(거간꾼)’
-
[송성수의 우리 과학 이야기] 세계 최초 우량계 측우기는 문종의 세자 시절 작품
송성수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지난 5월 19일은 제58회 발명의 날이었다. 발명의 날은 1957년에 상공부 특허국(현재의 특허청)이 제정했다. 그 유래는 세종 24년(144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