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운대 이대석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을 위한 인간 뇌 모사 시냅스 반도체 소자 개발
왼쪽부터 김혜진 석사, 한건희 석사, 서종선 석사, 이대석 교수 광운대학교 전자재료공학과 이대석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의 김혜진 석사(제1저자), 한건희 석사, 서종선 석사, 김
-
떼쓰는 아이, 뇌 때문이었다…달래줘? 무시해? 이렇게 해라 유료 전용
■ 「 hello! Parents가 양육자의 문제 상황, 고민을 주제로 대신 책을 읽어드립니다. 이번 주제는 ‘육아에 정답이 있을까?’입니다. 지난주에 『최강의 데이터육아』를
-
문해력 골든타임 놓쳤다면? 뇌 바꾸는 가장 강력한 방법 유료 전용
‘공부에는 때가 없다’는 말이 있죠. 하지만 문해력 발달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습니다. 만 8세까지의 문해력이 평생 문해력 발달의 골든 타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엔 적
-
치매 확률 99% ‘가문의 저주’…그걸 뚫은 남매가 나타났다 유료 전용
지구 반대편 남미 콜롬비아엔 치매 걸릴 확률이 99%에 달하는 사람들이 모여 삽니다. 이들의 시조는 1700년대 초 스페인 바스크에서 건너왔습니다. 안데스산맥 중서부 파이사(Pa
-
재료연, 몸에 부착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 세계 최초 개발
체 부착이 가능한 웨어러블 엣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 응용 모식도(左), 고유연 기판에 완성된 고집적 뉴로모픽 시냅스 소자 어레이 사진(右) 연구책임자인 재료연 김용훈 선임연구원
-
뇌에 칩 이식, 죽지 않고 병들지 않는 ‘영생 신인류’ 가능할까
━ 뉴럴링크 ‘기계 인간’ 실험 파장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사후세계에 대해선 아직 밝혀진 바가 없지만, 적어도 육신은 소멸한다. 이런 ‘상식’이 머잖아 깨질지도 모르겠다
-
"AI, 핵처럼 규제하자"는 챗GPT 아버지…한국AI 숨통 조여온다 [AI 패권전쟁]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16일 미 상원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인공지능(AI) 선두주자들의 ‘사다리 걷어차기’인가. AI가
-
[세컷칼럼] “악마와의 거래”, 그러나 AI에 올인해야 하는 이유
“인간은 지금 전능을 얻어 신이 되려는 욕망에 악마와의 어떤 흥정도 불사하는 포스터스 박사(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극 중 인물)를 닮아간다. 인간은 포스터스 박사다. 동시에 악마인
-
[최훈 칼럼] “악마와의 거래”, 그러나 AI에 올인해야 하는 이유
최훈 주필 “인간은 지금 전능을 얻어 신이 되려는 욕망에 악마와의 어떤 흥정도 불사하는 포스터스 박사(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극 중 인물)를 닮아간다. 인간은 포스터스 박사다. 동시
-
내 회사 기밀로 남 AI 키울라…데이터 전쟁, 새 규칙 필요해 유료 전용
Today’s Topic ‘AI 생태계’ 전쟁 Part 2AI 전쟁은 ‘데이터 전쟁’? AI 시대, 새로운 규칙은 20세기 자원의 왕이 석유였다면, 21세기 자원의 왕은
-
‘IQ 98’ 아이에 낙담한 부모, 소아정신과 의사의 일침 유료 전용
“머리는 좋은데 노력을 안 해요.” “성적이 안 나오는 게 머리가 나빠서일까요?” 아이 공부와 관련된 부모의 고민 중 빠지지 않는 요인, 바로 ‘머리’입니다. hello! P
-
네카라쿠배→네카엘스크…이젠 ‘챗GPT 모먼트’ 왔다 유료 전용
Today’s Topic졸면 죽는 ‘AI 생태계’ 전쟁, Part1한국 기업, 어느 틈을 어떻게 공략할까 아이폰 모먼트, 그리고 16년 만에 ‘챗GPT’ 모먼트가 왔다. 빌 게이
-
[건강한 가족] ‘고난도 시술’ 전체 임플란트, 경험 풍부한 의료진 선택을
기고 최준희 세이프플란트치과 원장 나이 들수록 치아를 상실하게 되면서 저작 기능이 떨어지고, 그 결과 육체적 건강을 잃게 된다. 씹는 저작 운동은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하지만 뇌
-
[건강한 가족] 인삼에 든 비사포닌 성분, 인지기능 개선 효과 입증
병원리포트 경희대 약대 류종훈 교수팀 기억력 손상된 쥐에 실험한 결과 단기 기억·물체 인식능력 좋아져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는 물론 그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
-
MS가 놀랐다, 구글·챗GPT 잡는 中 AI…"혁신은 年 아닌 月 단위"
지난 21일, 마이크로소프트의 부회장인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는 닛케이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AI 연구 기관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 빅테크 기
-
광운대 이대석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알고리즘 컴퓨팅을 위한 고신뢰성 시냅스소자 개발
왼쪽부터 한건희 석사, 서종선 석사, 김혜진 석사, 이대석 교수 본교 전자재료공학과 이대석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의 한건희 석사(제1저자), 서종선 석사, 김혜진 석사 그리고 이
-
북한도 무서워한다는 ‘중2병’…멍 때리는 시간을 주세요 유료 전용
hello! Parents가 양육자의 문제 상황, 고민을 주제로 4권의 책을 선정해 대신 읽어 드립니다. 첫 번째 주제는 뇌과학이었는데요, 하워드 가드너의『다중지능』에 이어 이번
-
메타도 참전, 격해지는 초거대 AI 경쟁
메타가 초거대 언어 모델(LLM)인 ‘라마(LLaMA)’를 출시했다. 빅테크가 이끄는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 대열에 메타도 합류한 모양새다. 불붙는 경쟁 뒤에는 “비용 부담
-
[팩플] 메타도 한다, 초거대AI…실적‧윤리 고민에도 공개한 이유
REUTERS=연합뉴스 메타가 초거대 언어 모델(LLM)인 ‘라마(LLaMA)’를 출시했다. 빅테크들이 이끌고 있는 초거대 인공지능(AI) 경쟁 대열에 메타도 합류한 모양새다.
-
재료연, 인간 뇌와 유사한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 세계 최초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 권정대 박사연구팀이 리튬이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이온을 박막화해 고집적, 고신뢰
-
구글이 유일하게 못잡은 나라…여기에 韓 IT산업 강점 있다 [챗GPT AI 전쟁②]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 충격에 구글도 놀랐다는데 한국 정보기술(IT) 기업의 설 자리가 있을까. 의외의 강점이 있다. 세계 어디서도 찾아보기 힘든 국산 검색·메신저 플랫
-
‘검색 왕좌’ 구글 무너뜨린다, 12조 쏟아붓는 MS 신무기 유료 전용
「 “지금 OpenAI(오픈AI)는 새로운 골드러시의 한복판에 있다.” 」 뉴욕타임스(NYT)는 ChatGPT(챗GPT)를 만든 오픈AI 등 인공지능(AI) 관련 회사의 근황
-
3년뒤 90조 시장이 열린다, 국가 대결로 번진 ‘AI 반도체’ 유료 전용
Today’s Topic AI의 두뇌 싸움, AI반도체 ‘춘추전국시대’ 넷플릭스는 3년 반, 페이스북은 10개월, 인스타그램은 두 달 반, 챗GPT는 5일. 각 서비스가 사용
-
[노트북을 열며] 챗GPT 길들이기
박수련 IT산업부 부장 “좋은 작품이란 작품은 몽땅 읽어둬야 해. 그래야 이제껏 어떤 것들이 쓰였는지 알 수 있으니까. (중략) 어떤 예술에서고 낫게 만들 수 있다면 뭐든 훔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