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년중앙] "하늘 천 땅 지"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 가르치는 서당 교육 맛보기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는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대학교를 거치며 각 나잇대에 필요한 교육을 받죠. 특히 초등교육 6년, 중등교육 3년은 국가에서 제정한 법률에 따라 취학 연령
-
세종도 3년喪 길다고 했다…이랬던 유교, 전쟁 뒤 생긴 일 유료 전용
━ #궁궁통1 ‘유교’ 하면 왠지 따분하고 고리타분한 느낌을 갖는 사람도 있습니다. 공자왈맹자왈 하면서 딱딱한 예법을 늘어놓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
“과거제 없었던 일본, 조선과 달리 성리학에 비판적”
강지은 교수 17세기 일본의 성리학자 야마자키 안사이는 제자들에게 “만약 중국이 공자를 대장으로, 맹자를 부장으로 삼아 일본을 공격한다면 공맹(孔盟)의 도를 배운 이들은 어떻게
-
17세기 조선은 왜 일본과 달리 성리학 '탈레반'의 나라가 됐나
17세기 일본의 성리학자 야마자키 안사이는 어느날 제자들에게 "만약 중국이 공자를 대장으로, 맹자를 부장으로 삼아 일본을 공격한다면 공맹(孔孟)의 도를 배운 이들은 어떻게 해야겠
-
[백성호의 현문우답] "한국정치 염치 없다, 독에 마비" 사회학계 원로 김경동 쓴소리
“국가를 잘 꾸리려면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현 정부에는 그게 부족하다.”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서울대 김경동(85) 명예교수를 만났다. 그는
-
[미래를 선도하는 대학] 학생성공센터 설립, 도전학기제 … 새로운 미래 이끌 인재 양성
성균관대학교는 성균관이 지금의 서울 종로구 명륜동에 자리를 잡은 1398년을 건학년도로 2020년 현재 건학 622년을 자랑한다. 성균관대는 장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세계
-
[미래를 선도하는 대학] 혁신적 교육 시스템 구축 … ‘학생성공’ 위한 글로벌 리딩 대학 도약
성균관대는 학생성공과 미래가치를 창출해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사진은 혁신스마트팩토리 전경. [사진 성균관대] 건학(建學) 621년을 맞는 성균관대학교는 학생
-
[차이나 인사이트] 도둑과 기생충으로 몰았던 공자를 왜 다시 찾나
━ 시대를 초월한 중국의 지배이론 유교 “도척의 해로움은 한 시대에 그쳤지만, 도둑 공자의 재앙은 만세에 미쳤다(盜蹠之爲害在一時 盜丘之遺禍及萬世).” 20세기 초 5·4
-
다산 정약용은 왜 ‘귀양가라’는 말이 반가웠을까
[김환영의 책과 사람] (13) 《다산학 공부》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다산을 2018년에 공부할 이유는?2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썩어 문드러진’ 나라 새로운 나라 만
-
조선 왕실의 후계자 교육
선시대 왕실 교육은 일반인이 예상하는 것보다 체계적이고 강력했다. 후계자 교육이 지향하는 것은 지식교육과 더불어 통찰과 소통의 리더십이다. 순조의 장남 효명세자가 왕실학교 ‘
-
[대한민국 최초] 1398년 명륜동에 터전…건학 620년 전통 이어 글로벌 인재 양성 산실로
성균관대학교의 역사 성균관대학교의 역사는 고려 성종 11년(992) 국자감 창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충렬왕 30년(1304) 국학의 대성전(大成殿)이 세워졌고, 그후
-
누구나 과거 응시, 10만 양병… ‘조선 혁신’ 주장한 율곡
1 강릉 오죽헌을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 왼쪽 문이 안채와 사랑채를 연결하는 문이다. 선조의 정신이 서려있는 유적지 중 오죽헌(烏竹軒)은 특이하게도 본가(本家)가 아닌 외가(外家
-
[김환영의 직격 인터뷰] “부패 없는 선진국의 길이 다산 사상에 있다”
국가건 개인이건 앞으로 나아가다가 막히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과거의 행로를 되짚어 보는 게 한 가지 방법이다. 과거에서 영감을 얻기 위해서다. 한데 어느 때로, 어느 곳으로, 누구
-
전공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소프트웨어 DNA’ 심겠다
정규상 성균관대 총장은 소프트웨어에 강한 대학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정 총장은 “인문학적 소양 위에 소프트웨어란 옷을 입히려 한다”고 말했다. [김성룡 기자]정규상(63) 성균관대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왕의 집에 스민 민본정신 … 소박하게 지어 세금 아껴
조선의 첫 궁궐인 경복궁 내 근정전. 경복궁은 창덕궁·창경궁·덕수궁·경희궁과 함께 조선 5대 궁궐이다. 중국 자금성에 비하면 소박하다 못해 초라해 보이기까지 하는 조선의 궁궐은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옛말 된 다반사 … 차 도입 가장 빨랐지만 차문화 급속 위축
서울 인사동길에 위치한 현대식 전통찻집 ‘오설록’에서 손님들이 차를 마시고 있다. 매장 1층에는 즉석에서 덖은 차를 시음하는 코너가 마련돼 있다. 조용철 기자 다반사(茶飯事). 밥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옛말 된 다반사 … 차 도입 가장 빨랐지만 차문화 급속 위축
서울 인사동길에 위치한 현대식 전통찻집 ‘오설록’에서 손님들이 차를 마시고 있다. 매장 1층에는 즉석에서 덖은 차를 시음하는 코너가 마련돼 있다. 조용철 기자 관련기사 “차 예절
-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권력 앞에서도 대놓고 바른말 … 왕도 껄끄러워한 선비
스스로를 남인(南人)의 후손으로 인식하는 교육자 출신 김창회씨(79). 불천위(위대한 선비)인 7대 조부 김종덕의 사당 가까이 집이 있어 자주 둘러본다. 그는 “나한테는 가장 뚜
-
인문학 위기라니요, 강의 땐 3000석 강당 꽉 찹니다
‘봉사를 실천하는 지성’을 강조하는 서울신학대 유석성 총장. [오종택 기자] “인문학의 위기라고요? 전공 차원의 인문학은 위기일지 모르지만 교양으로서 인문학은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
-
[진화하는 대학 복지] 성균관대
성균관대는 재학생 10명 중 3명이 장학금을 받을 정도로 장학혜택을 확대하고 있다. 사진은 인문과학 캠퍼스 전경. [성균관대 제공] 성균관대는 지난해 6월 ‘VISION 2020’
-
수치로 보는 성균관대 발전상
성균관대는 지난 6월 ‘VISION 2020’을 선포하고 명실상부한 ‘국제화 선도 대학’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2020년까지 아시아 10위, 세계 50위권으로 도약하는
-
[분수대] 처신
조선 정조 시대다. 탕평책에도 불구하고 정치판은 여전히 어지럽다. 선비들까지 자리를 탐하기 때문이다. 이에 측근에게 탄식한다. “난진이퇴(難進易退)가 아쉽다.” 벼슬길에 어렵게
-
[한명기가 만난 조선사람] 소학동자를 자처한 김굉필
김굉필을 모신 도동서원(道東書院)의 모습 : 소학 공부를 몹시 중시했던 김굉필은 위정자의 덕목으로서 수기(修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갑자사화 때 희생됐던 그를 모신 도동서원은 대
-
“다산 애민사상·개혁정신 세계에 통할 것”
최병현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목민심서』 영어 번역본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최근 아마존 등 인터넷 서점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프리랜서 오종찬]“서양에 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