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실업·반지하·인플루언서…생활밀착형 소재 부쩍 늘어
예심 심사위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문태준, 김수이, 전성태, 심진경, 백지은, 이신조, 김도연씨(왼쪽부터). 장진영 기자 제20회 중앙신인문학상이 8일 서울 순화동 중
-
이상문학상에 윤이형
제43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윤이형 작가. [사진 중앙포토] 윤이형(43) 작가의 가 제43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문학사상 이상문학상 심사위원회는 7일 서울 광화문
-
사흘 전 미동 없는 썸낭을 발견하고 고민 끝에 119에 신고했다.
2018년 제19회 중앙신인문학상 단편소설 당선작 귓속말
-
폭염·미투 뿜어낸 시, 게임·웹툰 닮은 소설
예심 심사를 하는 문태준·조해진·전성태·김도연·이신조·심진경·조재룡씨(왼쪽부터).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신인 작가를 뽑는 가을 문학 축제. 제19회 중앙신인문학상이 최근 예심을
-
수작 많은 시, 개성 넘치는 소설, 위축된 문학평론
지난 5일 중앙신인문학상 예심 장면. 왼쪽부터 문태준·조해진·전성태·김도연·이신조·심진경·조재룡씨.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제19회 중앙신인문학상 예심 결과, 시 15명, 소설 13
-
형사 콜롬보의 모델이 바로 그였다
━ 석영중의 맵핑 도스토옙스키 상트페테르부르크: 형사와 매춘부 영화 ‘죄와 벌’(1969)에서 예심판사 포르피리(오른쪽)가 라스콜리니코프를 추궁하는 장면. 포르피리를 맡
-
청년은 ‘작은 방’을 ‘나왔다’
━ 석영중의 맵핑 도스토옙스키 상트페테르부르크: 이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첫 문장 독일 삽화가 프리츠 아이헨베르그가 그린 라스콜리니코프의 방. 제대로 일어설 수 조차
-
영화처럼 우연적인 사건 이어지는 시 부쩍 늘었다
10일 중앙신인문학상 예심장면. 심사위원들이 열띤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도연·백지은·윤성희·이신조·전성태·조재룡·문태준씨. [오종택 기자]한국문학의 새 얼굴을 찾는 제18
-
"다른 작품도 보고 싶게 만드는 응모자에 끌려"
10일 중앙신인문학상 예심장면. 왼쪽부터 김도연·백지은·윤성희·이신조·전성태·조재룡·문태준씨.오종택 기자 한국문학의 새 얼굴을 찾는 제18회 중앙신인문학상이 예심을 마쳤다. 시,
-
행간에 세상이 보이는 시, 성소수자·여성에 꽂힌 소설
━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 확정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진출자가 가려졌다. 사진은 미당문학상 예심 장면. 왼쪽부터 평론가 오연경·김수이·조연정, 시인 김행숙, 평론가 송종원
-
젊고 화려해진 시…삶에 지친 가족·일상 그린 소설
시는 화려해지고 단편소설은 일상이 화두였다. 4일 예심을 마친 올해 중앙신인문학상 응모작들의 특징이다. 소설은 1052편 접수됐다. 왼쪽부터 문태준·정끝별·이신조·윤이형·전성태·이
-
[미당문학상] ① 미당문학상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
1차 예심에서 추천된 시인들 30여 명의 면면을 일별하면 크게 세 부류다. 하나는 우리 시단에서 중견 이상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인들. 그중에는 우리 시사에 남을 만한 시적 성
-
난해한 실험 줄어든 시, 현실세계로 내려온 소설
제16회 미당·황순원문학상이 지난달 예심을 마쳤다. 왼쪽 사진은 미당문학상 예심 장면. 왼쪽부터 평론가 김나영·강동호, 시인 김언, 평론가 양경언·이재원. [사진 권혁재 사진전문기
-
빈곤·취업난·가족해체 … 시대의 그늘 짙어진 문학
2일 열린 제16회 중앙신인문학상 예심 장면. 1500명이 응모했다. 왼쪽부터 강동호·백가흠·손택수·백민석·백지은·김도연·윤성희씨.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한국문단을 이끌어 갈 새
-
[제15회 미당·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작 지상중계 ①
미당문학상과 황순원문학상 본심 후보작들을 10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예심을 한 10명의 시인·소설가·평론가가 후보작의 의미 등을 맛깔나게 전합니다. 15회째를 맞는 미당·황순원문학
-
안으로 삭인 세월호 아픔, 시·소설에 젖어들다
지난달 24일 미당문학상 예심을 하고 있는 심사위원들. 왼쪽부터 문학평론가 송종원·조강석, 시인 나희덕·이영광, 평론가 박상수씨.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한국 현대문학의 두 거장인
-
[책 속으로] 평생 함께할 친구를 만났다, 이 책갈피 속에서
2014년의 마지막 ‘책 속으로’ 지면입니다. 한 해를 마감하며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의 다독가(多讀家) 8인이 추천하는 책을 모아봤습니다. 여기 소개된 책은 베스트셀러나 출판계
-
밀려난 사람들의 출구없는 고통 … 문학도 앓고 있구나
지난 5일 열린 제15회 중앙신인문학상 예심 장면. 왼쪽부터 심사위원을 맡은 천운영·박형서·이수형·황병승·김수이·편혜영씨.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15회째인 중앙 신인문학상이 지난
-
외딴 나라서 만난 모국어, 기적같지 않나요
정이현 소설의 매력은 단연 생생하고 섬세한 묘사다. 그는 “소설은 구체적이고, 사소한 사람들의 이야기”라며 “사람 몸을 표현한다면 몸 전체가 아니라 ‘그의 손톱 끝에 낀 때’에서
-
겉만 멀쩡한 우리, 그 텅 빈 속을 찾아
백민석은 유독 장마가 길었던 지난해 여름 ‘수림’을 썼다. 그는 “장마는 죽을 때까지 매년 반복될 거다. 다만 장마가 끝나면 다음 장마가 올 때까지 고통을 대비할 기회가 생긴다”고
-
서정성 짙어진 시 … 삶의 사소함 응시한 소설
지난달 17일 미당문학상 예심 장면. 왼쪽부터 평론가 고봉준, 시인 조용미·장석남, 평론가 조재룡·강동호씨. [강정현 기자] 최근 1년간 발표된 시와 단편소설 가운데 최고의 한 편
-
[중앙신인문학상] 평론 부문 당선작
우리가 만날 수 있는 단 하나의 가능성, 소설 - 김연수의 근작들에 관한 몇 가지 독법 -노태훈- 0. 이것은 소설이다, 소설이 아니다 작가란 모름지기 이야기의 힘을 믿는 사람일
-
어느 날 카레향의 자극 … 잃었던 나를 찾다
소설 속 영은이는 가난이 두려운지 자주 눈을 동그랗게 뜬다. 하성란 작가는 “나도 눈을 동그랗게 뜬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라며 웃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만약 작가로서 시
-
시대·지역을 관통하는 고통 우리를 숨쉬게 하는 순간 …
조해진 작가는 이번 단편에서 카메라로 빛을 채집하는 순간을 인상적으로 포착했다. 소설 속 권은은 그 빛의 순간에 기대 고통을 이겨낸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빛의 호위’를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