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구이저우통신] 더 이상 황무지 아니다, 고고학계 ‘왕훙’된 구이저우
중국 구이저우는 더 이상 작은 규모의 고고학 유적 지역이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구이저우는 중국 고고학 관련 종목으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세계 10대 고고학 신(新)발견을
-
㈜미래엔 아이세움, ‘홍진경·김라엘의 공부왕 찐천재 역사 만화 1·2’ 출간
교육출판전문기업 ㈜미래엔의 아동출판브랜드 아이세움이 3월 2일 ‘홍진경·김라엘의 공부왕 찐천재 역사 만화 1·2’권을 출간했다. 공부와 관련된 다양한 시도를 보여 주며 큰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해양국가 마한 고분, 왜 일본 무덤 닮았을까
━ 영산강 유역 ‘장구 모양 무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최근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삼국시대에 있었던 마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바로 영산강 유역과 해남 일
-
호피옷 입고 빗살무늬 토기 만지작 “선사시대 신나요”
대구 달서구 달서선사관에서 어린이들이 ‘깨진 토기 맞추기’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 달서구] 지난달 29일 대구 달서구 대천동 달서선사관. 20여 명의 아이가 원시인처럼 호피
-
'호피옷' 입고 빗살무늬 토기 만지작…대구서 느끼는 선사시대
지난달 29일 대구 달서구 대천동 달서선서관 2층에서 어린이들이 토기 맞추기 체험을 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대구 달서구 대천동 달서선사관. 20여 명의 아이들이 원시인처럼 호
-
[분수대] 레고
장원석 S팀 기자 레고는 20세기 가장 성공한 완구 브랜드다. 전 세계 어디를 가나 장난감 매장의 중심은 레고다. 할아버지, 아버지, 손자까지 대를 이어 즐겼다. 세대를 초월하는
-
레고랜드 사태로 완전 찬밥 신세…비닐하우스 갇힌 고인돌 운다
2000~3000년 전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고인돌이 강원 춘천시 의암호의 섬 중도에 위치한 하중도 생태공원 비닐하우스에 방치되고 있다. 박진호 기자 ━ 방치된 ‘고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윤주 교수, 국립중앙박물관 프로젝트 ‘대박쌈박! 국중박’ 총괄기획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윤주 교수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오는 9월 21일(수)부터 10월 29일(토)까지 진행하는 ‘대박쌈박! 국중박’ 프로젝트의 총괄기획
-
[소년중앙] 학교·회사 대신 농사·사냥…6000년 전 유행 따라 빗살무늬 토기 썼죠
현대인의 삶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가거나, 회사로 출근하죠. 학업이나 근무가 끝나면 집에 돌아와 쉬거나 밖에서 친구를 만나는 등 시간을 보내고요. 추우면 난
-
[시론] 김해·춘천 유적 훼손은 국제 망신
김홍남 이화여대 명예교수·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문헌에만 의존하는 역사 쓰기가 이제 더는 유효하지 않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고고학 유적·유물·인골이 발굴되면서
-
밤바람 쐬며 야경 즐긴다…행주산성, 격주 토요일 야간 개장
경기도 고양시 행주산성 야경. 사진 고양시 무더위가 이어지는 여름밤. 한강 변 도심 속 문화유적지로 나가 밤바람을 쐬며 역사기행을 겸하면 어떨까. 경기도 고양시 한강 변의 행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중국이 미국에 앞선 건 문화재 “당 간부도 공부하라”
━ 시진핑의 고고학 띄우기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중국 최고 상무위원회는 현안을 토론하고 공부하는 ‘집체학습’이라는 모임을 1~2개월에 한 번씩 연다. 중국의 앞날을
-
반구대 암각화, 실물 크기 모형으로 서울서 본다
실물 크기로 제작한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모형[사진 연세대 박물관] 암각화 스테인드글라스 전시.[사진 연세대 박물관] 울산 반구대 암각화 모형을 서울에서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러시아 학자가 찾은 발해, 일본과 중국은 왜 은폐했나
━ 발해 역사 지우기 100년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중국의 동북공정이 시작한 지 올해로 20년이다. 그 사이에 우리에게 발해는 중국과의 역사분쟁으로만 기억된다. 하지
-
청동기 유물 비닐하우스 방치한채…레고랜드 11년만에 개장
국내 첫 글로벌 테마파크인 춘천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레고랜드)가 100번째 어린이날인 5일 정식 개장했다. 박진호 기자 ━ 기공식 3번, 준공 시기 7차례 연기 불법
-
8년째 방치된 '수백개 돌'에 뿔났다…문 여는 레고랜드 논란 [이슈추적]
강원 춘천지역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2일 춘천시 상중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물전시관 조성 약속을 지키지 않은 레고랜드 개장은 불법″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박진호 기자
-
바다를 품은 느림의 미학, 명상의 시간 즐기세요
━ 통영국제트리엔날레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 주제관 5층에는 바다·시간·움직임을 테마로 한 작품들이 전시됐다. 이얄 게버의 ‘바다의 조각2’. [사진 통영국제트리엔날레]
-
[송길영의 빅 데이터, 세상을 읽다] 무한복제 시대의 고유성
송길영 Mind Miner 녹슨 칼이나 낡은 시계, 오래된 모터사이클에 이르기까지 한눈에도 고물에 가까운 물건들을 수리해서 새것처럼 만들어 내는 동영상을 넋을 잃고 바라봅니다.
-
"꼬끼오" 낮에 운 닭에 화들짝...서산대사는 왜 '西山대사'일까 [백성호의 한줄명상]
「 “팔만대장경이 본시 하나의 빈 종이” 」 #풍경1 ‘국내 최고의 학승’으로 불리던 지관 스님(전 조계종 총무원장)이 북한의 산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
‘잠자는 원시인’ 이번엔 산타 변신
대구 달서구에 있는 길이 20m, 높이 6m짜리 거대 원시인 조형물이 ‘산타’로 변신했다. [뉴스1] 대구에 있는 길이 20m, 높이 6m짜리 거대 원시인 조형물이 ‘산타’로 변
-
"거대 원시인이 산타됐네~" 대구 원시인 조형물의 변신
대구에 있는 길이 20m, 높이 6m짜리 거대 원시인 조형물이 '산타'로 변신했다. 지자체가 산타 모자와 목도리, '復(회복할 복)' 자가 적힌 대형 마스크를 씌우면서다.
-
[소년중앙] 소중 책책책 - 서평 쓰고 책 선물 받자
사고력‧표현력‧논리력을 기르는 방법 중 하나로 글쓰기를 꼽을 수 있습니다. 현재 자신이 어떤 감정이고 무엇을 알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많은
-
[소년중앙] 우주 날씨 예보하고 인공위성 만들고···천문학자는 별만 보지 않죠
선사시대부터 현재를 거쳐 미래까지 관통하는 천문학의 세계로 별 보기 좋은 계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날씨가 차고 건조할수록 대기가 투명해 다른 계절보다 겨울에 별이 더 또렷하게
-
영천시, 영천시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최종 통과
경상북도 영천시가 영천한의마을 옆에 박물관을 건립한다. 경상북도 영천시가 추진 중인 시립박물관 건립 계획이 지난 9일 문화체육관광부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를 최종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