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미술 동시에 배운 김차섭, 판화작가로 이름 날려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왼쪽부터 김구림, 윤범모, 한 사람 건너 백남준, 김차섭, 전수천. 뉴욕. [사진 김명희] 김차섭(1940~2022)은 일본 야마구치 현에서 태어
-
[시조가 있는 아침] (177) 서산에 해지고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서산에 해지고 이휘일(1619∼1672) 서산에 해지고 풀 끝에 이슬 난다 호미를 둘러메고 달 띠어 가자스라 이 중의 즐거운 뜻을 일러 무삼하리오 -존재
-
‘한번에 OK’ 블핑도 홀렸다, 전세계 열광시킨 코첼라 한복 유료 전용
“K팝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 제니·지수·리사·로제는 한국의 전통의상인 한복을 입고 12만5000명 이상의 관객 앞에서 한국 유산에 경의(homage)를 표했다.” 지난 4월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여자라고 성인 못 되나” 친정·시집 둘 다 일으킨 수퍼맘
━ ‘수양과 실천’의 여장부 장계향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바다와 산으로 둘러싸인 영해부(寧海府·현재 경북 영덕군 영해면) 인량리의 너른 들녘을 여섯
-
대구한의대 김종철 교수, 인성교육진흥위원장 선임
대구한의대학교 국제문화정보대학 학장과 교수협의회 의장을 역임한 기초교양대학 김종철 교수가 최근 정부 교육에서 인성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교육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제4기 위원장으로
-
[한중비전포럼] “누가 먼저 따지지 말고 우리부터 중국에 다가가야”
━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1일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AFP=연합뉴
-
[소년중앙] 자연과 문화적 가치 뛰어난 국립공원 어떻게 지정·보전할까요
1967년 1호 지리산부터 전국 22개 국립공원이 간직한 보물 보따리 잘 지키려면 유정현(서울 목동초 5)·추승찬(서울 역촌초 5)·왕희재(서울 마포초 5)·김민솔(서
-
[분수대] 청빈 호소인
장원석 증권부 기자 공자의 제자 안회는 학문이 뛰어났지만 지독한 가난으로도 유명했다. 워낙 가진 게 없어 끼니를 거르는 일이 허다했는데도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논어』 옹야
-
[신간] 독자 눈높이에 맞춘 알기 쉬운 사마천의 《사기》 100문 100답!
130권 52만 6,500자의 《사기》는 어떤 책일까? 위대하다는 말로는 부족한 역사가 사마천은 누구인가? 사마천은 기원전 145년 서한이란 왕조에서 태어나 국가 기록 등을
-
[한 컷] 올해는 밀양 방문의 해
한 컷 지난 13일 오후 경남 밀양시 부북면 예림서원에서 학생들이 ‘선비풍류 공연’의 하나인 ‘아리랑동동’을 공연하고 있습니다. 이 공연은 밀양 방문자 수 증가의 일등공신이라고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중국 돼지고기 소사(笑史)...돼지를 돼지라 부르지 못하고
사진 셔터스톡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한지 17년째 되던 해인 1384년 6월의 어느 날, 황제가 된 태조 주원장의 아침 밥상에 뜻밖의 음식이 차려졌다. 이날 수랏상의 요리는
-
[술술 읽는 삼국지](34) 십면매복에 괴멸한 원소군, 또 쫓기는 신세가 된 유비
원소는 패잔병을 이끌고 여양(黎陽)으로 달아났습니다. 조조는 군마를 정돈해 추격했습니다. 원소는 기주로 돌아와 흩어진 군사를 모으고 다시 군사력을 회복했습니다. 그런데 군중(軍衆
-
[시조가 있는 아침] (173) 꽃이 진다하고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꽃이 진다하고 송순(1493∼1582) 꽃이 진다하고 새들아 슬퍼마라 바람에 흩날리니 꽃의 탓 아니로다 가노라 희(戱)짓는 봄을 새와 무삼하리오 -면앙집
-
5만시간 노력해야 전문의 되는데, 공공성 강조해 ‘홀대’
━ 러브에이징 21세기 대한민국의 의과대학은 이공계 인재를 흡수하는 블랙홀이다. 성적 상위권 1% 이내 학생들이 지원한다. 학원가에는 ‘초등부 의대 준비반’도 존재한다.
-
[술술 읽는 삼국지](28) 명장 안량이 관우에게 맥없이 목이 베인 진짜 이유
조조는 관우에게서 항복을 받고 그를 자신의 부하로 삼고 싶었습니다. 그러자 정욱이 계책을 냈습니다. 관우는 만인(萬人)에 필적할 사람이라 지모(智謀)로 얻을 수 없습니다. 지
-
[유홍준의 문화의 창] 우리 생애 다시 없을 백자의 대향연
유홍준 본사 칼럼니스트·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조선의 백자, 군자(君子)지향’(5월 28일까지)은 조선백자의 명품 185점이 전시된 사상 최대 규
-
[술술 읽는 삼국지](25) 조조 독살에 실패한 길태, 의대조 사건의 전모가 밝혀지다
조조가 서주를 공격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려 하자 공융은 시기가 겨울임을 들어 옳지 않다며 먼저 장수와 유표를 귀순시킨 후, 서주를 도모하는 게 좋다고 제안했습니다. 조조는 그의
-
[소년중앙] 왕부터 일반 서민까지 두루두루 쓴 조선백자의 매력은
우리나라 도자기를 이야기할 때 흔히 고려의 청자, 조선의 백자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고려시대에는 청자, 조선시대에는 백자가 특히 뛰어나 국내외에 명성을 떨치며 사람들이 선호했기
-
[박한슬의 숫자 읽기] 소나무를 베야 숲이 산다
박한슬 약사·작가 최근 산불이 잦다. 식목일을 앞두고 며칠 사이 53건의 산불이 발생한 탓에, 올해는 1986년 이래 최단 기간 가장 많은 산불이 일어난 해로 기록됐다. 이렇게
-
DJ는 꼭 새벽 6시 전화했다…민족종교 대부의 ‘인생 구절’ 유료 전용
━ #궁궁통1 우리나라에는 ‘갱정유도(更定儒道)’라는 민족종교가 있습니다. 유교와 불교, 그리고 선(仙)을 아우르는, 그야말로 동양 종교의 대표 선수들을 관통하는
-
[미술전시] 개인전부터 단체전까지 한국 회화를 만나다
3월 넷째 주 및 4월에 진행되는 작가 개인전 및 단체전을 소개한다. 이번에 소개할 개인전은 김선웅 작가의 개인전 ‘Dreaming Star’, 이종완 작가의 ‘한시를 끌고
-
[문광 스님의 글빛 다실] 매화의 향기소리
문광 스님·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매화가 피었다. ‘매화는 일생토록 춥더라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는 조선 중기 문인 신흠(1566∼1628)의 시구처럼 조
-
[THE CREATIVE 2023] KTX-이음으로 수도권 1시간대
영주시가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3’ 지자체브랜드 부문에 선정됐다. 경북 영주시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영주시는 KTX-이음
-
고객 중심 경영 앞장서고, 친환경차 부품 국산화…제주개발공사·코리아에프티 8연속 수상 영예
━ THE CREATIVE 2023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각 분야에서 창조적인 경영 활동과 성과를 이뤄낸 우수한 경영·브랜드 사례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창조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