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방정토, 왜 하필 서쪽일까…인도 원주민의 ‘슬픈 피란사’ 유료 전용
━ #궁궁통1 기독교에서는 죽어서 천당에 간다고 믿습니다. 불교에도 그런 땅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서방정토(西方淨土)입니다. 서쪽에 있는 깨달음의 땅, 해탈의
-
살기 힘든 中 청년들, 여기로 ‘오픈런’ 한다
올 3월, 중국 베이징에서 청년들로 북적인 핫플레이스는 어디였을까. 바로 베이징 시내에 있는 티베트 불교 사찰인 융허궁(雍和宫)이다.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알려진 라이프스타일 앱
-
"도시 전체가 미술관으로! 올해 봄에는 예술이 흐르는 통영에서 만나요!" 2022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 개막
국내 최초 섬을 매개로 한 국제예술제 ‘2022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가 18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5월 8일까지 52일간의 대장정에 오른다. ‘통영; 섬·바람[THE SE
-
[백성호의 한줄명상]불국사의 비밀 "석가탑은 왜 그림자가 없을까?"
「 “석가탑은 왜 그림자가 없을까?” 」 #풍경1 신라는 종교적 지향을 가진 나라였습니다. 한마디로 ‘불교의 나라’였습니다. 신라 수도였던 경주의 대표적인 사찰 이름
-
[월간중앙] 문 대통령 핵심 지지층 2030세대의 분노
청년층의 무기력, 좌절감이 남북한 기성정치에 대한 불만으로 표출돼 평창 단일팀 역풍은 서막… 북한 핵무장·주한미군 철수 놓고 지지층 이완 가속화할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2월
-
박종기 【고려사의 재발견】 : 요약(62)
연등회와 팔관회 시행을 강조한 '훈요십조' 부분. 불교가 고려의 ‘국교(國敎)’라는 주장은 정설처럼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언제, 누가, 어떤 근거로 이런 주장을 했느냐는
-
성파 스님 “얹혀가니 삶이 버거워, 직접 운전대 잡으세요”
통도사에서 ‘부처님오신날 법문’을 듣다650t ‘도자’ 팔만대장경 성파 스님이 통도사 서운암의 장경각에 앉았다. 양 옆에 ‘대장경’ 도자(陶瓷)판이 쌓여 있다.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
국내 최대 규모의 대불, 능인선원에 건립
국내 최대 규모인 38m 높이의 약사여래불이 서울 강남의 능인선원에 세워진다. 능인선원장 지광 스님은 10일 기자간담회에서 “개원 30주년을 맞아 약사여래좌불을 선원 뒤편의 구룡산
-
신명호의 ‘조선왕조 스캔들’⑧ - 상왕 이성계의 복수심, 나라를 전쟁터로 만들다
[월간중앙] 1398년 8월 26일 밤에 일어난 제1차 왕자의 난(무인정사)으로 태조 이성계는 권력을 잃고 상왕으로 밀려났다. 정종 1년(1399) 2월 26일 개경으로 재천도가
-
[백성호의 현문우답] 나는 미생일까 사자일까
백성호문화스포츠부문 차장 #풍경1 : 어릴 적 마루에 한자가 적힌 액자가 하나 걸려 있었습니다. ‘獅子窟中無異獸 (사자굴중무이수)’. 구산 스님의 붓글씨였습니다. 구산은 ‘해인사
-
“4년 배운 ‘정가’에 마음 정화 느낌”
4년간 공부해온 전통성악 정가를 15일 저녁 충무아트홀에서 선보인 문희. [사진 충무아트홀] “갑자기 연락해서 공연하니까 오래요. 우리는 가톨릭 대모-대녀 사이라 종종 만나고 그
-
망자의 극락환생 빌며 화장한 유골 갈무리
고려시대에 제작된 석관의 모습. 전면에 보이는 청룡을 비롯해 백호·주작·현무 등 사신도가 그려져 있다. [국민대 박물관] 청자나 대장경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려문화를
-
시인과 떠나는 사찰 기행 ② 장석남 시인의 북한산 진관사
진관사 대웅전 앞마당. 주지 계호스님(오른쪽)이 송이돌솥밥을 푸자, 송이향이 온통 진동을 했다. 절에서 담근 김치며 제피·가구나무 여린순·산초열매 장아찌가 정갈했다. 오른쪽 쟁반은
-
김종록 연재소설 - 붓다의 십자가 4.근심 없는 나무들⑤
우리가 몹시 미워하는 어떤 것이 있다고 쳐요. 그것만 사라져주면 천국이 될 거라고 믿죠. 정말 그것이 사라지면 천국이 될까요? 문제는 저마다 사라지기를 바라는 게 제각각이라는 거예
-
김종록 연재소설 - 붓다의 십자가 4. 근심 없는 나무들 ③
이 달콤하고 황홀한 욕정이 사학하다고 어찌 미리부터 속단한단 말인가. 나는 땀범벅이 되어 육욕에 탐닉했고 깃털처럼 가벼워진 몸뚱어리가 붕, 하고 떠오르는 순간과 만났다. 그리하여
-
해질녘 용구름 산타고올라 김삿갓도 감탄 영주
‘주말 잘 보내셨어요?’ ‘뭐 그냥…집에 있었죠.’ 주중 내내 일했으니 주말쯤은 집 안에 콕 박혀 있어도 됩니다. 아침 10시쯤 눈을 떠서 밥 먹고 뒹굴뒹굴…정신이 좀 들 만하면
-
[j Novel] 김종록 연재소설 - 붓다의 십자가 2. 서쪽에서 온 마을 (11)
마을 사람들이 돌아가고 숙소에는 전 장군과 가온, 탁연 그리고 의원 영감만 남았다. “편지는 어딨소?” 이 상황에서도 나는 인보가 지녔던 편지를 챙겨갈 생각이었다. 눈이 멀어서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부처의 손
관조(觀照·1943~2006) 스님은 한국의 대표적인 불교 사진작가입니다. 생전에 스님은 “사진은 불교의 진수를 전하기에 더없이 좋은 수단”이라고 말했습니다. 다음 달 13일까지
-
[사설] 부활절 아침, 천안함 희생자를 생각한다
오늘 우리는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고 있다. 천안함 침몰로 승조원들과 구조 작전에 투입됐던 해군 특수전여단(UDT) 소속 한주호 준위가 의롭게 순직했다. 게다가 수색에 참여했던 저
-
자타불이의 마음으로 더 넓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불교에서는 조건 없는 사랑을 베푸는 자비를 중시한다. 이처럼 따지지 않고 다른 이들을 위해 행한 일은 곧 자신의 복을 쌓는 것과도 일맥상통하여 결국 우주와 자신을 한 몸으로 볼 수
-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일상 속의 장좌불와
‘수행’이라고 하면 어떤 풍경이 떠오르세요? 깊은 산중에서 가부좌를 틀고 면벽수도(面壁修道)하는 수행자의 모습인가요? 아니면 1주일씩, 혹은 열흘씩 한숨도 자지 않고 버티는 ‘용맹
-
‘등불이 되려면 먼저 내 눈이 밝아야’ 가르쳐준 스님
서방정토(西方淨土)는 부처가 다스리는 이상향이다. 그 어떤 괴로움이나 더러움의 그늘도 없는 곳이다. 상징적으로 표현하자면 정토는 오곡백과와 금은보화로 가득 찼다. 그곳에선 ‘부처
-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노스탤지어의 손수건’만 흔드실래요?
간만에 책꽂이에서 시집을 한 권 꺼냈습니다. 무심코 펼쳤더니 청마 유치환(1908~67)의 ‘깃발’이란 시가 나오네요. 중학생 때 국어시간에 외던 시입니다.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
-
[종교신간] 『왜 나무아미타불인가』 外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지구물리학)가 우익 대사의 ‘아미타경 요해’와 이를 서구에 소개한 클리어리 박사의 저서를 번역, 『왜 나무아미타불인가』(불광출판사, 1만2000원)를 펴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