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은 문제 해결의 끝이 아니라 시작”
━ 강제징용 해법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하나 서경호 논설위원 # 11일 오후 서울 시청 광장 동편. 원내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정의기억연대·민주노총·민변·전국민중행
-
[서경호의 시시각각] 돌고 돌고 돌고
서경호 논설위원 외환위기 이전의 시중은행은 ‘조·상·제·한·서(조흥·상업·제일·한일·서울신탁)’가 주도했다. 1990년대 신한·한미·외환 등 신설 또는 전환 은행이 추가되면서 1
-
[서경호의 시선] 윤석열과 이재명의 금투세 포퓰리즘
서경호 논설위원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하지만 선거판에 투척한 무리한 공약은 두고두고 부담으로 남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1호 공약으로 내세웠던 소상공인 코로나1
-
[서경호의 시선] ‘비상’경제민생회의 맞습니까
서경호 논설위원 설마 실제 회의가 그렇게 돌아간다고 생각하고 싶지는 않다. 어제 생중계된 윤석열 대통령 주재 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얘기다. 회의가 전 국민에게 실시간 공개되
-
[서경호의 시선] 어느 대우조선 사외이사의 생존기
서경호 논설위원 “소송은 전쟁과 같았다. 거액의 손해배상을 청구한 투자자들, 청구를 당한 대우조선과 회계법인에는 ‘쩐의 전쟁’이지만, 나에게는 ‘생존을 위한 전쟁’이었다.”
-
[바로잡습니다] 9월 16일자 28면 서경호의 시선(‘세계의 문제’ 강달러, 버텨야 산다) 칼럼
◆9월 16일자 28면 서경호의 시선(‘세계의 문제’ 강달러, 버텨야 산다) 칼럼에서 외환위기 때 ‘대우그룹에 비상벨이 울리고 있다’ 보고서를 낸 곳을 일본 노무라증권으로 바로잡
-
[서경호의 시선] ‘세계의 문제’ 강달러, 버텨야 산다
서경호 논설위원 “달러는 우리 화폐지만 당신들 문제야(It’s our currency, but your problem).” 1971년 미국 닉슨 행정부의 재무장관 존 코널리가
-
[서경호의 시선] 통(通)하였느냐, 이창용 스타일
서경호 논설위원 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사상 처음 네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렸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예고한 대로 기준금리를 연 2.50%로 0.25%포인트 인상
-
[서경호의 시선] 칩4, 어떻게 할 것인가
서경호 논설위원 울퉁불퉁 근육질 몸매를 보란 듯이 대외에 과시하는 중국의 전랑(戰狼·늑대)외교를 지켜보는 건 불편하다. 주변에서도 중국 얘기만 나오면 거품을 물고 반중 감정을
-
[서경호의 시선] 한·미 통화스와프 컬트(Cult)
서경호 논설위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남태평양 일부 섬에서 기이한 풍습이 생겼다. 원주민들이 전시 미군 기지를 흉내 내 어설픈 활주로와 격납고·관제탑을 만들고 나무 소총을
-
[서경호의 직격인터뷰] “연착륙으로 가는 통로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 2008년 금융위기 예측했던 신현송 국제결제은행 국장 서경호 논설위원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유럽과 한국 등 전 세계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속도감 있게 금리를 올
-
[서경호의 시선] 롤러코스터 인사는 정상이 아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국무위원 임명장을 수여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2022.5.26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서경호 논설위
-
[서경호의 시선] 김동연, 있는 자리 흩트려서 금기를 깨라
서경호 논설위원 자고 일어났더니 세상이 바뀌어 있었다. 경기지사 선거 얘기다.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초박빙 접전을 벌인 끝에 0.15%포인트 차이로 김은혜 국민의 힘 후
-
[서경호의 시선] MB 물가의 추억 2
서경호 논설위원 “일이 희망이고 기도였다. 한정된 시간이다. 무실역행(務實力行)하자. 나와 나의 참모들은 얼리버드(early bird)들이었다. 정말이지 쉬지 않고 뛰었고 신나게
-
[서경호의 시선] 천천히 서둘러라 (Festina lente)
서경호 논설위원 천천히 서둘러라. 모순적인 이 경구는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좌우명이다.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정확히 구분해 결단하고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
-
[서경호의 시선] 이러고도 반도체 강국 유지될까
서경호 논설위원 “반도체 산업은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국가 간 경쟁의 시대로 옮겨갔다. 우리 정부도 반도체 강국을 위해 기업과 일심동체가 되겠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
[서경호의 시선] 심상정의 촌철살인
2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방송토론회에서 심상정 정의당 후보(왼쪽)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심 후보는 이날 토론회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이고
-
[서경호의 시선] MB 물가의 추억
소비자물가추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며칠 전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식품기업 9곳을 불러 물가안정 ‘협조’를 요청했고, 이 자리에 공정거
-
[서경호의 시선] 노동개혁 외면하며 청년 표 달라고?
민주노총이 주도하는 전국민중행동이 1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에서 민중총궐기 대회를 열고 있다. 2030 청년의 선택이 중요해지면서 이들을 향한 여야 대선 후보의 구애도 뜨겁
-
[서경호의 시선] 증세는 불가피, 더 이상 피하지 말라
지난해 연말 미국 워싱턴 국제통화기금(IMF) 사무실에서 포즈를 취한 이창용 국장.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으로 새해 들어 IMF 직원들도 대부분 다시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이 국장
-
[서경호의 시선] 2022년 임인년, 범 내려온다
서경호 경제·산업디렉터 범 내려온다, 범이 내려온다. 2022년 ‘검은 호랑이의 해’ 임인년(壬寅年)의 한국 경제에, 범 내려온다. 이날치의 노래처럼 ‘새 낫 같은 발톱을 세우고
-
[서경호의 시선] 거꾸로 가는 지방교육재정
서경호 경제·산업디렉터 초·중·고 학생은 줄어드는데 교육 예산은 늘어만 간다. 내국세에서 일부(현재는 20.79%)를 떼어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으로 무조건 나눠주는 제도
-
[서경호의 시선] ‘정책의 시간’을 기다리며 2
서경호 경제·산업디렉터 선거판에서 정책 토론이 더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지난번 칼럼(‘정책의 시간’을 기다리며)을 썼다. 보수도 맞장구칠 만한 진보경제학자의 정책 제언을
-
[서경호의 시선] ‘정책의 시간’을 기다리며
서경호 경제·산업디렉터 지난 5월 ‘진보의 소주성 비판 일리 있다’는 칼럼을 썼다. 진보 경제학자들이 많이 참여한 서울사회경제연구소 토론회에서 나온 얘기를 소개했다. 진보나 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