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빈슨 크루소 조난 당한 그 바다…신혼여행 성지 반전 매력
━ 세이셸 여행 ② 그림 같은 바다 ‘라 디그’ 세이셸 라디그 섬은 면적이 10㎢에 불과하지만 그림 같은 해변을 곳곳에 숨겨두고 있다. 사진은 앙스 마롱 해변. 영롱한 비
-
[소년중앙] 지구와 함께 시작된 ‘탄소순환시스템’ 무너진 균형 되살리려면
최근 여름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뉴스가 있습니다. 올여름 더위가 예년보다 빠르다거나, 역대급 폭염 혹은 기록적인 장마 등의 내용이죠. 이는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
"한반도 가뭄·홍수 심해질 것" 1.5도 상승 부른 절망적 보고서
지난 14일 열린 58회 IPCC 총회에서 제6차 종합보고서 핵심저자인 이준이 부산대 교수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 ENB] “앞으로 10년간 지구 온도 상승은 막을 수가 없습니
-
"1.5도 못막는다"…모든 시나리오 돌린 전문가들 무서운 결론
지난 2019년 남아프리카 그라프 레이네트의 댐이 가뭄으로 말라 갈라진 바닥을 드러낸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2040년 이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막으려는 인
-
[소년중앙] 수십억 년 이어온 지구의 역사, 땅에 새겨진 지질 조사해 과거 추적해요
먼 옛날 생물 흔적 담은 화석부터 암석·광물까지 지구의 기록 읽어봐요 지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그 시작은 무려 46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원시태양이 만들어지고
-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출간
산악빙하가 녹아내리고 북극 해빙은 갈수록 줄어든다. 뜨거워진 바다에서는 산호가 죽어 가며 해안 도시로 바닷물이 밀려든다. 숲은 가뭄과 산불에 시달리고 아마존의 생물 다양성이 위협
-
[라이프 트렌드&] 지속가능한 하와이를 위하여! '하와이와 함께'하는 여행에 초대합니다
하와이 관광청‘말라마 하와이’전개 하와이 관광청이 하와이의 자연·문화·커뮤니티와 교류하며 지속가능한 여행을 할 수 있는 ‘말라마 하와이’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진 하와이 관광청
-
[중앙시평] 기후위기 티핑 포인트, 어디쯤 왔나?
김명자 서울국제포럼 회장 한국과총 명예회장·전 환경부장관 지난 2월부터 유튜브에는 지구촌의 재난 실황을 담은 지구의 분노(The Rage of Earth) 동영상이 올라오고 있다
-
대재앙 시계 70년 빨라졌다, 기온 3도 오르면 생길 끔찍한 일
■ 「 ※ '알지RG'는 '알차고 지혜롭게 담아낸 진짜 국제뉴스(Real Global news)'라는 의미를 담은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 지난해 9월 미
-
'소의 코' 닮은 희귀 가오리 집단출몰…"마법같은 순간" [영상]
이달 초, 호주 퀸즐랜드 주에서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카우 노즈 레이(Cow nose ray) 약 100마리가 집단 이동하는 장관이 포착됐다. 세계 최대 산호 군락인 대보초(Gre
-
에펠탑보다 높다, 호주 밑바다 숨어있던 500m 산호초 발견
호주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발견된 산호초를 3D 지도 기술로 구현한 모습. 슈미트 해양연구소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인 호주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500m 높이의 대형 산호초가
-
눈표범·점박이물범 다음은? 기후 변화 40년, 생명체 68% 급감
기후 변화 등에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지난 40여년간 지구 상 생명체의 70% 가까이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 야생동물기금(WWF)이 지난달 발표한 '2020년 살아있
-
1초마다 수영장 7개 빙하 사라진다···기후재앙의 충격적 모습
7월 17일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숲이 불타면서 희뿌연 연기를 뿜고 있다. 올여름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찾아오면서 시베리아 전체가 화재로 몸살을 앓았다. 로이터=연합뉴
-
1초마다 수영장 7개 빙하 사라진다···기후재앙의 충격적 모습
7월 17일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의 숲이 불타면서 희뿌연 연기를 뿜고 있다. 올여름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찾아오면서 시베리아 전체가 화재로 몸살을 앓았다. 로이터=연합뉴
-
360도로 본 세계 최대 산호초의 '하얀 비명'[VR 영상]
지난달 23일 촬영한 호주 북동부 바다에 있는 세계 최대 산호초 '그레이트배리어리프'. 백화 현상을 앓아 색을 잃은 산호를 360도 VR카메라에 담았다. 사진 리처드 피츠패트릭
-
“정부는 탄소배출 감축 앞장, 기업은 그린에너지 늘리고, 개인은 친환경 소비를”
━ [창간기획] 기후재앙 자연의 비명 “다음 세대는 산호초를 유튜브에서만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산호 멸종을 우려하는 환경학자들의 경고다. 이미 전 세계에서 경고음
-
사라지는 빙하의 습격...10년뒤 인천공항 완전히 집어삼킬판
그린란드 남동부 지역에 있는 빙하 일부가 무너져 내리는 모습. AFP=연합뉴스 “해수면이 30㎝만 높아져도 부산 해운대, 인천 송도 같은 해안 도시엔 어마어마한 침수 피해가 발생
-
360도로 본 충격 장면, 한라산 크리스마스 나무의 죽음 [VR영상]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1700m 고지 주변에 구상나무가 집단으로 고사한 모습. 조현우 사진작가 제주 한라산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넓은 구상나무 숲이 있다. 크리스마스트리로도 유명
-
지느러미 잘린채 고통의 몸부림···이렇게 죽는 상어 年1억마리
"서핑 중 파도에서 거대 식인 상어 만난 서퍼" 2013.12. (미국) "해변서 수영하다 상어에 물린 피서객" 2014.07. (미국)"수영하던 남성, 상어 공격에 숨져" 20
-
등갑 다 깨져있었다, 멸종위기 바다거북 제주서 사체로 발견
21일 오후 제주시 외도동 인근에서 발견된 푸른바다거북 사체. [사진 제주해양경찰서] 제주에서 멸종위기종이자 보호대상 해양생물인 바다거북 사체가 잇따라 발견됐다. 22일 제
-
[더오래]번식 위해 수컷이 암컷 전환…니모가 그런 물고기였어?
━ [더,오래] 신남식의 야생동물 세상보기(12) 기후변화에 따라 멸종위기가 빠르게 진행될 동물 중에서 북극여우와 장수거북을 설명한 바 있다. 북극여우는 서식지 환
-
짝 잃은 바다거북 99%가 암컷…멸종위기종 19% 기후변화로 고통
멸종위기종인 푸른바다거북이 산호 지대에서 유영을 하고 있다. [AP/Brian Skoloff] 호주 산불로 인해 코알라와 캥거루 등 야생동물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10억 마
-
[강찬수의 에코파일] 150개국 400만명 “지금은 기후위기 비상사태” 선언
국제 기후행동 주간을 맞아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9·21 기후위기 비상행동’에서 참가자들이 온실가스 배출 제로와 기후 비상선언 선포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
눈앞에 닥친 기후위기…150개국 400만명 "비상 사태" 외쳐
국제 기후행동 주간을 맞아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9·21 기후위기 비상행동'에서 참가자들이 온실가스 배출 제로와 기후 비상선언 선포를 촉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