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종교의 다이아몬드” 간디도 감탄한 ‘산상수훈’ 유료 전용
━ #궁궁통1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는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 신자였습니다. 그럼에도 영국에서 유학한 간디는 기독교의 성경에 큰
-
“오실 분이 선생님이십니까?” 세례 요한도 예수 몰라봤다 유료 전용
㉕ 하늘나라는 왜 철부지에게만 드러날까 예수 이후 2000년의 세월이 흘렀다. 앞으로 2000년도 그렇게 훌쩍 흐를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 속에서 잠시 머물다 간다. 우주의
-
냉장고 가득 차면 평화 올까…냉장고 비어도 오는 게 평화 유료 전용
━ #궁궁통1 이스라엘을 여행하다 보면 많은 순례객을 만납니다. 숙소의 레스토랑에서 아침식사를 하면서 마주치고, 성지의 나무 그늘에서 묵상에 잠겼다가 마주치고, 여
-
하느님 본 사람은 죽는다? 구약성경 이 문구의 참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구약성서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하느님(하나님)의 얼굴을 본 사람은 죽는다.” 출애굽기 33장 20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개신
-
난폭 노인 달라지게 한 꼬마…“그게 자비” 탄식 나온 비결 유료 전용
자비로운 사람이 왜 자비를 입을까 #궁궁통1 산상수훈에 담긴 팔복(八福)은 아름다운 구절로 가득합니다. 팔복의 구절이 아름다운 까닭은 미사여구 때문이 아닙니다. 갈릴
-
일본군 풀어주고 이토 쐈다…안중근 두 행동과 ‘예수 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이스라엘 북부의 갈릴리 호수 일대는 우리나라로 치면 제주도와 무척 닮았습니다. 이스라엘은 기본적으로 사막 지형입니다. 모래바람이 휘몰아치는 광야가 국
-
"땅을 치며 슬퍼하는 자, 왜 행복한가"…故차동엽 신부가 찾은 답
━ 백성호의 궁궁통통 과거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 인 난곡에서 자란 고(故) 차동엽(2019년 선종) 신부는 연탄과 쌀 배달을 하며 가난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래서 힘겨
-
슬픈 사람이 왜 행복한가…차동엽 신부의 답은
━ 백성호의 궁궁통통 과거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 인 난곡에서 자란 고(故) 차동엽(2019년 선종) 신부는 연탄과 쌀 배달을 하며 가난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래서 힘겨
-
식당서 “뭐 먹을래” 물어보라…그 답에 팔복, 온유가 있다 유료 전용
━ #궁궁통1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고린도 전서 13장 4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곡을 입혀서 노래로도 많이 불립니다. 사도 바울은
-
왜 슬픈 사람이 행복할까…차동엽 신부가 찾아낸 해답 유료 전용
━ #궁궁통1 고(故) 차동엽 신부는 서울 관악산의 달동네인 난곡에서 자랐습니다. 좁은 골목에 가난한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산동네였습니다. 달동네에서 가난
-
“이 세상 소유말고 누려라” 차동엽 신부의 영적 가난론 유료 전용
━ #궁궁통1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고(故) 차동엽 신부를 만나서 물은 적이 있습니다. 고(故) 차동엽 신부는 “
-
마음 가난한 자 복이 있나니…팔복, 그 첫 번째에 숨은 뜻 유료 전용
━ #궁궁통1 3주 전에 이스라엘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다시 가도 참 좋더군요. 갈릴리 호수 일대의 푸르른 풀과 나무, 그리고 언덕들 말입니다. 2000년 전,
-
한교총 이영훈 대표회장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에 한국 교회 앞장서겠다"
개신교 연합기관인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이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과 노령 사회의 문제 해결에 한국 교회가 앞장서 노력하겠다
-
사찰 문화재 관람료 없어지나…조계종 "궁극적으로 폐지 노력"
대한불교조계종 진우 총무원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총무원 청사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종단 운영 방향을 밝혔다. 대한불교조계종 진우 총무원장은 "서울권에 명상종
-
NCCK "간도학살 100주기, 한일 공동 추모예배 열겠다"
진보 성향의 개신교 협의체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9일 서울 광화문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2023년 NCCK 주제는 ‘생명의 하나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만물을
-
“행복 어원은 ‘Happen’이다”…산상수훈 ‘팔복’에 담긴 뜻 유료 전용
━ 산상수훈의 팔복은 수평선이다 #궁궁통1 고(故) 차동엽 신부에게 산상수훈의 ‘팔복(八福)’에 대해 물은 적이 있었습니다. 차 신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
묘지 위 불경스러운 도시…예수도 자랐던 ‘반란의 땅’ 유료 전용
⑮예수가 자랐던 갈릴리 일대는 반란의 땅이었다. 갈릴래아(갈릴리) 호수 서편에는 티베리아스가 있다. 갈릴래아에서 가장 큰 번화가다. 호텔과 리조트 건물이 들어서 있고,
-
십일조 내면 모두 천국갈까…예수는 손 내저었다 유료 전용
⑧ 하늘에 올리는 기도, 어떻게 하는 걸까 “나에게 ‘주님, 주님!’ 한다고 모두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
-
[백성호의 예수뎐]예수의 거문고 소리, 누가 알아들었을까
━ [백성호의 예수뎐] 차를 타고 갈릴리 지역으로 향했다. 창밖으로 척박한 풍경이 펼쳐졌다. 메마른 광야와 푸석푸석한 모래 땅. 중간중간 오아시스 마을도 보였다.
-
[백성호의 예수뎐] 도마 복음 “천국이 하늘에 있다면, 저 새가 먼저 닿을 터”
━ [백성호의 예수뎐] 예수의 제자들은 보챘다. 하느님을 보게 해달라고 예수에게 졸랐다. 빌립은 예수에게 이렇게 매달렸다.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
“이 영광 하나님께 돌립니다” 시상식때 이 말하는 연예인 마음 [백성호의 예수뎐]
이스라엘 갈릴리 호숫가의 어느 언덕에서 예수는 산상수훈을 설했다. 예수가 짚은 여덟 개의 마음, 여덟 개의 행복 가운데 ‘깨끗한 마음’에 눈길이 간다. 예수는 이렇게 말했다.
-
"뱉을 침, 내가 먼저 맛본다" 남을 미워하면 내 손해인 까닭 [백성호의 예수뎐]
━ 백성호의 예수뎐 이스라엘 북부에 있는 갈릴리 지역으로 갔다. 거대한 호수 뒤에 팔복교회가 있다. 교회의 뜰은 푸르렀다. 꽃들이 여기저기 피어 있었다. 야자
-
[백성호의 예수뎐]하늘을 나는 새는 왜 내일을 걱정하지 않나
━ [백성호의 예수뎐] 오 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에서 주인공 존디는 폐렴으로 투병한다. 존디는 자신과 잎새를 동일시한다. 붉은 벽돌담의 담쟁이 넝쿨에서
-
인간은 왜 내면의 가을 필요한가, 예수가 전해준 ‘잎새의 신학’ [백성호의 예수뎐]
━ [백성호의 예수뎐] 갈릴리 호수 뒤편의 산으로 올라갔다. 왕복 2차로의 포장도로가 깔려 있었다. 올라갈수록 산촌 풍경이 펼쳐졌다. 울창한 나무들과 오래된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