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풍 앞 줄선 2030 “이토록 현대적인 고미술 전시라니”
‘조선, 병풍의 나라 2’ 전시가 열리고 있는 서울 용산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사진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지난 18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용산 아모레퍼시
-
BTS 리더도 먼저 갔다…'조선 병풍'에 2030 열광하는 까닭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화성원행도 8폭 병풍'을 보고 있는 관람객들. 사진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장승업이 그린 '홍백매도'(왼쪽)과 김규진의 '묵죽도'를 보는 관람객. 사진 이
-
왕과 '주맹증' 침술사 사투...'소현세자 미스터리' 이렇게 풀었다
━ [유주현의 비욘드 스테이지] 영화 ‘올빼미’ 안태진 감독 인조실록에 기록된 역사에 주맹증에 걸린 목격자라는 허구의 소재를 접목한 스릴러 영화 ‘올빼미’를 연출한 안태진
-
왕과 ‘주맹증’ 침술사의 사투, 조선왕조 미제 사건 스릴러
━ [유주현의 비욘드 스테이지] 영화 ‘올빼미’ 안태진 감독 인조실록에 기록된 역사에 주맹증에 걸린 목격자라는 허구의 소재를 접목한 스릴러 영화 ‘올빼미’를 연출한 안태진
-
“내가 연극에 빠진 이유는…” 원로배우 4인의 연극론 독백
대한민국예술원이 26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개최한 연극포럼 ‘매혹으로서의 연극, 네 배우의 모놀로그’에서 원로 연극 배우 박정자(왼쪽부터)·오현경·손숙·이호재가 각자의 대표작
-
"피난시절 천막교회가 첫 무대" 박정자·손숙·오현경·이호재 반세기 연극철학 새긴 모놀로그
예술원이 10월 26일(수) 오후 3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예술원 연극포럼 ‘매혹으로서의 연극, 네 배우의 모놀로그’를 개최했다. 원로 연극 배우 박정자, 오현경, 손숙(사
-
창덕궁~화성 융릉까지…조선 최대 축제 ‘정조대왕 능행차’ 다시 본다
‘원행을묘정리의궤’는 1795년 창덕궁을 나온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현 경기도 화성 융릉)을 방문해 참배하고, 수원 화성(華城)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
3년만에 서울 창덕궁~화성 융릉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된다
1795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함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융릉을 참배하기 위해 창덕궁을 출발했던 '능행차'가 3년만에 재현된다. 사진은 2017년 행사모습. 사진 서
-
박정희가 말타고 달렸다더라...베일 벗는 靑, 인기코스는 '여기' [청와대 백과사전]
일러스트=안충기 기자 newnew9@joongang.co.kr [청와대 백과사전 1: 걸어서 한바퀴] 백악산 아래 청와대는 대통령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대통령을 뽑아준 국민
-
[소년중앙] 500년 역사 앞세워 세계유산 된 조선왕릉 이모저모
왕의 기운 서린 조선왕릉 산책…500년 역사·문화·과학·예술 느껴지네요 이집트 왕족의 무덤인 피라미드와 영원한 삶을 향한 염원이 담긴 중국의 진시황릉 등은 소중 친구들도 잘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뒤주에서 죽은 사도세자, 당쟁의 희생양일까
━ 소문의 역사, 사실의 역사 조선 영조(오른쪽)와 사도세자의 충돌을 그린 영화 ‘사도’. 사도세자의 죽음은 왕위가 자식에게 세습되는 체제가 빚어낸 비극이다. [중앙포토]
-
[더오래]정조가 해질녁 눈 내리는 광경을 시로 읊던 능허정
━ [더,오래] 이향우의 궁궐 가는 길(61) 창덕궁 후원 안, 옥류천. [사진 Daderot on Wikimedia Commons] ━ 옥류천 계곡을 나오면서
-
알고보니 양반 출신···정조 두번 찬 성덕임, 왜 승은 거부했을까 [역발상]
MBC 사극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정조(이준호)와 성덕임(이세영) [사진 MBC] 정조와 궁녀 성덕임의 로맨스를 다룬 MBC 사극 ‘옷소매 붉은 끝동’이 최근 큰 인기를 얻었
-
[분수대] 입덕부정기
위문희 사회2팀 기자 입덕. ‘들 입(入)’자와 일본어 ‘오타쿠(御宅·한 분야에 열중하는 사람)’를 한국식 발음으로 바꾼 ‘오덕후’의 ‘덕’자를 합쳐 만든 말이다. 어떤 인물이나
-
[더오래]친구와 송년 시간 가졌던 용주사의 겨울 한낮
━ [더,오래] 전명원의 일상의 발견(21) 정조가 근처로 사도세자의 능을 이장하며 원찰로 삼았다고 하는 이 절은, 낙성식 전날 밤 정조의 꿈에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
-
"그렇게 경종 죽였나" 영조 멘탈 붕괴시킨 게장 독살설의 진실 [역발상]
부왕인 영조와의 갈등 끝에 비극적으로 숨진 사도세자 얘기를 다룬 영화 ‘사도’의 한 장면. [사진 쇼박스] "25년이나 지났는데 지겹지도 않냐." 영화 '사도'의 한 장면.
-
"정조는 너무 미화됐다" 망국책임론도 나온 '지킬 앤 하이드'
영화 '역린', '사도', 드라마 '이산' 등 여러 문화콘텐트에서 다양하게 다뤄진 정조.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조선 22대 국왕 정조는 1800
-
文도 이해찬도 "정조 계승"…과연 그는 위대한 왕이었나
2017년 4월 13일 오후 서울 강서구 KBS아레나에서 '선택 2017 한농연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가 열렸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농업 정책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
[역지사지(歷知思志)] 정조
유성운 문화팀 기자 정조는 평생 인삼을 꺼렸다. 생사를 넘나들던 1800년 6월 인삼을 쓴 경옥고(瓊玉膏)를 권유받았을 때도 “경들은 나의 본디 체질을 몰라서 그렇다. 나는 본디
-
"콧수염이 세균 아지트""경옥고가 독약"…누가 정조 죽였나
"누가 지은 약인가?" (정조) "강최현이 지은 것인데 여러 사람의 의논이 대체로 서로 비슷하였습니다." (이시수) "5돈쭝인가?" (정조) "인삼 3돈을 넣었습니다." (이시수
-
“50년 모은 벼루, 혜원·단원·이중섭 그림과도 안 바꾼다”
위안화초석 월하매죽문연, 조선 15~16세기. [사진 가나문화재단] “남들이 이중섭 그림 한 점을 30만원 주고 살 때 저는 벼루 하나에 100만원을 줬어요. 지난 50년간 제가
-
"나를 반평생 홀린 벼루, 이게 바로 신의 작품" 이근배 시인
위원화초석 연화문일월연, 조선 15~16세기, 12x20.3x1.8cm.[사진 가나문화재단] "남들이 이중섭 그림 한 점을 30만원 주고 살 때 저는 벼루 하나에 100만원을
-
"MC보다 희극인" 데뷔 30주년 유재석, 백상 TV부문 대상
13일 제5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 부문 대상을 받은 유재석. [사진 백상예술대상 사무국] 올해로 데뷔 30주년을 맞은 유재석이 제5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의 주인공이
-
[더오래]조선왕조의 몰락 예고한 효명세자의 죽음
━ [더,오래] 이향우의 궁궐 가는 길(42) ━ 왕세자의 대리청정 대부분의 왕통승계는 선왕의 승하 후 사왕(嗣王)으로 즉위하고 국정을 다스리게 된다. 그러나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