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호의 시시각각] “그래, 지옥은 내가 가겠다”
오는 26일 서거 113주년을 맞는 안중근 의사와 최근 타계한 일본의 노벨문학상 작가 오에 겐자부로. 그 둘은 동아시아가 평화롭게 어울리는 세상을 호소했다. 지난 13일 뒤늦게
-
[박정호의 시시각각] ‘소주 체질’ 한국인
소줏값 인상 여부를 놓고 논란이 뜨겁다. 서울의 한 마트에 진열된 여러 종류의 소주. [연합뉴스] 밥상에 놓인 소주병에 시선이 멈췄다. 병목 라벨에 찍힌 숫자 30이 선명하다.
-
[박정호의 시시각각] 진짜 연포탕을 먹고 싶다
산낙지를 맑고 깨끗하게 끓어내는 요즘 연포탕.(왼쪽) 해장에 제격이다. 오른쪽은 두부를 닭고기 국물에 끓여 먹는 조선시대 연포탕. 다산 정약용 집안에 내려오는 음식을7대 종부 이
-
[박정호의 시시각각] 고려 금동불상은 영원하다
지난 1일 대전고등법원에서 일본 사찰의 소유권을 인정한 금동관음보살좌상(왼쪽)과 경기도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둘이 어딘 듯 닮아 보인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
[박정호의 시시각각] 토끼는 숨 쉬고 싶다
2023년 계묘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 곳곳에 '토끼' 작품 10점이 새로 전시됐다. 문자도 병풍에 포함된 달나라 토끼 그림이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모두 토끼 때문이었다.
-
[박정호의 시시각각] 한 끼도 부담스러운 청춘
지난 9월 2학기 개강을 맞아 친목을 다지고 있는 송원장학회 학생들. [사진 송원장학재단 밴드] “학식이라도 마음 편히 먹고 싶다”는 앳된 청년의 호소에 가슴이 아렸다. 지난 1
-
[박정호의 시시각각] 옹기집 막내아들의 꿈
2019년 김수환 추기경 선종 10주기를 맞아 명동성당에서 열린 추모 사진전. [뉴스1] 1969년 5월 21일 명동성당 사제관에 캐딜락 하나가 나타났다. 그해 3월 말 47세에
-
[박정호의 시시각각] 의상 대사는 오늘을 반길까
해인사 '법계도'(왼쪽) 문양과 이를 작품에 원용한 나전칠화 '일어나 비추어라' 부분. 그곳에 역시 작품은 없었다. 지난 24일 찾아간 서울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지하 3층 전시장
-
[박정호의 시시각각] 봉황은 좁쌀을 먹지 않는다
19세기 문자도 가운데 ‘청렴할 염(廉)’자를 형상화한 봉황 그림.예부터 봉황은 검소한 삶을 상징했다. '봉비천인 기불탁속(鳳飛千忍 飢不啄粟, 봉은 천 길을 날아 굶주려도 좁쌀을
-
[박정호의 시시각각] 대한민국 치욕의 날
박정호 수석논설위원 밤새 떨고 떨었다. 잠을 이룰 수 없었다. 탄식과 비탄의 굴레에서 헤어날 수 없었다. 끝내 분노가 터졌다. 정말 저 아수라장이 실제인가. 두 눈과 귀를 믿을
-
[박정호의 시시각각] 안중근은 지금 어디에…
서울 남산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있는 안 의상 동상과 혈서 태극기.[중앙포토] 김월배 하얼빈이공대 외국인 교수는 최근 부산 용호동 백운포 산기슭에 있는 천주교 공원묘지에 다녀왔다
-
[박정호의 시시각각] ‘××’를 위한 변명
지난해 개천절 당일 인천 강화군 마니산 참성단에서 열린 ‘제4354주년 개천대제 봉행’ 모습. 비속어 다툼에 휩싸인 정치권에 단군의 홍익인간 정신을 말하는 건 우물에서 숭늉을 찾
-
[박정호의 시시각각] 고구려·발해를 지우겠다고…
고구려와 발해 부분을 삭제한 중국국가박물관의 연표(왼쪽). 중국은 한국이 수정을 요구하자 연표가 있던 전시장 벽면을 지워버렸다. [중앙포토,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중국에서 『
-
[박정호의 시시각각] 서울대 정문 ‘지식인 의자’
서울대 정문 앞에 새로 마련된 '지식인 의자'. 정문 주변에 널찍한 광장도 조성됐다. 아래는 정문 밑으로 차가 다니던 예전 모습. [중앙포토, 연합뉴스] 서울대에 명물 하나가 생
-
[박정호의 시시각각] 법정 스님의 봉은사
박정호 수석논설위원 115년 만의 수마가 국토를 휩쓸었다. 국가 재난대응시스템에 조종이 울렸다. 서울 ‘강남 스타일’도 잠겨버렸다. 피해 규모를 따지면 1925년 을축년 대홍수가
-
[박정호의 시시각각] 이순신의 칼, 안중근의 총
충무공 이순신 종가에서 전해져내려온 장검 한 쌍(보물)과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할 때 사용한 것과 같은 종류의 권총. [사진 문화재청, 전쟁기념관] 광화문광장이 다시
-
'우영우' 하나로 초대박난 ENA…속편히 웃는 곳은 따로 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인기 덕분에 신생 채널 ENA가 유명세를 얻었다. [사진 ENA] “‘우영우’ 본방송 어디서 볼 수 있죠?” 최근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
-
[박정호의 시시각각] 무지갯빛 ‘우영우’는 있을까
자폐 스펙트럼을 다루며 우영우 신드롬을 일으킨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일러스트=김지윤] 1953년 노벨문학상을 탄 처칠 전 영국 총리는 언어의 달인이다. 최근 그의
-
[박정호의 시시각각]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지난 8일 귀국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아들을 껴안고 있다. [뉴스1] 줄탁동기(啐啄同機)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려면 새끼와 어미닭이 서로
-
[박정호의 시시각각] 90세 소년병의 마지막 소원
한국전쟁에서 산화한 소년병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매진해온 박태승씨. 올해 아흔이다.[중앙포토] 벌써 49년째다. 올해 아흔 살 노인은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속죄의식을 치른다.
-
"황해도서 전국노래자랑"…그 꿈 남기고 떠난 영원한 현역 [송해 1927~2022]
95세 평생 ‘딴따라’를 자처했다. 장수 프로 ‘전국노래자랑’을 34년간 진행하며 방방곡곡 서민들의 웃음과 눈물을 함께 했다. 악극단 시절부터 한류 열풍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
[박정호의 시시각각] 한국인이 처음 그린 미국 풍경화
서화가 강진희(1851~1919)의 ‘화차분별도(火車分別圖)’. 한국인이 그린 첫 미국 풍경화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품. [사진 예화랑] ■ 강진희의 1888년작 ‘화차분별
-
[박정호의 시시각각] 140번째 태극기 생일
140년 전인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사용된 태극기 도안. 당시 미국 측 대표였던 슈펠트 제독이 직접 그려 미국 해군 측에 전달했다. 대한민국 상징인 태극기가
-
[박정호의 시시각각] 윤석열 대통령의 거울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수집품 기증 1주년을 기념하는 전시에 나온 업경대(앞). 생전에 지은 모든 잘잘못이 거울에 비친다고 한다. 뒤에 보이는 조각은 사찰에서 큰북을 올렸던 법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