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TS RM이 기부한 1억 덕분에…'조선 웨딩드레스' 되살렸다
13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활옷 만개'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소장 활옷이 선보이고 있다. BTS RM이 쾌척한 1억원에
-
박정희 “김부장 8억불 어때”…김종필-오히라 메모 비화 (27) 유료 전용
박정희-이케다 정상회의(1961년 11월 12일)로 한·일 회담이 힘을 받긴 했지만 1년이 지나도록 실제적인 문제에서 진척이 없었다. 회담 의제는 ‘한·일 기본관계’ ‘재일 한국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문화재와 범죄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학생 시절 뉴욕 메트로폴리탄 전 박물관장인 디에트릭트 폰 보트머 밑에서 아르바이트하고 있을 때였다. 관장이 점심 먹으러 간 사이에 양복을 점잖게 빼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엘긴 마블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최근 영국박물관(브리티시 뮤지엄)에서 소장품 2000여 점이 오랜 기간에 걸쳐 도난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더욱 놀라운 건 주요 용의자가 박
-
이응호·서왈보·안창남, 조선 개화·부강의 꿈을 싣고 날다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식민지 청년 꿈을 깨운 비행기 근대 초기 사람들에게 가장 큰 충격과 매혹을 선사한 첨단 문물은 무엇이었을까? 그건 아마 비행기였을
-
이스라엘이 美에 빌려준 국보, 왜 그곳에…"백악관 아닌 트럼프 집에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이스라엘이 미국 백악관 행사에 잠시 빌려줬던 국보들이 반환되지 않은 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자택으로 옮겨졌다고 영국 가
-
각국에 문화재 반환 요청…김건희 여사 ‘문화 외교’ 눈길
김건희 여사가 지난 23일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홍보관에서 열린 K관광 협력단 출범식에 참석해 이부진 한국방문의해위원회 위원장(오른쪽), 홍보 대사 차은우와 함께 현장 직원의
-
尹 '수퍼위크 외교' 행보 속 '문화재 반환' 요청 이어간 김건희
김건희 여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에서 진행된 'K-관광 협력단' 출범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김 여사 왼쪽으로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이 함께하고 있다. [대통령실
-
[포토타임] "미꾸라지야 맑고 푸른 환경을 부탁해!"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오후 5:15 성내천 가꾸기... "미꾸라지야 맑고 푸른 환경을 부탁해!" 22일
-
[포토타임] 어린이날 비 소식에 미리 북적이는 놀이시설…서울시는 주요 행사 취소·변경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5.04 오후 5:00 어린이날 비 소식에 북적이는 놀이시설…서울시는 주
-
‘존엄사 5년 기획’ 제도 개선방안·해외 사례 후속 보도를
━ 독자위원회, 중앙일보를 말하다 중앙일보 독자위원회 4월 회의가 지난 25일 서울 상암동 중앙일보 사옥에서 김준영(전 성균관대 이사장) 위원장 주재로 열렸다. 독자위원들
-
[이번 주 핫뉴스] 美, 3일 FOMC에 시장 관심…간호법 반발 의료대란? (1~7일)
5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美, FOMC 기준금리 결정 #강수연 1주기 추모전 #간호법 파업 #찰스 영국 국왕 대관식 #세관 휴대품 신고 #ADB 연차총회 #사찰 문화재
-
[박정호의 시시각각] 1377년의 ‘직지(直指)’, 2023년의 ‘직지’
고려 말 제작된 『직지(直指)』 금속활자본. 정확한 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다. 줄여서『직지』 『직지심체요절』이라 부른다. [중앙포토]
-
[강혜명의 파시오네] 3·1절에 돌아본 한·일교류
강혜명 성악가·소프라노 ‘吾等(오등)은 玆(자)에 我(아) 朝鮮(조선)의 獨立國(독립국)임과 朝鮮人(조선인)의 自主民 (자주민)임을 宣言(선언)하노라.’(기미 독립선언문 중)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대만 고궁박물원 보물 60만점의 주인은 누구인가
━ 중국·대만의 자존심 갈등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문화재와 사람은 운명이 비슷하다. 전란이 일어나면 문화재도 사람과 함께 피난을 간다. 한국전쟁에서도 그랬다. 서울에
-
김건희,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 관람…“국외 문화재 고국 돌아오도록 노력”
김건희 여사가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 특별전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
절도범 거쳐 日서 돌아온 고려불상 소유권…대법원 판단 받는다
일본에 있다가 절도범에 의해 국내로 들어온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불상). 문화재청 절도범에 의해 일본에서 국내로 반입된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불상)을 원소유자에게 돌려달라
-
中에 치욕 안겨준 英…그 런던에 '12만명 차이나타운' 생긴 사연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런던에 위치한 차이나 타운. 2022.09. 셔터스톡 차이나타운은 중국에 가까운 동남아시아나 대항해 시대 이후 전 세계 바다로 진출했던 서구 해양국가의 수도나 대도시엔 으레 존재
-
[세컷칼럼] 고려 금동불상은 영원하다
가로 56㎝, 세로 45.5㎝, 높이 50.5㎝, 무게 38.6㎏의 불상 한 점이 있다. 고려 말 금동관음보살좌상이다. 전문가들은 고려시대 불상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온
-
[박정호의 시시각각] 고려 금동불상은 영원하다
지난 1일 대전고등법원에서 일본 사찰의 소유권을 인정한 금동관음보살좌상(왼쪽)과 경기도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둘이 어딘 듯 닮아 보인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
"약탈 문화재, 반환이 맞지 않을까"…日 교육계 움직임 시작됐다 [김현예의 톡톡일본]
김현예 도쿄 특파원 한·일 관계를 되살려보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일본 내 변화의 기운이 일부 감지되는 부분이 있다. ‘약탈 문화재 반환’과 관련해서다. 침략의 역사에 대
-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은 일본”…뒤집힌 판결
한국 절도단이 국내로 반입한 ‘금동관음보살좌상(오른쪽)’과 ‘동조여래입상’. 프리랜서 김성태 10여년 전 한국 절도범들이 일본 쓰시마(對馬) 관음사에서 훔쳐 한국으로 반입했던 금
-
1심 서산 부석사→2심 日간논지...뒤바뀐 고려 불상 소유권
10여년 전 한국 절도범들이 일본 쓰시마(對馬) 사찰에서 훔쳐 한국으로 반입했던 금동관음보살좌상(불상)을 돌려주라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다. 소유권이 서산 부석사에 있다고 판단한
-
장징궈, 소련군에 “몰수 기관차·화폐 등 반환을” 당찬 요구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1〉 루스벨트 사망 1주일 후 신임 대통령 트루먼(오른쪽 셋째)과 회담을 마친 중국 외교부장 쑹즈원(오른쪽 둘째).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