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가 거칠수록 맛있어진다… 일출 명소 호미곶 돌문어 맛의 비결[백종원의사계MDI]
바다가 거칠면 거칠수록 맛있어지는 그놈 일출의 명소, 해가 뜨는 곳에서 돌문어를 맛보다 티빙의 '백종원의 사계' 문어편. 인터넷 캡처 ■ 「 ‘백종원의 사계 MDI’는 티빙
-
우주를 유영하고 바다 위를 걷다, 색다른 포항 여행법
포항 북구 환호공원에 지난해 11월 들어선 스페이스 워크는 단박에 랜드마크로 떠올랐다. 포스코가 독일의 유명 디자이너에게 맡겨 제작한 체험형 공공미술이다. 해 진 뒤 조명이 들어
-
포항 해변에 웬 롤러코스터? 단박에 26만명 대박난 기괴 물체
포항 환호공원에 들어선 스페이스 워크. 이달 들어 야간 개장을 시작했다. 해 진 뒤 조명이 들어오면 우주 정거장을 걷는 듯한 기분이 든다. 공업 도시 이미지가 강했던 경북 포항이
-
SNS 난리난 경주 한우물회, 사장이 일러준 맛있게 먹는 순서
일반적인 물회 같아 보이지만 횟감이 다르다. 고춧가루 양념 육수 위에 해산물 대신 한우를 올리는 것이 경주식 한우물회다. 주로 한우는 기름기가 적은 꾸리살이나 우둔살, 홍두깨살을
-
오뚜기 ‘제1회 푸드 에세이’ 공모전 개최
오뚜기 푸드 에세이 공모전 시상식 주식회사 오뚜기(대표이사 : 황성만)가 ‘음식과 함께하는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오뚜기 제1회 푸드 에세이 공모전’을 개최했다. 올해
-
오뚜기 ‘오뚜기 제1회 푸드 에세이 공모전’ 시상식 개최
주식회사 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는 지난 18일(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오뚜기센터에서 ‘오뚜기 제1회 푸드 에세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으
-
[한 컷 세계여행] 사막 위 바벨탑, 세계 최고 건물의 ‘비교 불가’ 위용
━ UAE 두바이 부르즈 칼리파 “사막의 기적.” 7개 토후국으로 이뤄진 아랍에미리트 공화국, 그중에서도 두바이 하면 꼭 이 말이 따라붙습니다. 실제로 그렇습니다. 모래
-
해 보고 회 먹고 시장 둘러보고… 겨울 포구가 더 재밌네
━ 울산 방어진 방어진항 인근에 울산 대왕암공원이 있다. 대왕바위와 그 너머로 떠오르는 해를 함께 담을 수 있는 장소다. 날이 차고 바닷바람이 거셌지만, 울산 방어진항은
-
남해 금산 보리암 관음보살은 소원 하나는 꼭 들어준다
남해 금산에 올라 보리암 관음보살에 소원을 빌었다. 보리암은 국내 3대 관음 성지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이 저물어간다. 올해는 뒤돌아보지 않으련다. 아쉬움도 없고, 서운함
-
히치콕 ‘공포영화’ 장면 같았다···울산 뒤덮은 10만 떼까마귀
울산 태화강변 삼호대숲에 찾아든 떼까마귀. 따뜻한 곳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시베리아에서 찾아온 철새다. 해가 내려앉고 땅거미가 젖어 드는 시간. 울산 태화강은 ‘까~까~’ 울어대
-
남해의 ‘놀고먹고 할배’ 서포 김만중이 잠든 섬 속의 섬 노도
경남 남해군 노도. 앵강만 어귀에 떠 있는 작은 섬을 드론으로 촬영했다. 유배 내려온 서포 김만중이 이 섬에서 3년 2개월을 살다 죽었다. [사진 남해군청 윤문기 팀장] 경남 남
-
코로나가 앗아간 1300조 “관광, 2024년 돼야 예년수준 회복”
“바이러스 확산으로 전 세계 관광업 일자리가 1억~1억2000만 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코로나19가 항공산업에 미친 충격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수준이다.” 지난
-
과메기의 계절이 왔다…모리국수도 추워야 제맛
━ 일일오끼 - 경북 포항 이맘때 경북 포항 구룡포 삼정리 해변을 걷노라면 바닷바람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고 있는 과메기를 쉬이 볼 수 있다. 포항의 겨울을 대표하는 풍경이
-
[일일오끼] 모르면 손해랍니다… 추워야 제맛 내는 과메기와 모리국수
━ 일일오끼-경북 포항 경북 포항은 과메기의 고장이다. 구룡포 삼정리 해변을 걷노라면 해풍 맞으며 꾸덕꾸덕 마르고 있는 꽁치를 쉬이 볼 수 있다. 경북 포항으로 여행을 떠
-
길따라, 맛따라 도시 맛집 찾아가는 별미 여행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주간을 맞이하여 '길따라, 맛따라 (도시의 맛집)' 라는 테마로 2015년 5월에 가볼 만한 곳 9곳을 선정했다. 떡갈비와 무등산 옛길이 어우러진 봄나들이 │ 광
-
[주목! 이 책] 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 外
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장광 지음, 김영사, 536쪽, 1만8800원)=집중 반복, 생생한 회화교육…. 조선시대에도 외국어 교육 열기는 대단했다. 언어학자인 저자가 동아시아의 옛 외
-
7번 국도를 따라 떠난 국수여행
추운 겨울, 뜨끈한 국수 한 그릇은 별미 중 별미다. 우리나라에서 국수 문화가 발달한 지역은 경상도와 강원도. KBS1 ‘한국인의 밥상’에서 두 지역을 잇는 7번 국도를 따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