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혼산'에 뜬 멸종위기 나팔고둥…"울릉도 횟집서 불법 판매"
울릉도 회타운에서 판매 중인 멸종위기 1급 나팔고둥. 사진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멸종위기종인 나팔고둥이 울릉도의 한 횟집에서 불법으로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멸종위기 Ⅰ급이
-
“지구는 고혈압 환자, 인류가 안전하게 살 수준 넘었다”
대기질이 나쁜 도시 1위에 여러 차례 꼽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지난 11일 모습. [AP=연합뉴스] 전 세계 과학자들이 지구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 결과 9개 지표 중 6개가 이
-
지구 '위험 한계' 넘었다…"심장마비 임박 고혈압 환자 수준"
지구 이미지. NASA 전 세계 과학자들이 지구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 결과 9개 지표 중 6개가 이미 '위험 한계'를 넘어섰다는 진단이 나왔다. 지구의 건강 상태가 인류가 안전하
-
다시 닫는 금강 보 수문...돌아왔던 멸종위기종들 어찌 되나
흰수마자. [사진 변명섭] 금강 보 수문을 열면서 토종 민물고기이자 멸종위기종인 흰수마자 등이 되돌아오고 서식 범위도 점차 넓어졌지만, 다시 자취를 감출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
-
온난화에 높은 곳으로 피신?…날개 달린 곤충도 못 가는 이유 있다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핀 백일초에 날아든 긴꼬리제비나비(호랑나비과)가 꿀을 빨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나비와 같은 곤충들은 점점 높은 고도로 이동하지만, 높은 고도에서는
-
호기심 가득한 점박이물범
━ WIDE SHOT 와이드샷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점박이물범이 낯선 이들을 경계하는 듯 고개만 물 밖으로 내밀고 빤히 쳐다보고 있다. 충남 서산 가로
-
터줏대감 밀어내는 외래식물 침입능력…그 뒤엔 진화적 불균형
외래 식물인 서양민들레. 유럽 원산으로 아시아와 북미 등에 귀화했다. [사진 국립수목원] 외래 식물이 새로운 터전으로 침입해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것은 원산지에서 많은 종 틈에서
-
[포토타임] 서이초 교사 추모 집회...보신각 앞서 열려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오후 3:30 [포토타임] 서이초 교사 추모 집회...보신각 앞서 열려 서울 서
-
떡하니 방파제 차지…해경이 순찰 중 포착한 해양생물 정체
포항 영일만항 북방파제에 나타난 큰바다사자. 사진 포항해양경찰서 경북 포항 앞바다를 순찰하던 해경이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큰바다사자를 발견했다. 20일 포
-
자연에 투자하면 '일석이조'…돈 벌고 개도국 환경문제도 해결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의 한 농장에서 그린 애그리컬처 웨스트 아프리카 회사의 전문가가 연수생들에게 녹색 슈퍼 쌀 품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고소득 국가에서 농업보조금을
-
일제가 말살시킨 '큰바다사자'…100년만에 가거도서 포착됐다
지난 22일 오전 전남 신안군 가거도 인근 해상에서 국제 멸종위기종인 큰바다사자가 갯바위에 올라와 있다. 국제 멸종위기종인 큰바다사자가 서남해에서 발견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
[포토타임] 일광욕 즐기는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23일 서울 낮 최고 30도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6.22 오후 4:20 일광욕 즐기는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23일 서
-
“공원으로” vs “논으로” 세종 도심 농경지 용도 논란
세종시 도심 한복판에 남아있는 농경지를 놓고 시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12일 행복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세종동 중앙공원과 맞닿은 금강 변 안쪽 88만㎡ 공터에 2027년까지
-
여수 주택가 "뱀 출몰" 119 신고…멸종 위기종 구렁이였다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없음. 사진은 야생 구렁이가 풀밭에 있는 모습. 국립생태원 전남 여수의 한 주택가 인근 도로에서 멸종위기종 야생 구렁이가 출몰했다. 12일 여수소방서에 따
-
도심서 벼농사…'핫플레이스' 코앞을 이렇게 만든 '귀한 녀석'
지난 8일 세종시 세종동 중앙공원 2단계 부지에 있는 논을 배경으로 아파트 단지가 보인다. 최종권 기자 ━ 모내기 막 끝낸 세종 도심서 고라니 ‘껑충’ 지난 8일 세종시
-
탄천·중랑천·여의도 샛강에 '꺅~'…서울살이 수달 15마리 확인
초롱초롱한 눈과 매끄러운 몸매, 유려한 꼬리에 오밀조밀한 발가락. 귀여운 모습과는 다르게 날카로운 송곳니로 먹이를 박력 있게 물어뜯는 반전 매력도 있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 위기
-
노란색 울음주머니, 친환경 논에서 발견되는 멸종위기 1급 ‘수원청개구리’[영상]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수원청개구리’가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남계리에 집단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임진강생태네트워크 등에 따르면 남계리의 친환경농법으로
-
[신간] 마이그레이션 : 북극제비갈매기의 마지막 여정을 따라서
━ 책 소개 동물들이 죽어 가고 있다. 머지않아 우리는 이곳에 홀로 남겨질 것이다. 가까운 미래, 기후 변화로 대부분의 동물이 멸종한 세상. 새를 연구하는 프래니는
-
여름엔 상하이까지 간다…천연기념물 서해 점박이물범의 동선
지난 1월 31일 제주 서귀포시 가파도 바다에서 점박이물범이 유영하는 모습이 사진작가이자 가파도어촌계장인 유용예씨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이례적으로 관찰된 이 점박이물범은 2월 1
-
[빅 체인지] 생물다양성 보전, 해양폐기물 수거에 앞장
포스코그룹 포스코그룹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며 글로벌 사업장 내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임직원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 숲 공원에서 맹그로브 묘목
-
한쪽으로만 빙빙 돌던 수달 ‘수은 중독’ 이었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된 수달이 지난해 7월 강원도 강릉시 남대천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강 상류에서 구조된 지 4일 만에
-
'한쪽으로 빙글빙글' 수달의 죽음, 북한강 수은중독 때문이었다
강원 강릉시 남대천에 나타난 천연기념물 수달. 연합뉴스 북한강 상류에서 구조된 지 4일 만에 죽은 수달의 사인이 수은 중독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천 생태계 먹이사슬의 꼭
-
1m 폭우 쏟아져도 끄떡없다…신이 제주에 준 선물, 곶자왈 유료 전용
지난 어린이날 연휴 사흘 동안 한라산 삼각봉에 1m(1023㎜)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졌다. 서귀포 지역 강수량은 376.3㎜였다. 제주도에서 5월에 내린 비로는 가장 많다.
-
[아이랑GO] 해외여행 시 반입제한 물품은?...관세박물관에서 미리 공부했죠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를 해야 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