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구이저우통신] 더 이상 황무지 아니다, 고고학계 ‘왕훙’된 구이저우
중국 구이저우는 더 이상 작은 규모의 고고학 유적 지역이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구이저우는 중국 고고학 관련 종목으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세계 10대 고고학 신(新)발견을
-
지하실에서 시작해 中 대표 디자이너 된 하얼빈 남성
지난 10일 중국 구이저우(貴州)성 첸둥난(黔東南) 먀오족둥(侗)족자치주에 있는 한 바틱 염색 공방 안. 두 팔을 걷어붙인 한 남성이 모델에게 의상을 입혀보고 있다. 그의 이름은
-
한족 병졸·이주민 마을 ‘둔보’ 요새처럼 미로·망루 만들어
━ [중국 기행 - 변방의 인문학] 구이저우성 한족촌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 낸 구이저우성 황궈수폭포. 78m 절벽에서 101m 폭으로 엄청난 물을 쏟아 내는 폭포. 이런
-
반란·수난의 민족…‘치우’ 조상설로 무모한 역사 리모델링
━ [중국 기행 - 변방의 인문학] 먀오족 구이저우성 카이리시 외곽에 있는 시장이라는 먀오족(苗族) 마을. [사진 윤태옥] 산등성이에 올라 맞은편을 바라보면 집집마다 하나
-
'커도 너무 커' 中 57m 관우 청동상 철퇴 "혈세 낭비 치적사업"
중국 후베이성 초대형 관우 청동조각상. 연합뉴스 중국 지방 정부들의 대표적인 혈세 낭비와 치적 사업으로 지적돼온 57m짜리 초대형 관우 청동 조각상과 대형 건축물 '천하제일 수이
-
대륙의 스케일? "너무 커 흉물" 철퇴맞은 中 57m 관우 청동상
중국 지방 정부의 대표적인 혈세 낭비 사업으로 지적돼 온 57m짜리 관우 청동 조각상과 99.9m짜리 목조호텔 '천하제일 수이쓰러우(水司樓)'가 당국으로부터 시정 명령을 받았다고
-
中 마지막 동굴 마을, 그들은 왜 어둠을 고집할까
구이저우성의 중동묘채(中洞苗寨)는 중국의 마지막 동굴 부락이다. 이곳은 카르스트 동굴로 넓이 115m, 높이 50m, 깊이 230m로 중국 소수민족 먀오족(苗族) 100여 명이
-
[서소문사진관] 좡족·먀오족·조선족… 베이징 인민대회당의 소수민족들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전인대 개막식이 열리기에 앞서 중국 소수민족 의상을 입은 안내인들이 천안문광장에서 카메라 포즈를 취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 최대의 정치행사
-
[사진] 중국 시진핑 주석 후난성 시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인 시진핑 국가주석이 3일(이하 현지시간)부터 5일까지 중국 후난성을 시찰했다. 시진핑 주석이 중국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
스토리텔링, 여행과 通했다
문경찻사발축제는 가스나 전기 대신 땔감을 태워 도자기를 굽는 전통 방식을 선보여 인기를 끌고 있다. 스토리텔링 기법이 여행시장에서 ‘통(通)’하고 있다. 역사, 전설, 문화 등 이
-
아웃도어 스타일, 가을 그곳에선 너와 내가 단풍이다
기능성 위주의 1세대 아웃도어 제품이 미(美)도 중시하는 2세대로 진화하고 있다. 거친 아웃도어 활동에 특화한 제품과 일반 여행 활동이나 일상에서도 멋스러운 제품으로 나뉘고 있다.
-
[Wide Shot] 중국 먀오족 말싸움 축제
추석을 맞이하는 풍습은 같은 동양문화권이라도 다르다. 중국 남부 광시(廣西) 좡(壯)족 자치구 룽수이(融水) 먀오(苗)족 자치진 샹펀(香粉)향 구룽포(古龍坡) 마을에서 13일 두
-
[BOOK] 중국 먀오족은 스스로를 ‘가뤼’라 부른다, 가뤼 … 고리 … 고구려?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 김인희 지음, 푸른역사 396쪽, 1만7800원 디아스포라(Diaspora).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각지에 흩어져 유대교의 관습과 규범을 따
-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 중국 소수민족 이야기
“중화인민공화국은 전국 각 민족으로 이뤄진 통일적 다민족 국가다…. 대한족주의(大漢族主義)를 반대한다….” 중국 헌법 전문의 한 구절이다.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은
-
[새로나온 책] 분권과 개혁 外
인문·사회 ◆분권과 개혁(박재창.강명구.젤리거 엮음, 오름, 320쪽, 1만3000원)=지역경제 활성화, 중앙권력의 지방분산화 등 분권에 대한 세계 각국의 경험을 비교했다. 중국
-
사진가는 찍고 PD는 소리 담고 '빛과 소리의 아시아' 전
▶ 중국 동족은 노래와 건축의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 김수남씨가 1997년 중국 구이저우성에서 찍은 축제 풍경에는 관악기의 하나인 루셩을 부는 동족 청년의 흥겨운 모습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