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반도체 희망’ 라피더스 “삼성과 정면승부 안한다”
라피더스의 최첨단 칩 시험 생산라인 ‘IIM-1’ 부지. 차량으로 5분 거리에 홋카이도의 관문 신치토세 공항이 인접해있다. 이희권 기자 베일에 싸여 있던 ‘일본 반도체 부활의 희
-
日 반도체 '30년 만의 설욕전'…"삼성과 정면승부 안한다" 왜
반도체 칩 뒤로 한국과 일본의 국기가 맞닿아 있다. 일본이 독자적인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나서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와의 정면승부도 점점 불가피해지고 있다. 셔터스톡 베일에 싸
-
“미 반도체, 중국 공급망서 독립 최소 10년 걸릴 것”
젠슨 황 반도체 패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에서 벗어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견해가 나왔다. 미국 반
-
엔비디아 CEO “美 반도체, 中 공급망 독립 최소 10년 걸려”
엔비디아 창업자인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 EPA 반도체 패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에서 벗어나는 데 상당한
-
“공장 짓는데 7~8년 걸려선 초격차 불가…민·관 머리 맞대야” [중앙포럼]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석학교수는 29일 “미국이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에 주도권을 뺏기면 군사력·인공지능(AI) 분야도 뒤처질 수 있기에 계속해서 제재를 가할 것”이라며
-
광운대학교 이상신 교수 연구팀, 포집 입자 수 제어가 가능한 광학 트래핑 기술 개발
왼쪽부터 이상신 교수, 이홍량 석박통합과정(광운대) 광운대학교 이상신 교수 연구팀(전자공학과)이 중국 절강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호주국립대학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
고맙다 HBM…하이닉스, D램 시장서 고속 성장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증가와 맞물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프리미엄 메모리 반도체 제품군에서의 약진에 힘입어 D램 시장 세계 1위 삼성전자와 격차를 5%
-
삼성과 4.4%P 격차…SK하이닉스, D램 점유율 사상 최고
경기도 이천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증가와 맞물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프리미엄 메모리 반도체 제품군에서의 약
-
“국내 기업이 압도적 점유율…글로벌 D램 시장 변화 시작”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D램 메모리 업체를 겨냥한 반격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다만 설계 및 제조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고부가 상품으로 한 단계 진화할
-
‘30년 세계1위’ 메모리판 흔들린다는데...“기회의 문 열렸다”
최정동 테크인사이츠 메모리 부문 수석부사장이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열린 국제반도체제조기술학술대회(KISM 2023)에서 메모리 반도체 공정과 소재 기술에 대해 강연하고
-
"美기업, 한국 자회사 통해 中에 반도체장비 허가 없이 판매"
미국 반도체장비 회사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가 중국 반도체기업 SMIC(중신궈지·中芯國際)에 미국 정부 허가 없이 제품을 수출한 혐의로 미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는
-
애플도 돈 싸들고 달려갔다…직접 투자 막힌 인도 공략법 유료 전용
향후 2년간 10%대 중반의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골드만삭스) 인도는 2024년으로 향하는 ‘최고의 선택’. (모건스탠리) 올해 4월 인도에서 처음 개장한 '애플스토어'
-
7년 만에 중국 찾은 호주 총리 "중국과 건설적 협력"
5일 상하이 국가회의전람센터에서 개막한 제6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축하 연설을 하고 있다. 호주 총리의 중국 방문은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
[단독] 이재용, 이번엔 일본 출장…HBM 판 뒤집을 장비 물꼬 튼다
지난 3월 17일 도쿄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라운드 테이블'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입장하고
-
SK하이닉스, 반년 만에 D램 흑자로 돌아섰다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에도 2조원 가까운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하지만 마진이 높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늘면서 D램 사업은 2개 분기
-
SK하이닉스, HBM덕에 'D램 3강’ 첫 흑자전환…“키옥시아 합병 동의 안 해”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에도 2조원 가까운 영업적자를 내며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하지만 마진이 높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늘면서 D램 사업은 2개 분기 만에
-
AI 시대에도 주도권 쥔다…초격차 기술 선보인 삼성전자
삼성 메모리 테크 데이 현장 부스의 모습.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업계 최고 속도인 32Gbps(초당 기가비트) GDDR7 D램 등 차세대
-
삼성 '차세대 HBM' 띄운 날…'칩워' 밀러는 이런 조언 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메모리 테크 데이 2023' 현장 부스 모습.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업계 최고 속
-
키옥시아·WD 합병 초읽기…일본판 반도체 굴기, 삼성 따라잡나
일본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WD)의 합병에 속도가 붙으면서 한국의 반도체 강국 입지에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 도쿄의 키옥시아 본사 로고.
-
하이닉스 황금알 HBM…그 뒤엔 ‘아오지탄광’ 불린 개발팀 있었다 유료 전용
마치 커다란 호수 주변에 아이들이 둘러앉아서 누가 먼저 (호수 속으로) 뛰어드나 서로 눈치를 보는 것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호수 안으로 뛰어들면 시원하고 재미있을 것 같지만,
-
韓‧美 놀래킨 7나노 화웨이폰…막상 신제품 발표회선 ‘함구’
지난달 30일 중국 수도 베이징 시내 한 쇼핑몰에서 시민들이 메이트60 프로 광고판을 지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25일 신제품 발표회를 열었지
-
화웨이, 삼성·마이크론·키옥시아 칩도 썼다…美 제재 안 먹혔나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3(모바일월드콩그레스)'에서 관람객들이 화웨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중국 화웨이가 20
-
SCMP "중국 메모리칩 제조 YMTC, 美 공급제한 부품 생산 박차"
중국 메모리칩 제조업체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YMTC)가 미국 회사에서 공급을 중단한 반도체 생산장비의 부품을 국산화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
-
TSMC발 악재에 한·미 반도체주 급락…일각 "바닥 가깝다" 기대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가운데 시장은 신중론과 낙관론을 반영하는 지표들이 동시에 쏟아져 나오며 혼조를 보이고 있다. 18일 국내 증시에서 반도체 관련주는 일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