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보에 필수” 프랑스 전원도시에 풍경처럼 녹아든 원전
━ ‘에너지 안보’ 좌우하는 원전 정책 지난달 17일 프랑스 노장쉬르센 시내에서 바라본 원전 2기의 냉각탑. 주민들은 별 반대 없이 원전 수명 연장에 동의했다. 정종훈 기
-
"안보에 절대적 필요" 우크라 위기에 원전 엑셀 더 밟는 프랑스
지난달 17일 프랑스 노장쉬르센 시내에서 뚜렷하게 보이는 원전 2기의 냉각탑. 정종훈 기자 ━ 지난달 17일 프랑스 내륙의 노장쉬르센 지역. 파리에서 차로 약 2시간 거리
-
[서소문 포럼] 중국·러시아 발 ‘퍼펙트 스톰’
김창규 경제에디터 얼마 전 JP모건체이스는 내년 중국과 러시아에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가 닥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두 나라를 ‘trouble spots(분쟁 잦은 지역
-
부진경자청, 국제그린해양플랜트 전시회 참가 앵커기업 유치활동
글로벌 선도 해양기업 유치를 위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발벗고 나섰다. 경자청은 제6회 국제그린해양플랜트 전시회에 참가, 조선·해양산업분야 앵커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투자
-
반도체 부진 지속, 생산 14% 줄고 재고 3.8% 늘어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생산이 크게 줄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정보기술(IT)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반도체 수요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반도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
비상등 켜진 '반도체', 8월 생산 14%나 감소…13년만 최대 폭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생산이 크게 줄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정보기술(IT)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반도체 수요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반도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
슬로바키아 총리, 러시아발 에너지 대란에 "국가 무너질 지경"
에두아르트 헤게르 슬로바키아 총리 AP=연합뉴스 슬로바키아 총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대란 탓에 치솟은 전기 요금으로 “국가가 무너질 지경”이라고 말했다고 로
-
"파스타 넣고 불꺼라" 에너지 대란에 물리학자가 요리 훈수
폭염이 기승을 부리던 지난 7월 19일 영국 트라팔가 광장 분수에서 한 사람이 더위에 못이겨 머리에 물을 적시고 있다. 올해 영국에선 기록적으로 치솟은 에너지 비용 탓에 폭염에도
-
獨, 원전 연장 없이 2곳만 '예비' 대기…佛과 전기‧가스 교환도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속 올해 말까지의 완전한 탈핵 계획을 놓고 고심하던 독일이 남은 3기의 원자로 가동을 멈추되, 이 중 2기만 내년 4월까지 예비 전력원으로 유지한다는 절충안
-
[이번 주 핫뉴스] 추석 앞두고 힌남노 피해 우려…검수완박 시행(5~11일)
9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태풍 힌남노 #이원석 인사청문회 #전경련 한일관계 세미나 #코로나 2가 백신 #일본 PCR검사 면제 #1기 신도시 #아이폰14 #추석연휴 #EU
-
"'태조이방원'도 탈세계화 산물…하반기 환율 더 오른다" [앤츠랩]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이 25일 서울 여의도 KB증권 사옥에서 하반기 국내 증시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원화 가치가 연저점을 경신하면서 한국 주식시장도 출렁거렸
-
천하의 까르푸도 '에너지 불똥'...생선 얼음 녹을때까지 쓴다
‘닭고기 구이는 한시간 일찍 만들고, 생선 보관용 얼음은 녹을 때까지 쓸 것. 영업시간 매장 조명은 30% 어둡게 조절, 영업 후엔 간판 조명을 끈다.’ 31일(현지시간) 영
-
한은 빅스텝 역부족, 원화가치 13년 만에 최저치
15일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가치는 전날보다 14원 내린 1326.1원에 마감했다. [연합뉴스] 글로벌 달러화가 초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원화가치가 또 다시 전저점 아래로 하락했
-
빚더미 신흥국, Fed 긴축에 직격탄 ‘도미노 디폴트’ 우려
━ 개도국 줄도산 예고 신흥국에 드리운 경제 먹구름이 심상치 않다. 연일 치솟는 물가 압박과 부채 부담으로 신흥국의 도미노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면서다. 코로나1
-
[중앙시평] 중국·러시아발 역풍에 대처하려면
위성락 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장 한미 정상회담과 나토 정상회의를 거치면서 새 정부의 외교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강한 대북 자세, 동맹 강화, 미국 주
-
푸틴 혼내려다 기후 파괴 불붙였다…서방의 우크라전 딜레마
지난 2020년 미국 서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캘리포니아 금문교 일대 하늘이 붉게 물들었다.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록적인 폭염과 강한 바람 탓에 캘리
-
러시아 리스크에 식량가격지수 최고치…식품 업계 “재고로 버틴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근처에서 밀이 자라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밀 생산량이 많아 글로벌 밀 창고로 불린다. 러시아 침공으로 밀 국제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
-
바이든 '동맹 단합' 얻었지만…세계는 '유사 냉전' 휘말렸다 [우크라 침공 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3일 유럽으로 향한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유럽 정상들과 추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대서양을 건넌다. 지난달
-
침공 3주째, 러시아發 실물경제 충격 현실로 “원자재 사재기 단속”
러시아 수출이 연 300억~400억원에 달하는 음료 제조기업 E사는 이달 선적하기로 한 물량 전체를 취소했다. 러시아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배제된다는 소식이
-
美 FBI "러시아, 서방 제재 보복하러 사이버戰 가능성" 경고
지난 14일 우크라이나 외교부 홈페이지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일시 다운됐다. 우크라이나는 이 공격의 배후로 러시아를 지목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
우크라 전운 고조…경제안보 핵심 품목 200개 비축 늘린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무력 충돌 가능성이 커지자 전 세계 금융·원자재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정부는 세계적인 공급망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자원 매각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
[해외 주식투자 ‘120조원 시대’]국내 증시에 ‘배신’ 당한 개미들, 롤러코스트 장세에도 나스닥으로 몰렸다
━ SPECIAL REPORT 정보기술(IT) 업종에서 일하는 회사원 백남정(53)씨는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이른바 ‘서학개미’ 3년차다. 2020년부터 여윳돈 2000만
-
탈원전 외치던 마크롱, 원전에 1.4조원 투자
마크롱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사진) 프랑스 대통령이 앞으로 원자력 발전 연구개발에 정부 자금 10억 유로(약 1조377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간) 밝혔다.
-
[장훈 칼럼니스트의 눈] 트럼프식 탈진실 정치와 코로나 위기
━ 코로나 전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28일 유세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톤에 도착한 모습. [AP=연합뉴스] 『로빈슨 크루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