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 리뷰] 北, 전술핵 위협…野, 내로남불? 정치탄압? (3월27일~1일)
3월 마지막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北 전술핵 #北 인권보고서 #노웅래 기소 #내수활성화대책 #격리의무해제 #한국축구 평가전 #日,역사교과서 왜곡 #민주당 당직개편 #日 후쿠시
-
과기부, 차세대 사이버보안리더 인증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기술연구원(KITRI)은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BoB) 11기 인증식을 30일 진행했다. BoB 11기는 2022년 7월부터 2023년 3
-
마인크래프트로 코딩하고 전자펜으로 채점…'빅테크'의 교육 해법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Bett UK 2023'의 마이크로소프트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교육용 마인크래프트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런던=장윤서 기자 수천 년 전
-
서울시립대 제10대 원용걸 총장 취임 “첨단 융복합 연구 주도 및 새로운 지식 창출로 서울과 함께 세계로 도약하는 대학”
서울시립대학교 제10대 원용걸 총장 취임식이 30일,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됐다. 취임식에는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 이숙자 서울시의회 기획
-
교육 및 기술지원, 산학협력을 위한 ‘광운대학교 – 서울테크노파크’ MOU 체결
광운대학교(총장 김종헌)와 서울테크노파크(원장 김기홍)가 지난 24일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본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서울지역 기업 육성을 위한 교육, 기술 및 사업
-
[시론] 일본도 배우려는 한국의 교육정보화
염종순 일본 오사카부 기술고문 지금 세상에는 호모사피엔스와 포노사피엔스(Phono-Sapiens)가 존재한다. 호모사피엔스는 보통의 인류를 일컫지만, 포노사피엔스는 늘 스마트폰을
-
이젠 MZ 아닌 젠Z…디지털원주민 20대, 트렌드를 바꾼다
LG전자 직원커뮤니티 ‘엠지트’ 소속 문선애·김서연·김수빈·안수민·주소미·김선태·박형윤씨(왼쪽부터)가 신제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고석현 기자 “조명이 제품 상단에 있으면 실제
-
두돌 아이에겐 쥐여주지 마세요…사회성발달 악영향 준 '이것'
영유아 디지털 기기 노출. 사진 게티이미지 만 2세 이전 영유아들의 디지털 미디어 노출이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
-
부영, ‘집은 소유 아닌 거주’ 주거문화 선도
부영그룹은 국내외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1조 원이 넘는 금액을 기부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오고 있다. 주택 사업을 주력으로 구조가 튼튼하고 생활공간이 편리한 업그레이
-
칠판에 'Namdaemun' 쓰자 3D 남대문이…'에듀테크' 이 정도야?
2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Bett UK 2023'의 모자이크 부스에서 전자칠판을 시연하고 있다. 런던=장윤서 기자 29일(현지시간) ‘영국교육기술박람회(BETT U
-
서울대 공과대학, 미래융합기술 최고위 과정 입학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미래융합기술최고위과정(FIP)제20기 입학식이 28일 개최되었다고 밝혔다. 입학식은 김재영 서울대학교 연구부총장, 홍유석 공과대학 학장, 여재익 주임교수
-
[자동차]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 10년…웅진, BMW코리아 ‘DMS NEXT’로 방점 찍다
웅진디지털모빌리티솔루션(WDMS) 수입차 브랜드 국산 솔루션 첫 도입 모빌리티 시스템 WDMS 인정받아 BMW코리아의 IT파트너로 발돋움 이번 프로젝트의 총괄인 웅진 김민
-
[THE CREATIVE 2023] 장학사업 등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앞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3’ ESG경영 부문에 선정됐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공공기관 지방 이전으로 2015년 본사를 대구로 옮긴 이후 지속해서
-
[건설 & 부동산] 국내외 사회공헌 통해 ESG경영 실천 ‘살기 좋은 집’ 공급 주거문화 견인
부영그룹 부영그룹은 국내외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1조 원이 넘는 금액을 기부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오고 있다. 주택 사업을 주력으로 구조가 튼튼하고 생활공간이 편리한
-
[건설 & 부동산] 자산운용부터 프롭테크까지 투자 ‘일류 종합부동산회사’ 도약 준비
우미건설 우미건설은 종합부동산회사로서 현재 부동산 사업영역과 부동산 생애주기 전 과정에 진입할 수 있는 사업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주택·건축사업은 물론 자산운용사·프롭테크·해외
-
[THE CREATIVE 2023] 신기술 융합 전문인 양성 주력
연성대학교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혁신전문대학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다. 연성대학교가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3’ 교육혁신경영 부문에 선정됐다. 4년 연속이다. 연성대는 미래
-
AWS “데이터의 핵심은 ‘다양성’…전세계 AI 대중화 이룰 것” 유료 전용
Today’s Interview,마이란 톰센 부코벡 AWS 기술 부문 부사장 챗GPT가 촉발한 초거대 인공지능(AI) 열풍에 함께 웃은 곳이 있다.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가
-
[대학, 디지털 대전환을 만나다] AI·SW·반도체 교육 강화 한국 이끌 디지털 인재 양성
디지털 기술 관련 인력 육성에 발 벗고 나선 국내 대학들 국내 대학이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촉진된 비대면 수업을
-
[대학, 디지털 대전환을 만나다] 교육·연구·산학협력 분야 혁신 통해 초융합 시대 선도
광운대학교 예비창업기업 단계별 맞춤 지원 지역사회 연계활동도 적극 펼쳐 학사구조 개편, 신설 학과 개설 반도체 분야 특성화 인재 육성 광운대는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
-
[대학, 디지털 대전환을 만나다] 전교생 SW 교육 수강…디지털 혁신으로 융합형 인재 키워
숙명여자대학교 AI 등 첨단분야 인재 체계적 양성 전공과 상관없이 SW교양 이수 국내 대학 첫 메타버스캠퍼스 운영 데이터통합시스템 구축 사업도 숙명여대가 세계 최상의 디지
-
[대학, 디지털 대전환을 만나다] 학생의 꿈과 끼 지원…‘인류와 미래 위한 담대한 도전’ 나서
성균관대학교 ‘모바일 러닝’ 환경 학생에게 제공 강의실을 연구공간 등으로 활용 반도체융합 등 5개 첨단학과 신설 6년째 ‘천원의 아침밥’ 행사 진행 성균관대는 ‘인류와
-
대진대, 국토부 융합기술대학원 사업자 선정
대진대학교는 산학협력단이 주관하고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국토교통 DNA플러스 융합기술대학원’ 사업에 23일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 산업의 디지털 융합
-
[단독]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신설 추진…"반도체도 모자란데" 우려도
서울대가 첨단분야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6개 전공으로 구성된 새 학부 설치안을 교육부에 제출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앞서 서울대가 신설을 추진한 ‘시스템반도체공학’ 전공을 확
-
[월간중앙] 구루와 목민관 대화 |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이호영 창원대 총장이 말하는 ‘무기의 그늘’
“지방의회에 법률 제정권 주자” ■“지역균형발전은 제도의 문제, 지방정부 권한 헌법에 명시해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서울 이전은 수도권 집중 합리화 논리” ■“주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