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너미 한·일 새 이정표"…12년만의 셔틀 재개에 외신 주목
12년만에 재개하는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방일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16일 저녁 정상회담을 앞두고 해외 언론들은
-
"美 제재에 외려 절치부심"...中 첨단분야 투자 10년간 53% 늘었다
미국 정부가 각종 제재로 중국의 첨단기술 산업의 성장을 막고 있지만, 이로 인해 중국에선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통신기업
-
호주 핵추진 잠수함에 319조원 투입…오커스, ‘中 견제’ 로드맵 공개
미국·영국·호주의 3자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1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첫 대면 정상회의를 열고 ‘호주 핵추진 잠수함 공급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
日, 북·중 위협에 무기 171% 더 샀다…우크라 지난해 수입 3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최근 유럽 국가에서 무기 수입이 매우 증가한 가운데 한국·일본·호주 등도 북한과 중국의 위협이 커짐에 따라 무기 수입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
"K방산 오라" 새 기회의 땅, 호주…그 뒤엔 중국 위협 있다 [글로벌리포트]
'2023 호주 아발론 국제에어쇼'에 첫 참가한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Black Eagles)가 아발론 공항 상공에서 국산 T-50B로 공중 기동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달
-
한·일→한·미→한·미·일 회담…윤 대통령, 3국공조 드라이브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해 다음 달 26일(이하 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한다. 윤 대통령 취임 후 세 번째 한·미 정상회담으로,
-
동맹 70주년 맞아 美 국빈 방문…尹, 한미일 공조 쐐기 박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해 4월 26일(이하 현지시간) 한ㆍ미 정상회담을 한다. 윤 대통령 취임 후 세 번째 한ㆍ미 정상회담으로, 이날
-
"尹대통령 국빈방문으로 핵억제 실행력 강화…韓기업 불확실성은 최소화"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 참석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대북 핵 억제 실행력을 한층 강화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
美, 日에 1조8000억원 규모 공중조기경보기 5대 판매 승인
미국 정부가 일본에 1조8000억원 규모의 공중조기경보기 판매를 승인했다.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은 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대외군사판매(FMS)
-
[이번 주 핫뉴스]국민의힘 새대표 선출…WBC 개막,10일 한일전(6~12일)
3월 둘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4년만의 전국 대면 봄 축제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WBC 한일전 #클린스만 입국 #조합장선거 #세계 최초 3D 로켓 #NATO #국
-
한ㆍ미, 북핵 대응하는 확장억제 확장한다... 외교ㆍ경제적 수단도 추가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핵ㆍ미사일에 대응하는 확장억제의 수단을 더 다양하게 확보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ce)는 미국이 필요할 경우 핵 억제
-
[리셋 코리아] 한국은 나토와 협력 강화해야
라몬 파체코 파르도 킹스칼리지런던 국제관계학과 교수·브뤼셀자유대 KF-VUB 한국학 석좌교수 옌스 스톨텐베르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지난달 말 한국을 방문해
-
[이번 주 핫뉴스] ‘선거법’ 이재명 첫 공판…시진핑ㆍ리창 체제 출범 中 양회 3월4일 개막(27일~3월5일)
3월 첫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이재명 재판 #일제강제동원피해자 #반값아파트 #중국발 PCR 검사 해제 #영종대교 시위 #WBC #속리산 통제 #미ㆍ독 정상회담 #학교폭력 가
-
[주한 대사 31명 전쟁1년 특별기고] “우리는 끝까지 우크라이나와 함께할 것”
1년 전 오늘 러시아군 탱크들이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물밀듯이 쳐들어와 민간인을 향해 포탄을 떨어뜨렸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점령하기 위한 러시아군의 침략이 그날 시작됐다
-
[오병상의 코멘터리] 바이든 ‘키이우 깜짝 방문’과 신냉전
바이든 대통령이 20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깜짝방문해 전사한 장병들의 사진이 걸린 '기억의 벽'에 헌화하고 있다. 가운데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 1.
-
[중국읽기] 희한한 중국 때리기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 지난 15일 인도 육군이 고산지대 활약이 가능한 공격용 헬기 200대를 도입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자 ‘중국 견제용’이란 평가가 따랐다. 1
-
[윤병세의 한반도평화워치] 한·미동맹 70년, 북핵 문제 더 우선적으로 풀어가야
━ 미래를 열어가는 한·미동맹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 한·미 동맹은 오는 10월 70주년을 맞는다. 현대 국제정치사에서도 드문 기록이다. 2차대전 이후 70년 이상 생명력
-
中 99년간 '인도양 급소' 움켜쥐자…미·일·인도 대대적 군사훈련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의 핵심 중 하나인 함반토타 항구 프로젝트. 신화통신 함반토타는 스리랑카 남단에 위치한 항구다. 인도아대륙에서도 가장 남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다. 스리랑카에
-
푸틴, 우크라 점령지 전격방문…388일차 항전은 계속된다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7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3월 18일 침공 3
-
인구 0.06% 줄었을 뿐인데…“中 쇠락 신호탄” 난리난 이유 유료 전용
장기적으로 우리는 세계가 이전에 본 적이 없는 중국을 보게 될 것이며 우리가 알던 중국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새해 벽두부터 중국 인구가 감소로 돌아섰다는 발표가 나오며 세
-
400년 전 선물한 ‘갑옷’ 앞 다짐…‘제2의 밀월’ 과시하는 英-日 [글로벌리포트]
리시 수낵(왼쪽) 영국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왼쪽 둘째) 일본 총리가 지난 11일 영국 런던타워에 전시돼 있는 일본식 갑옷을 함께 관람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우리 관계는
-
“중국과 전쟁 준비 안 돼 있다” 경고한 美 싱크탱크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미군의 총수는 1200만 명에 달했다. 종전으로 대규모 병력이 불필요해지자 미 정부는 적극적으로 감축에 나섰고 1949년엔 주한 미군도 모두 철수했다
-
일, G7 5개국과 2+2 협의체 만들어 안보 네트워크 확장
━ 글로벌 외교 강화하는 기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3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함께 백악관 경내를 걷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정상회담에서
-
“질보다 양이 승부를 가른다” 미 해군이 중국을 두려워할 이유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침몰한 미국의 전함 애리조나. 사진 셔터스톡 1941년 발발한 태평양 전쟁은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시작됐다. 이 공격으로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