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 김홍일 장군, 불의와 타협 안 한 참군인…독립운동 정신 계승해야”
독립운동가 김홍일의 아들 김덕재 씨가 20일 서울 종로구 명동 한 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김상선 기자 22일 서울 종로구 이북5도청에서는 국가보훈부가 마련한 김홍일
-
서울 거리 질주 ‘쇳덩어리 악마’…“사람들 짐 내던지고 도망”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1909년 자동차 출현 1909년 이른 봄, 무게가 거의 3톤에 달하는 거대한 쇳덩어리가 포효하며 서울의 거리를 질주했다. 그 정
-
'등본 없다'며 돌려보낸 독립운동가 손자, 재판 끝 "손자 맞다" 인정
부산 연제구 부산고등법원. 뉴스1 객관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유족 등록을 거부당했던 독립유공자 후손이 재판에서 독립운동가의 후손임을 인정받았다. 부산고등법원 제1
-
[안혜리의 시선]기막힌 문재인 발언, 수능 한국사에 답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19일 평양 공동선언 5주년 기념식에서 섰다. [사진공동취재단] "진보정부에서 경제 성적도 월등히 좋았다. 경제는 보수정부가 잘한다는 조작된 신화에서 이
-
[박정호의 시시각각] ‘가짜 영웅’은 필요없다
블라디보스토크 한인들이 발행한 '해조신문' 1908년 3월 8일자에 실린 안중근 의사의 '인심결합론'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주일여 러시아 방문에 마침표를 찍었다. 지난
-
안중근 등 독립운동가 6인의 인사카드 찾았다
중국 국민정부가 작성한 안중근 의사 인사등기권. 지난달 대만에서 독립운동가 6인의 이력이 담긴 문서가 발굴됐다. [사진 국가보훈부] 안중근 의사 등 한국 독립운동가에 대해 옛 중
-
[세컷칼럼] 다른 일도 많은데, 굳이 지금?
필자가 고3이던 1980년 7월 말이었다. 한 친구가 여름 보충수업 중인 교실 문을 열고 외쳤다. “본고사 없어졌다.” 선생님은 “날이 더우니 헛소리를 다 하네”라며 혀를 찼다.
-
"대전과 상관도 없어"...도로 이름으로 옮겨 붙은 홍범도 논란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철거를 추진 중인 가운데 홍범도를 둘러싼 논란이 길 이름으로 옮겨붙었다. 국방부가 육군사관학교 뿐만 아니라 국방부 청사 앞에
-
[고현곤 칼럼] 다른 일도 많은데, 굳이 지금?
고현곤 편집인 필자가 고3이던 1980년 7월 말이었다. 한 친구가 여름 보충수업 중인 교실 문을 열고 외쳤다. “본고사 없어졌다.” 선생님은 “날이 더우니 헛소리를 다 하네”라
-
산업역군들의 생생한 경험 “기록은 기억보다 강하다”[장세정 논설위원이 간다]
━ 디지털 책쓰기에 몰입하는 6090세대 장세정 논설위원 늦더위만큼 역사전쟁이 치열하다. 정치 진영에 따라 과거를 놓고 이념 갈등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승만·박정희
-
송영길 "대전시장 꼴뚜기…홍범도장군로 폐지 정신 나간 발언"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전 유성구에 있는 '홍범도 장군로' 폐지 의사를 밝힌 이장우 대전시장을 "망둥이가 뛰면 꼴뚜기도 뛴다더니 이 시장이 꼴뚜기였다"고 비판했다.
-
[세컷칼럼]코리안 프로메테우스
영화 ‘오펜하이머’는 새롭고도 낯익다. 과학과 정치, 두 날개를 달았다. 오펜하이머가 책임지고 개발한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에 떨어지고, 일본이 마침내 항복하자 트루먼 대통령이 그를
-
"배는 부모같은 존재" 일부 前해군총장 홍범도함 함명변경 반대
2018년 취역한 해군 잠수함 홍범도 함. 방위사업청 역대 해군 참모총장이 모인 자리에서 일부가 해군 잠수함인 홍범도함의 함명 변경 움직임에 반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
4·19세대 ‘이승만 문맹’으로 지낸 60년 반성, 묘역 참배했다
━ 이승만-4·19세대 화해 이끈 이영일 전 의원 지난 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에서 만난 이영일 전 의원은 “지난 3월 26일 참배를 통해 이승만 전 대통령에
-
‘나무’에 반해 교수직도 포기했다, 실험적 조각가 김윤신
━ 예술가의 한끼 경기도 화성 작업실에서 작품을 제작 중인 김윤신 작가. [사진 김윤신·황인] 김윤신은 1935년 원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한의사였다. 위로 언니가 넷,
-
[신준봉의 시시각각] 홍범도는 죄가 있다? 없다!
신준봉 문화디렉터 때아닌 홍역을 치르는 중인 홍범도 장군은 1868년 평양에서 머슴의 아들로 태어났다. 1943년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정착촌 크질오르다에서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
"TK서도 홍범도 왜 건드리냐 반발"…지지율 흔들린 與 당황
지난달 2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모습. 국방부는 해당 흉상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연합뉴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이어 홍범도 흉상 이전 논
-
[진중권 칼럼] 뉴라이트 운동권이 된 대통령
진중권 광운대 교수 “제일 중요한 것이 이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말이다. 어느 사회에나 실없는 소리 하는 이들이 있기 마련이나 그 말을 한 이가 하필 대통령. 그 덕에 21
-
“문 정부, 오염수 무영향 논문 철회 압박” “추측성 주장”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6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일본 후쿠시마
-
이재명 “국민 뜻 반하면 끌어내려야”…여당 “내란 선동”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가 6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두 손을 모으고 생각에 잠겨 있다. 강정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
-
이종섭 "육사 정신적 뿌리는 국방경비대사관학교"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6일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
한 총리, 野의원들에 "공부 좀 하세요 여러분"…목소리 높인 이유 [대정부 질문 2일차]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뉴스1 6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안중근의사찾기 한·중민간상설위원회 설립 현판식 열어
왼쪽부터 학교법인 국민학원 김지용 이사장, 안중근의사찾기 한·중민간상설위원회 황기철 이사장, 안중근 의사의 유족인 안기영 여사 내외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 한국학연구소가 9월
-
이재명 "선수 잘못하면 끌어내리는 게 민주주의"…與 "대선불복"
단식 7일차를 맞이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링 위에 오른 선수들이 국민의 뜻에, 국리민복(國利民福)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끌어내려야 하는 것인데, 그게 민주주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