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 원래 서대문이었다…주소에 담긴 100년 전 비밀 유료 전용
━ 1 용산구 한강대로 405. 지번 동자동 43-205. 서울역 주소다. 서울 한복판 중구가 아니고 용산구다. 그렇다고 아주 용산구도 아니다. 북쪽 롯데마트 자리는
-
[소년중앙] '걸어서 정동 한바퀴' 개화기 건축물은 근대사 타임캡슐
대한제국에서 일제 강점기로 이어지는 한국 근대사는 아픈 역사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서구 문물이 유입되고, 봉건적 사회질서에 균열이 생기던 역동적인 시대이기도 했어요.
-
스토리텔링 풍성···새 관광도시 오산 1박2일 즐기기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일상으로의 복귀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나들이 및 상춘객들로 전국의 산과 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특히 화창한 봄날씨가 절정에 이르는 5월은
-
[새로운 시작 인천·경기·강원] 교육과 재미 모두 충족하는 '오산 미니어처빌리지'로 오세요
오산시 오산시가 다양한 볼거리를 갖춘 ‘관광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체험 기반의 콘 텐트로 구성한 오산 미니어처빌리지 전시관 내부 모습(왼쪽)과 상고시대를 배경으로 한 아
-
[소년중앙] 500년 역사 앞세워 세계유산 된 조선왕릉 이모저모
왕의 기운 서린 조선왕릉 산책…500년 역사·문화·과학·예술 느껴지네요 이집트 왕족의 무덤인 피라미드와 영원한 삶을 향한 염원이 담긴 중국의 진시황릉 등은 소중 친구들도 잘
-
[소년중앙] “대한 독립 만세!” “대한 독립 만세!” 이름 없는 영웅들을 만나다
■ 3·1운동 3대 실력항쟁지 안성학생·농민·상인…평범한 이들이 힘 합쳤다 「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통해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삼일
-
[소년중앙] 수많은 독립운동가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여행
이제 곧 3월 1일, 삼일절이 돌아옵니다. 평소 삼일절을 평범한 공휴일로만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나라를 되찾기 위해 우리 민족이 일으킨 독립운동인
-
[라이프 트렌드&] 생태체험관·미니어처빌리지 … 오산 ‘관광 핫플레이스’로 뜬다
도심 속 자연생태체험관 오산시가 추진해온 관광 사업이 올해 대거 완료될 예정이다. 이달 개방한 자연생태체험관. [사진 오산시청] 이달 완공된 자연생태체험관은 민간투자 방식으로
-
[소년중앙] 뭐가 달라졌을까요, 엄마·아빠 다녔던 학교 vs 지금 우리들 학교
표지=타임머신을 타고 1960년대로 떠난 듯 옛 교복을 입은 소중 학생기자단이 과거 교실을 재현한 서울교육박물관에서 포즈를 취했다. 왼쪽부터 안강(경기도 관문초 6)·문제원(대전
-
대한민국수석진흥원, ‘청송 꽃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준비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1전시관에 전시된 각 나라 꽃 문양의 꽃돌(UNESCO세계지질공원청송)(사진 제공: 대한민국수석진흥원) 꽃돌은 꽃무늬가 나타나는 구과상 유문암으로, 규산
-
[소년중앙] 집 밖에 나가기 무서운 겨울방학, 집 안에서 제대로 즐겨볼까
소중 독자 여러분의 겨울방학은 언제인가요. 벌써 방학한 친구도 있을 거고, 아직 멀었다는 친구도 있을 거예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학사일정이 계속 바뀌고
-
[중앙시평] 부산역에서 보는 서울역
서현 건축가·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보슬비가 소리도 없이 이별 슬픈 부산정거장.” 구성지고 낭랑한 노래다. 서울 가는 열차 창 너머에서 경상도 아가씨가 슬피 우는 중이란다. 그런
-
반란·수난의 민족…‘치우’ 조상설로 무모한 역사 리모델링
━ [중국 기행 - 변방의 인문학] 먀오족 구이저우성 카이리시 외곽에 있는 시장이라는 먀오족(苗族) 마을. [사진 윤태옥] 산등성이에 올라 맞은편을 바라보면 집집마다 하나
-
이미경 CJ 부회장, 아카데미 영화박물관 부의장 맡아
이미경 올해 ‘기생충’ 미국 아카데미 4관왕의 숨은 공신 이미경(62·사진) CJ 그룹 부회장이 아카데미 영화박물관 이사회 부의장이 됐다. 16일 CJ ENM에 따르면 이 부회장
-
이미경 CJ 부회장, 넷플릭스 CEO와 美아카데미 영화박물관 이사회 이끈다
올2월 '기생충'이 4관왕을 차지한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수상 무대에서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왼쪽부터 허민회 CJ ENM 대표이사, 이미경 CJ
-
130년 전 고종이 미국인에 하사한 ‘데니 태극기’ 광복절 공개
국립중앙박물관이 제75주년 광복절을 맞아 오는 14일부터 20일까지 특별공개하는 '고종이 데니에게 하사한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82호).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
-
[한은화의 생활건축] 일부러 낮춘 건축물에 첨성대를 꽂다니
한은화 건설부동산팀 기자 최근 서울 태평로에 눈에 띄는 조형물 하나가 생겼다. 이 조형물 덕에 덩달아 건물이 회자된다. 지난해 3월 문을 연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의 옥상에 자리 잡은
-
세기말 ‘역사적 개인’ 칸딘스키의 화려한 등장
━ 바우하우스 이야기 〈33〉 뮌헨의 ‘렌바흐 미술관’. 뮌헨의 보수적 역사주의 화가들의 리더였던 렌바흐의 저택을 뮌헨시가 사들여 미술관으로 개조했다. [사진 윤광준] 칸
-
“작은 불씨가 들판을 태우다” 천하 평정한 마오쩌둥의 언어 마술
━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 신중국 70주년·마오쩌둥 혁명 유적지의 말과 글 ① 징강산 박물관의 마오쩌둥 시(서강월)와 산 주변의 기념 조형물. ‘
-
[강희정의 문화탐색] 문화인가, 토건인가? 박물관의 정치학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일본의 초대 제국박물관장 구키 류이치는 “일본인들은 미를 상찬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춘 문명인”이라며 박물관을 중심에 둔 미술 행정을 주도했다. 미의
-
옛 국세청 남대문별관 부지, 시민 공원으로 개방된다
성공회교회 앞에 국세청 남대문 별관이 있을 때(왼쪽)와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이 들어선 현재의 모습. [서울시 제공] 서울도시건축전시관(옛 국세청 남대문 별관) 옥상에 시민 공원이 조
-
[서소문사진관]일제 총독부 건물 부순 자리에 도시건축 전시관 열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체신국 청사(옛 국세청 별관) 자리에 도시건축 문화를 알리는 전시관이 들어섰다. 서울 도시건축전시관이 28일 개관했다. 지하3층 비움홀에서는 '비
-
유관순 열사의 무덤은 왜 찾을 수 없을까?
3.1운동이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다. 1919년 3월1일 우리 민족은 한반도 전역에서 봉기해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날의 함성, 뜨거운 역사의 흔적을 품은 장소가 지금
-
진시황, 장생불사의 약 제주 여기서 찾았다
흔히 한국의 제주도와 중국을 묶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면, 사드사태 이전 물밀듯이 들어왔던 중국인 관광객들을 떠올릴 것이다. 비교적 먼 과거를 보더라도 고려 때 대몽항쟁을 벌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