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전과 달리 푸틴 아쉬운 입장...김정은, 하노이노딜 만회 노려"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ㆍ러 정상회담 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리셉션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타스=연
-
[중앙시평] 무당파를 위한 정치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시대정신이란 특정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태도·이념·가치를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 민주화가 시대정신으로 뿌리 내린 것은 1987년 6월민
-
[세컷칼럼]수동적 청문회, 능동적 인터뷰
얼마 전 소모임에서 지난달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고(故) 채수근 해병대 상병 사건 관련 ‘수사 외압설’이 꽤 뜨거운 화제에 올랐다. 그도 그럴 만했던 게 '축소 외압'
-
방글라데시 방문 한국인 뎅기열로 사망…"재감염 땐 치명률 급상승"
방글라데시를 방문한 한국인이 뎅기열에 감염됐다가 사망했다 1일 질병관리청과 외교부에 따르면 사업 목적으로 방글라데시, 아프리카를 자주 방문한 한국인 A씨에게 지난달 22일 뎅
-
[임종주의 시선] 수동적 청문회, 능동적 인터뷰
임종주 정치에디터 얼마 전 소모임에서 지난달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고(故) 채수근 해병대 상병 사건 관련 ‘수사 외압설’이 꽤 뜨거운 화제에 올랐다. 그도 그럴 만
-
[리셋 코리아] 한·미·일 협력,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려면
신각수 법무법인 세종 고문·전 외교부 차관 오는 18일 캠프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린다. 한·미·일 정상회담은 지난해 6월 스페인 마드리드 나토 정상회담에서 5년여
-
'항미원조' 띄우는 중국 “조선 전장 달려가자” [신경진의 차이나는 차이나]
신경진 베이징총국장 지난 15일 단둥(丹東)시에서 북한 신의주가 내려다보이는 잉화산(英華山)을 올랐다. 정상에 덩샤오핑(鄧小平) 필체로 ‘항미원조(抗美援朝, 미국에 대항해 북
-
[윤병세의 한반도평화워치] 디커플링에서 디리스킹으로…공급망 생태계 변화 대비해야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선언에서 디리스킹(de-risking, 위험 감소·완화)이 미국과 서방의 대중국 전략 경쟁의 핵심 원칙으로 공식화되
-
중국 국가안전부장 "스파이 침투 대비, 선제적으로 방어하라"
천이신 중국 국가안전부 부장. 국무원신문판공실 홈페이지 천이신(陳一新·64) 중국 국가안전부장이 방첩 업무의 본질은 적대 세력의 침투와 정권의 전복 방지라며 선제적인 ‘적극 방어
-
한국, 세 번째 국제해양법재판관 배출…한·일 나란히 당선됐다
이자형 외교부 국제법률국장이 한국인으로 역대 세 번째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에 당선됐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 6일 한국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진출
-
이재명 변호사비 의혹 캤다, 언론도 놀란 그들의 내공 유료 전용
■ 「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가 1월 26일부터 ‘보좌관의 세계’를 연재합니다. 그동안 정치의 무대 뒤편에서
-
文의 종전선언 삭제…尹 새 안보전략 '김정은' 직접 때렸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7일 대통령실에서 국가안보전략서 발간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이 윤석열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을 7일 공개했다. 국가안보전략은 안보정
-
[이번 주 리뷰]커지는 野 사법리스크 돈봉투에 김남국까지…오르는 외식물가(15~20일)
5월 셋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기시다ㆍ홍석현 특별대담 #G7 정상회의 #한미일 정상회의 #한-캐나다 정상회담 #한-독 정상회담 #중-중앙아시아 정상회의 #5ㆍ18민주화운동
-
[뉴스분석] G8 문턱 한국 외교, G7과 함께 신국제질서 그린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히로시마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
尹, G7과 함께 ‘신(新)국제질서’ 그린다…한·미·일 뭉치고 중·러 압박 강화
윤석열 대통령이 2박 3일간의 '정상외교 슈퍼위크'에 돌입한다.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이 기간 최소 6개국 정상과 양자 정
-
[이일우의 밀리터리 차이나] 사상 최초 美 전략원잠 승함… 한반도 수시 전개, 정말 가능할까?(上)
세상에 공짜는 없다. 특히 국제관계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공짜 점심은 없다(There ain’t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라는 말은 경제학자 밀턴
-
[view] 미 전략자산 더 자주 한반도로…바이든 “북 정권 종말” 첫 경고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소인수 회담 및 확대 정상회담 이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악수하고 있
-
"종전과 많이 다르다" 상주하듯 '아주 자주'…美와 핵 공유 [VIEW]
“(정상회담의) 첫 번째 핵심 성과는 확장억제다. 종전 핵우산에 기초한 확장억제하고는 좀 다르고, 이것은 좀 다른 것이 아니라 많이 다르다.”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
병사들 폰 사용 이끈 국방위, 윤규식·고우영·윤혁준·최종하 유료 전용
■ 「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가 1월 26일부터 ‘보좌관의 세계’를 연재합니다. 그동안 정치의 무대 뒤
-
尹,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복합위기 극복, 외교 역량 결집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재외공관장들을 초청해 만찬을 가지며 “대한민국이 복합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돌파구 마련을 위해 모든 외교 역량을 결집해야 할 시점”이라고 당부했다. 윤
-
“중·러 밀착에 맞서자” 서방 진영 ‘안보 짝짓기’ 가속화
━ 강화되는 ‘다층 집단안보체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왼쪽부터)가 지난 13일 미국에서 오커스 정상회의를 열고 있다
-
식민지배 책임 얽힌 징용배상, 이젠 일본이 ‘양보’할 차례
━ 이태진의 근현대사 특강 박정희 대통령이 1965년 12월 17일 한일협정 비준서에 서명하고 있다. [중앙포토] 7년간 막힌 한·일관계 정상화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이 ‘
-
공중급유기 꼬리날개 없앤다…美공군 무기 '스텔스' 진화 속셈 [이철재의 밀담]
미국의 보잉은 지난 1월 2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항공우주연구소(AIAA) 과학기술 포럼ㆍ전시회에서 새로운 항공기 모형을 공개했다. 아주 색다른 모습이었다. 동체와 날개가 일체
-
북·러가 핵 위협할 때…"자극 말자"며 민방공조차 방치한 韓 [이철재의 밀담]
모든 전쟁은 싸우는 방법을 바꾸곤 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지지부진한 참호전이 이어지자 제2차 세계대전 초반 독일은 ‘전격전’으로 프랑스를 깨뜨렸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