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싸 포탈라 광장엔 마오 아닌 시진핑 대형 초상
━ 내지화 바람 거센 티베트 르포 지난 16일 밤 티베트 라싸의 포탈라 광장 야경. 시진핑 주석의 대형 초상이 광장 서쪽에 세워져 있다. 지난 14일부터 20일까지 ‘세계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아무르강 하류 영령사 절터, 중·러 “원래 우리 땅”
━ 사할린 앞바다 둘러싼 갈등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러시아와 중국 사이를 흐르는 아무르강(흑룡강)은 세계에서 8번째로 큰 강이다. 양국 국경을 따라서 사할린 앞쪽 태
-
“남자는 무기 다룰 줄 알아야” 스탈린, 장징궈에 권총 선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0〉 중·소 우호 동맹조약은 파행을 반복했다. 1945년 8월 7일, 소련의 동북 출병 전날 타결됐다. 소련 외상 몰로토프의
-
리샹란에 홀린 아마카스 “연기 못하는 가수 없어” 영입 지시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53〉 젊은 시절, 리샹란은 나이에 비해 조숙했다. 나이가 들어서는 그 반대였다. 1940년 20세 때 만영 직원들과 베이징을
-
일, 항일 토비 ‘홍창회’ 머물던 촌락 주민 3000명 도살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52〉 1930년대 푸순의 노천 광산. 일본은 러·일 전쟁 승리 후부터 40년 동안 석탄 2억t을 일본으로 반출했다. [사진
-
자원 약탈에 목맨 만철, 조선·중국인 노동자 이간책 써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50〉 동양 최대 규모를 자랑하던 다롄항의 만철 전용부두. 매년 3500척의 선박이 650만t의 화물을 토하고 삼켰다. [사진
-
일본군, 여학생 500명 창고에 가둬 빵으로 세균전 실험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9〉 만주국 시절 하얼빈의 중심가. 주변에 백계 러시아인과 유대인이 개설한 상점과 일본백화점이 몰려있었다. [사진 김명호]
-
중·러 군민 상대 ‘광야의 꽃’ 가라유키, 발빠르게 만주 진출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8〉 1차로 일본에 귀환한 만주(당시는 동북)의 일본인 고아들. 1948년 겨울, 도쿄 시나가와(品川) 역. [사진 김명호]
-
중국인 보복 꺼린 일본, 불질러 개척단원 1600명 몰살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6〉 중국 여인과 결혼한 후 중국에 정착한 일본 개척단원의 후예와 자녀들. [사진 김명호] 1945년 초 만주(동북) 각지에
-
일본 “중국인 쌀밥 먹지 말라” 들통나면 경제사범 엄벌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5〉 1935년 10월, ‘일본불교종파연합’ 대표단 환영식에 참모들을 대동하고 참석한 관동군사령관(앞줄 왼쪽 셋째). [사진
-
만주 곳곳 둥지 튼 일본 개척단, 패망 후 집단자살 내몰려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2〉 1903년 1월, 러·일 전쟁을 앞두고 전투가 벌어질 지역을 답사하는 일본군 장교. [사진 김명호] 1904년 2월 초
-
일제, 아편 흡입 방치 악독한 정책…만주국 셋 중 한 명 중독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1) 만주국 산업부 차장 시절의 기시 노부스케와 관동군 참모장 도죠 히데키. 1937년 봄, 만주국 수도 신징의 관동군 사령
-
푸이 “만주국 국방·치안유지 일본에 위임” 충성 밀약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0〉 만주국은 미국과 체육 교류가 활발했다. 1934년 9월 만주국 체육연맹 초청으로 신징을 방문한 미국육상대표단과 함께한
-
일 관동군 “황제 푸이 거동 신중해야” 투숙 여관 봉쇄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7〉 1931년 11월 하순, 뤼순에 도착한 푸이는 12월 초 완룽과 합류했다. 아마카스는 뤼순을 떠날 때까지 두 사람을 격
-
만주국 14년간 낮은 일 관동군, 밤은 ‘아마카스 천하’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6〉 출고를 앞둔 만주국 국기. [사진 김명호] 텐진(天津)에 있는 푸이(溥儀·부의)를 동북(만주)으로 빼돌리기 위한 관동군
-
9개 루트로 150만 명 월남, 돈 받고 안내해준 ‘38꾼’ 활개
━ 길 위에서 읽는 한국전쟁 〈4〉 폐허된 ‘38선쉼터’ 38선쉼터에서 바라본 소양호 풍경. 폐허가 흉하게만 보이는 건 아니다. 폐허의 미학이 작동하여 사진기를 꺼내는 경
-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123년 역사 품은 철도박물관, 예산없어 유물 복원 엄두 못내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는 1899년 제물포와 노량진 사이 33.2㎞를 잇는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시작됐다. 비록 일본에 의해 건설되긴 했지만, 철도는 도보나 우마
-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철도박물관, 120년 역사 품었지만...예산없어 유물 복원 엄두 못내
의왕에 있는 철도박물관 정문. [강갑생 기자]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는 1899년 제물포와 노량진 사이 33.2㎞를 잇는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시작됐다. 비록 일본에 의해 건설되긴
-
중 동북군 이끈 장쉐량, 일 관동군에 저항 한 번 않고 ‘백기’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2〉 만주국 집정(執政) 취임식을 마친 푸이. 1932년 3월 9일, 만주국 수도 창춘(長春). [사진 김명호] 1931년
-
“만몽은 일본 생명선” 일 관동군, 중 동북 3성 침략 획책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1〉 만주의 친일세력과 기념사진을 남긴 관동군 고급참모 이타가키 세이시로(앞줄 왼쪽 둘째). 1931년 9월 20일 선양.
-
'쌍둥이 대통령 전용열차' 비밀…객실엔 유사시 대비 '이것'도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6명의 대통령이 이용한 특별동차. 앞에 봉황무늬의 명패가 보인다. [강갑생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한 뒤 서울역에서 KTX-산천 특
-
중 동북지역 자원 많고 철도망 발달, 일·러 눈독 들여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30〉 만주사변을 일으킨 관동군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중앙)를 내세워 만주국을 선포했다. 국제연맹 조사단이 승인하지 않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러시아 학자가 찾은 발해, 일본과 중국은 왜 은폐했나
━ 발해 역사 지우기 100년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중국의 동북공정이 시작한 지 올해로 20년이다. 그 사이에 우리에게 발해는 중국과의 역사분쟁으로만 기억된다. 하지
-
[중국 이해 키워드] "한국 GDP 넘어섰다" 中 경제 성장의 전진기지, 광둥성
지난해 말 중국 광둥(廣東)성의 지역총생산(GRDP)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섰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광둥성 통계국에 따르면 광둥성의 2021년 1~3분기 GRDP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