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석의 100년 산책] 20대 일본 유학서 깨달은 것 “왜 열심히 일해야 하나”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20세가 되면서 대학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갔다. 몇 해 머무는 동안에 가장 뼈저리게 느낀 게 있다. 저렇게 열심히 일하는 국민이기에 게으른 우리 민족을 지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시골 초등학교 교사가 왜 대학교수가 되려고 했나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나는 직장이나 공동체 내 인간관계에는 관심이 없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향 초등학교 교사로 1년간 일했으나 그 학교는 교사가 셋뿐인 가정적 분위기였다.
-
[김형석의 100년 산책] 민화와 백자에 빠지다…인간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나의 정신적 불행은 일제강점기, 12살부터 시작되었다. 고향의 초등학교는 4학년까지 다녔다. 부친이 주변 학교 중에서 칠골의 창덕소학교가 가깝고 좋겠다고
-
인생 끝자락의 철학 문답
인생의 끝자락에 서서 인생의 끝자락에 서서 양장 지음 윤지영 옮김 슈몽 장편 소설 『위성(圍城·포위된 성)』을 쓴 중국의 대표적 현대 문학가 첸중수(錢鍾書·1910~1998)
-
중국 100세 여류 문인의 인생·철학 탐구서[BOOK]
인생 끝자락 인생의 끝자락에 서서 양장 지음 윤지영 옮김 슈몽 장세정 기자 zhang@joongang.co.kr 『인생의 끝자락에 서서』는 장편 소설『위성(圍城·포위된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사랑이 있는 교육이 세상을 바꾼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김영삼 정부 때였다. 정계 2인자로 인정받던 김종필을 중심으로 교육계 지도자들이 모였다. 일본과 한국에서 크게 번지고 있는 학원폭력과 청소년들의 반(反)사
-
식당서 “뭐 먹을래” 물어보라…그 답에 팔복, 온유가 있다 유료 전용
━ #궁궁통1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고린도 전서 13장 4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곡을 입혀서 노래로도 많이 불립니다. 사도 바울은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우리 정치에 미래와 희망이 있는가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한때 행동과학 계통 사람들의 주장이 많은 영향을 남겼다. 사람은 주어진 운명을 바꿀 수 있는가. 옛날 그리스 비극작가들은 밖으로부터의 운명은 바꿀 수 없다
-
이란 억류 95일, 韓정부 상대 소송 1년…국제분쟁도 기업 책임?
2021년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되는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 모습. 오른쪽이 이란 혁명수비대가 타고 온 고속정이다. 사진은 나포 당시 CCTV 모습. 송봉근 기자 “정부를
-
연세대, 글로벌 위기 극복 및 해결을 위한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2023) 개최
연세대학교(총장 서승환)는 2월 2~3일(목,금)에 ‘터닝포인트;위기를 기회로’라는 주제로 ‘제5회 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GEEF2023)’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자본주의의 끝없는 진화, 경제의 목표는 휴머니즘 고양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옛날 일이다. 강연을 끝내고 학생들의 질문 시간이 되었다. 한 학생이 “누가 무엇이라고 말하든지, 빈부의 격차가 없는 세상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까”라고 물
-
"예수는 언제 행복했을까…묻지 않는 신앙은 위험합니다" [백성호의 현문우답]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9일 서울 강남의 한 커피숍에서 최원영(68) 작가를 만났다. 그는 2년 전 『예수의 할아버지』라는 장편 소설을 내놓으며 화제가 됐다. 신학계에서 치열하게
-
사찰 문화재 관람료 없어지나…조계종 "궁극적으로 폐지 노력"
대한불교조계종 진우 총무원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총무원 청사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종단 운영 방향을 밝혔다. 대한불교조계종 진우 총무원장은 "서울권에 명상종
-
[김형석의 100년 산책] 도산이 건네는 새해 덕담 “죽더라도 거짓말은 하지 말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나이 때문일까. 해가 바뀔 때마다 “어떤 덕담(德談)이라도”라는 부탁을 받는다. 선배 함석헌 선생은 “욕을 해도 깨닫지 못하면서 무슨 덕담이 필요해”라고
-
[김형석의 100년 산책] 14살 때 죽음 앞두고 올린 기도, 평생 지킨 ‘기도하는 삶’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친구였던 안병욱 교수의 얘기가 생각난다. 인류 역사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아름다웠던 사제 관계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과의 기록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여건이
-
"등본 떼도 당했다"…3493채 '빌라신' 사기, 그뒤엔 '2400조직' [빌라왕 전성시대]
전세 사기를 벌인 혐의로 지난 10월 구속기소된 권모씨는 피해자와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빌라의 신(神)’이라 불린다. 그와 일당이 보증금을 가로챈 것으로 의심되는 전세
-
빌리 그레이엄 라이브러리에 김장환 목사 이름 딴 '빌리 킴 홀' 설립
세계적 복음전도자인 빌리 그레이엄 목사를 기리는 기념도서관에 한국의 김장환 목사(88, 극동방송 이사장) 이름을 딴 ‘빌리 킴 홀(Billy Kim Hall)’이 세워졌다.
-
아기 예수 태어난 동굴 마굿간, 돌 구유...참 낮은 곳이었다 [백성호의 현문우답]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성탄절을 앞두고 이스라엘 땅을 찾았다. 예수가 나고, 자라고, 하늘나라의 뜻을 전하고, 십자가에서 숨진 뒤 부활한 땅. 그곳을 순례했다. 보고 싶었
-
[이상언의 시시각각] 공포의 50년 뒤 미래
이상언 논설위원 “50년쯤 지난 다음에 다시 한번 태어나서 대한민국 국민이 얼마나 행복하고, 보람 있고, 값지게 잘 사나 봤으면 좋겠습니다.” 102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
대진대, 경기도와 함께 제2기 평화통일교육 최고위과정 시행
대진대학교(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와 경기도는 경기도 내 주요 정책결정 참여자들의 평화통일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해 제2기 평화통일교육 최고위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
[이하경 칼럼] 마상(馬上)의 절대자는 민심을 품을 수 없다
이하경 대기자 요즘 중국인들은 장쩌민 주석 시대에 누렸던 표현의 자유를 그리워하고 있다. 두 주일 전 타계한 장쩌민은 재임 중이던 1997년 11월 1일 하버드대에서 유창한 영어
-
“100년을 살아보니 난 65~90세 때 제일 좋았다”
“알라딘 램프의 지니가 한 가지 소원을 묻는다면”이란 독자 질문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50년이 지난 시점에 다시 한번 태어나 대한민국 국민이 얼마나 행복하고 보람 있고 값
-
지니가 소원 1가지 들어준다면? 103세 김형석 지혜의 답은 유료 전용
많은 사람이 인생을 두 단계로 산다. 100년을 살아보니 그렇지 않더라. 인생은 세 단계더라. 내 능력이 다할 때까지 젊게 사는 게 중요하더라. 7일 서울 마포구 에피소드 신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정치인들의 저급 발언, 우리에게 과연 지도층은 있나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최근의 일이다. 내 제자인 고려대 정치학과 한배호 교수가 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20세기 초반에 미국은 그 짧은 기간에 어떻게 국가와 정신의 놀라운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