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석의 100년 산책] 시골 초등학교 교사가 왜 대학교수가 되려고 했나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나는 직장이나 공동체 내 인간관계에는 관심이 없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향 초등학교 교사로 1년간 일했으나 그 학교는 교사가 셋뿐인 가정적 분위기였다.
-
[김형석의 100년 산책] 14살 때 죽음 앞두고 올린 기도, 평생 지킨 ‘기도하는 삶’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친구였던 안병욱 교수의 얘기가 생각난다. 인류 역사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아름다웠던 사제 관계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과의 기록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여건이
-
그리고 두 명만 살아남았다…돈 안 되는 환자들의 비극 [강주안의 시선]
강주안 논설위원 103세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저서 『인생문답』에서 평생 벗이었던 안병욱(2013년 사망ㆍ향년 93세)ㆍ김태길(2009년 사망ㆍ향년 89세) 박사와
-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김형석의 100년 산책]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내가 90까지 살게 되리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그런 욕심을 갖지도 않았다. 두 친구 안병욱·김태길 교수와 같이 열심히 일하자고 뜻을 모았다. 셋이 다 90
-
숭실대학교, 이당 안병욱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 행사 개최
숭실대학교(총장 황준성)는 8월 11일(화) 오후 4시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에서 이당 안병욱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대표적인 지성으
-
추운 겨울 견뎌야 꽃 피우는 화초가 있다, 사람도 그럴까
━ [더,오래] 윤경재의 나도 시인(49) 춘화 현상(春化現象) 화분 하나 보자는데도 건너야 할 게 있다 내 몸보다 꽃의 온도에 마음을 겨누라 한다 서늘하게
-
인순이 “난 노장인줄 알았는데…철들지 않아도 되겠네요”
━ 중앙일보 더, 오래 콘서트 “새로운 인생에 도전하기에 늦은 나이는 없다.” 사건 기자를 하다 요리사가 된 박찬일 셰프. 65세 정년 후 인생환승에 재도전한 김형석 교수
-
사랑을 구하며 논했던 동경대학 학생들이 쓴 화장실 낙서
━ [더,오래] 김길태의 91세 왕언니의 레슨(17) 서울에서 공부하며 한글도 쓰기가 서툰데 영어·불어·독일어·라틴어·중국어를 한꺼번에 배웠다. [중앙포토] 부모님 곁
-
반딧불이 하나가 백두산 밝힐 수 없지만 …
중앙일보와 교보문고가 최근 출간된 신간 중 세 권의 책을 ‘마이 베스트’로 선정했습니다. 콘텐트 완성도와 사회적 영향력, 판매 부수 등을 두루 고려해 뽑은 ‘이달의 추천 도서’입
-
[엊그제 베스트셀러] 초판은 20일 만에 금서, 80년 ‘서울의 봄’ 맞아 증보판 나오마자 불티
우상과 이성(2006년판)리영희 지음, 한길사 『우상과 이성』이 출간되고 20여 일 지난 1977년 11월 23일, 리영희는 치안본부 대공분실로 끌려갔다. 책에 실린 글 24편 가
-
[배영대의 지성과 산책 -『100년을 살아보니』 쓴 김형석 교수] 97세 교수님의 장수 키워드, 조심조심·미리미리
기자가 전화를 했을 때 그는 강연차 마산에 가 있었다. 주말 오후에나 좀 시간이 난다고 했다. 100세 가까이 살고 있으면서도 일주일에 1번 이상 대중 강연을 하며 지내는 김형석
-
[에디터가 만난 사람] (1) “재산? 자기 인격의 수준만큼 갖는 것이 원칙”
새해 정유년이다. 부자이건 가난한 이건 저마다 행복과 건강을 기원한다. 여기 98세의 노년을 ‘젊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 있다. 평생을 가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애써온 사람,
-
[배영대의 지성과 산책] 김형석 “97년 살아보니 더불어 살던 때가 행복했노라”
기자가 전화를 했을 때 그는 강연차 마산에 가 있었다. 주말 오후에나 좀 시간이 난다고 했다. 100세 가까이 살고 있으면서도 일주일에 1번 이상 대중 강연을 하며 지내는 김형석
-
[배영대의 지성과 산책 -『100년을 살아보니』 쓴 김형석 교수] 97세 교수님의 장수 키워드, 조심조심·미리미리
기자가 전화를 했을 때 그는 강연차 마산에 가 있었다. 주말 오후에나 좀 시간이 난다고 했다. 100세 가까이 살고 있으면서도 일주일에 1번 이상 대중 강연을 하며 지내는 김형석
-
세종대, 김형석 교수 초청 “종교는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
세종대(총장 신 구)는 지난 28일 교내 애지헌 교회에서 김형석(97세) 교수를 초청하여‘어떻게 믿을 것인가?’에 대해 특별 강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김형석 교수는 세종대에서 두
-
이 철학잡지, 26년간 살아남은 비결은 …
‘철학의 대중화’를 표방하는 계간지 ‘철학과 현실’이 통권 100호를 맞는다. 본격적인 민주주의와 자유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던 1988년, 부정기적인 무크지로 첫 호가 나
-
[인물로 본 ‘금주의 경제’] 편의점 사업 뛰어든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
신세계그룹이 편의점 업체인 ‘위드미(with-me)’를 인수하면서 편의점 시장에 진출한다. 위드미는 전국에 89개 가맹점을 두고 있다. 신세계의 편의점 사업 진출은 예정된 수순이
-
건국대, 학생과 호흡 '열성파' 베스트 티처
철학과 김도식 교수 한 해 학생 150명과 점심을 하며 2~3시간씩 고민을 들어주는 교수님. ‘멘토왕’이자 ‘힐링 런치’로 건국대에서 유명한 철학과 김도식(49)교수다. 홈페이지에
-
‘표범 점퍼’ 교수님, 학생과 점심 힐링캠프
김도식 건국대 철학과 교수(모자 쓴 여학생 왼쪽)와 학생들이 과단체복인 표피무늬 점퍼를 입고 모였다. 학생들은 김 교수를 “권위적이지 않은 친구 같은 교수님”이라고 입을 모은다.
-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의 ‘12억원 도서관 실험’
지난해 4월 문을 연 성수동 ‘이마트 라이브러리’에서 직원들이 책을 읽고 있다. 사내 도서관이 문을 연 후 자발적인 독서모임 20여 개가 생겼다. [사진 이마트] 정용진 부회장이마
-
[삶과 추억] 김태길 전 학술원 회장 별세
대한민국학술원 회장을 지낸 한국 윤리학의 대가 김태길(金泰吉·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27일 오후 11시 별세했다. 88세. 충북 청주 출생인 고인은 청주고보, 일본 제3고를 거
-
학술원 회장 김상주씨
학술원(회장 김태길)은 11일 정기총회를 열고 김상주(77·사진) 서울대 명예교수를 제32대 회장으로, 박영식(74) 연세대 명예교수를 부회장으로 선출했다. 임기는 다음달 26일부
-
“선동·폭력 시대착오적 … 이제 제자리로
시민사회 및 종교계 원로들이 장기간 지속된 촛불시위로 인한 난국을 수습하고 모두 본연의 자리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송월주 전 조계종 총무원장, 손봉호 동덕여대 총장 등 18명
-
“우리 사회 앞날 밝히는 큰 등불로 … ”
2008년 호암상(湖巖賞) 시상식이 3일 서울 순화동 호암아트홀에서 열렸다. 시상식을 마친 수상자와 가족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과학상 김필립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