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역사의 정치화? 선정적 포르노와 무엇이 다른가
━ 역사는 어디에 있나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전 국민이 일제히 믿는 종교가 없는 곳에서 역사는 종종 종교의 역할을 대신한다. 우리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청산리·봉오동 전투만이 독립투쟁은 아니었다
━ 8·15 78주년, 다시 읽는 광복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다들 바이러스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떤 바이러스가 가장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자아를 찾아 떠난다고? 딱딱하게 굳은 ‘나’부터 돌아보자
━ 여행을 떠나는 당신의 이유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1925년, 이광수는 ‘잊음의 나라로’라는 글에서 떠나는 청년의 입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아아 조선아!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정치는 예술에도 있다, 예술은 현실에 칼집을 낸다
━ 미래 정치인과 대화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학교 선생이라는 직업을 갖고 있다 보니, 진로 상담을 하려는 학생들과 만나게 된다. 일반 공무원이나 기업 취직을 희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청년·가족·인간·미남…새로운 이름을 찾아서
━ 영원한 것은 없다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23년 4월 말 서울 도봉구는 청년 연령의 상한을 39세에서 45세로 상향 조정했다. 이보다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그래도 어쩌다 한 번씩 기적은 일어난다
━ 기적이란 무엇인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사람들은 기적을 바란다. 왜 아니겠는가. 이 삶에서 안식을 얻기가 어려운데, 어딘가 깊은 곳이 상처 입었는데, 그래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아이가 무너졌다? 어떤 행복을 찾을 수 있을까
━ ‘천진한’ 행복, ‘그을린’ 행복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아이가 임신했다. 이 아이는 죽을죄를 진 것일까. 그렇지 않다. 소년 소녀는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고,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신입생들의 자유를 기원한다, 생존 너머를 상상하라
━ 2023년 새 학기, 대학 새내기들에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1980년 서울대 신입생이었던 어떤 이는, 그해 봄을 잊을 수 없다. 쿠데타로 집권한 신군부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어른’ 김장하, 어떤 시민의 일관된 궤적
━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시민사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여기 한 사람이 있다. 김장하라는 사람. 한약방을 하며 번 100억이 넘는 큰돈을 흔쾌히 기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새해 아침 큰 만두를 먹는다, 잠시나마 위대해진다
━ 2023년, 나만의 신년 예식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전보다 더 많은 편의를 누리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전보다 더 작아졌다. 영웅은 역경과 더불어 탄생하는 법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공감하라→분석·종합하라→경우의 수를 상상하라
━ 이해란 무엇인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많은 경우, 이해란 공감을 뜻한다. 그러기에 “난 널 이해해”란 말은 위로가 된다. 누구에게도 공감받지 못해서 외롭던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자에 의한 인문학적 설득
━ 위기의 인문학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이른바 인문학 위기는 이제 상식이 되었다. 현직 대통령이 대선주자 시절 “인문학이라는 건 공학이나 자연과학 분야를 공부하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내게 돈이 많다면…
━ 세상을 바꾸고 싶을 때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내게 돈이 좀 많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가 가끔 있다. 과하게 비싼 소고기를 볼 때 그렇다. 비싼 자료를 발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정신승리란 무엇인가
━ 불편한 현실 수용법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나도 정신승리 좋아한다. 그 어느 곳보다도 집을 좋아하는 나에게, 정신승리는 적성에 맞다. 오늘도 침대 위에서 중얼
-
기후변화·저출산 예산, 잘 쓰이는지 계속 감시해달라
━ 독자위원회, 중앙일보를 말하다 중앙일보 독자위원회 8월 회의는 지난 23일 김준영 위원장(성균관대 이사장) 사회로 진행됐다. 비대면 화상회의였다. 위원들은 지난 한 달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목적이 없어도 되는 삶을 위하여
━ 나는 왜 산책을 하는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나는 산책 중독자다. 나는 많이, 아주 많이 걷는다. 나에게 산책은 다리 근육을 사용해서 이족 보행을 일정 시간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잘 먹고 잘사는 사회를 향하여
━ 세상만사가 깃든 음식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생존과 삶이 다르고, 말싸움과 대화가 다르듯이, 흡입과 식사는 다르다. 제대로 잘 먹는 일에는 온 세상이 달려 있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시간과 더불어 사는 법:비판을 제도화하라
━ 연애하듯 하는 정치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그 어떤 것도 결국 시간과 더불어 지나간다. 분노도, 고통도, 증오도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완전히 사라지지 않더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좋은 의도의 정치
━ 의도란 무엇인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한 정부가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다. 국민에게 주는 고별사나 취임사나, 좋은 의도로 가득하다. 그러나 의도란 무엇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평가란 무엇인가
━ 공정한 평가의 어려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한 정권이 마무리되고 다음 정권이 출발한다. 평가의 계절이 온 것이다. 새 정권은 자기 집권을 정당화하기 위해 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당선인이 받은 선물, 때론 ‘먹튀’도 필요하다
━ 선물이란 무엇인가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관계를 시작하고 싶은가? 선물을 하라. 관계를 지속하고 싶은가? 또 선물을 하라. 관계를 시원하게 말아먹고 싶은가?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좀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 영혼이란 무엇인가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세월이 흘러 지금 이 시대 사람들이 다 죽고 난 먼 미래. 그때도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있다면, 사람들은 이 시기 한국 사회를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2016년 촛불은 정말 혁명이었을까
━ 혁명을 끝내는 법 생각의 공화국 정치혁명, 사회혁명, 산업혁명 등 인류 역사에는 혁명의 시절이 있다. 개인의 삶에도 혁명 같은 순간이 있다. 예컨대, 지금 초로의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자기 통제 통한 변화를 완수했을 때, 곰은 인간이 되었다
━ 호랑이의 해에 생각하는 단군신화 홍석창 화백이 그린 정부 표준 단군 왕검의 영정. [중앙포토] 호랑이 해가 밝았다. 호랑이는 새해 결심 같은 것은 하지 않는다. 호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