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몸과 마음은 하나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심한 고열로 응급실에 다녀와서 처음으로 항생제를 먹고 있는, 어느덧 한 살 반이 된 딸아이의 고통을 체험하면서 현대의학의 필연성을 깊이 느꼈다. 우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조상 숭배의 보편성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어린 시절을 부모님 유학을 따라 미국에서 보내고 초등 4학년 때 귀국한 나는 우리나라에서 제사 지내는 관습이 무척 신기했다. 할머니께 왜 우리는 제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표현의 자유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인수한 세계 최고의 부자 일론 머스크가 반(反)유대주의 발언에 동의한 뒤로 애플·IBM·디즈니 등 주요 기업의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로마의 목욕탕 문화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며칠 전 생일 기념으로 토론토 근처의 유럽 스타일의 대규모 스파에서 한나절을 보냈다. 한국에서 온천과 대중목욕탕에 다니며 자란 덕분에 서양의 ‘스파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헤타이라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법 아래에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고대 그리스 사회의 핵심 사상인 ‘이소노미아(isonomia)’다. 현대 민주주의에서도 지고의 가치로 평가된다.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마이나데스, 디오니소스의 여인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여전사 아마조네스에 이어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또 하나의 특이한 부류의 여인들은 ‘마이나데스’다. 이들은 광기로 가득 찬 디오니소스 신봉자들이다.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아마조네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그리스 영웅에 관한 수업 중에 내가 즐겨 가르치는 주제가 아마조네스(amazones)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특이한 여성 부족 출신으로, 헤라클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전쟁의 허망함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장기간에 걸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무장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면서 대규모 무력 충돌로 치닫고 있다. 하마스의 초기 기습 공격과 그에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성 정체성 소동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최근 캐나다 전역에서 ‘어린이를 위한 백만행진’ 시위가 일어났다. 캐나다를 비롯한 북아메리카 공립 초·중·고에서 채택한 성교육 커리큘럼과 성 정체성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영웅 만들기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얼마 전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캐나다 방문 기념으로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와 함께 의회에 참석했다. 그때 98세 우크라이나 출신의 퇴역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영웅과 죽음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코로나와 출산 휴가를 거치고 3년 만에 강의실에 돌아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영웅들’이라는 제목으로 120여 명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마주 보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문화재 ‘테러’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2015년 중동 무장 테러단체가 고대 유물을 무자비하게 파괴하는 동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다. 문화재와 예술품을 존중하는 서양인의 감수성을 공격한 사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문화재와 범죄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학생 시절 뉴욕 메트로폴리탄 전 박물관장인 디에트릭트 폰 보트머 밑에서 아르바이트하고 있을 때였다. 관장이 점심 먹으러 간 사이에 양복을 점잖게 빼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엘긴 마블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최근 영국박물관(브리티시 뮤지엄)에서 소장품 2000여 점이 오랜 기간에 걸쳐 도난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더욱 놀라운 건 주요 용의자가 박
-
주유소도 날려버렸다… '풍속 200km' 허리케인 플로리다 강타 [영상]
한때 순간 풍속이 시속 200㎞를 넘긴 대형 허리케인 이달리아가 30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와 조지아주 일대를 강타해 최소 3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허리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담나티오 메모리아이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토론토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는 라이어슨 대학이 지난해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는 캐나다의 공립학교 시스템 창립자인 에거튼 라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블루와 그린 색깔의 역사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북미 생활을 하면서 가끔 영어로 실수하는 것이 있다. 신호등 불이 파랄 때 “It’s blue (파란색이야)!”라고 외치면 친구들이 이상하게 쳐다본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진보라는 패러독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기록을 깨는 무더위와 예상치 못한 폭우가 이어진 올여름이다. 한반도뿐 아니라 슬로베니아 등 중부 유럽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는 소식이다.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한국은 길을 참 잘 만드는 나라다. 어느샌가 금방 엄청난 길들이 뻥뻥 뚫려 있다. 길이 너무 많이 생겨 고국의 산하가 다 망가지면 어쩌나 하는 염려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재난사태와 국가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한국이 수재로 엄청난 피해를 보았다는 소식을 듣고, 재난 상황을 대비하고 복구하는 정부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봤다.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기관인 ‘FE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오리? 아니면 토끼?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어느덧 14개월 된 딸이 요즘 온갖 동물 그림에 빠져 하나하나 손가락질하며 물어본다. 돼지 그림을 보면 “꿀꿀”, 코끼리가 보이면 “뿌우웅”, 말을
-
“졸업 후 연봉으로 대학 평가”…英 총리가 '칼' 빼든 이유
영국 정부가 취업 성과가 낮은 학과의 모집 정원을 줄이는 등 강도 높은 대학 구조조정안을 내놨다. 졸업 후 연봉을 평가 기준으로 삼아 '자질 미달(low quality)' 학과를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서구 고등교육의 산실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서양 고등교육의 시초라 하면 보통 11세기에 창시된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이나 영국 옥스퍼드 대학을 언급하지만, 그 근원은 훨씬 더 오래전인 고대 그
-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고등교육:미국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미국은 하버드·스탠퍼드·MIT 등 15개의 대학이 세계 랭킹 20위권에 속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많이 유학 가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