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에서 감동 느껴본 게 언제인가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어제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빅데이’라는 표현이 쓰였다. 국회에서 큰일이 벌어진다는 의미였는데, 제1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과 내각 수반인 국무총리에 대
-
쌈박질 거대 양당, 선거 기득권 사수는 한몸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였다.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도를 놓고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방안 이야기다. 선거제 개편 협상은 양당
-
‘국가 동원령’이란 이름의 꼰대 문화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한 코미디 프로그램에 ‘MZ 오피스’ 시리즈가 있다. 요즘 직장 모습을 과장해 보여주는데, ‘맑눈광’이 등장한다. ‘맑은 눈의 광인’을 줄인 말이다. 배우 김아영
-
[김성탁의 시선] 잦아진 ‘직을 걸겠다’ 해석하면 ‘총선 출마’?
김성탁 논설위원 최근 정부 장관들 사이에서 “직을 걸겠다”는 말이 자주 나오고 있다. 무엇인가 걸겠다는 용어는 대개 도박에서 쓰인다. 영화를 보면 가진 돈을 한판에 전부 거는 ‘
-
불체포 특권, 말로만 ‘포기’ 실효 없어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불체포 특권’ 포기를 선언하면서 이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불체포 특권을 둘러싼 논란은 과거에도
-
학폭 피해 지원기관 신설, 그 안에 빠진 것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정부·여당이 학교폭력 피해자의 치유·회복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국가 차원의 기관을 만들겠다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국민의힘 교육위
-
절박한 쪽이 이길텐데, 어디일까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됐던 2002년 대선 당시의 일이다. 대선을 하루 앞둔 12월 18일 밤, 새천년민주당 노 후보와 단일화를 선언했던 정몽준 국민통합21 후
-
민주당에 드리운 '이정근 노트' 먹구름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거기 해야 돼, 오빠. (효과가 있든 없든) 오빠 호남은 해야 돼.” “관석이 형이 ‘의원들은 좀 줘야 되는 것 아니냐’ 나한테 그렇게 얘기하더라고.” “성만이
-
‘조선 제1혀’ 한동훈과 정치인의 길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요즘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한 표현이 화제다. “정말 말싸움 하나는 잘한다. 그런 능력이 저도 부럽다. 일부 언론이 ‘조선 제1검’이라고 평가하는데, 편파 수사
-
‘주 69시간’ 논란이 알려주는 것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5년만 버티면 된다’가 아니라 ‘1년만 버티면 된다’가 됐습니다.” 최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 포럼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이 한 말이다. 대선이 5년마다 치
-
‘윤 사단’ 검사들, 50억 클럽 수사 언제 하나 [김성탁의 시선]
김성탁 논설위원 “과거 어떤 사건 수사할 때는 박수 치시고 잘하고 있다고 하시던 분들이 이젠 ‘정치 검찰’이라 하시니 마음이 안 좋습니다.”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정치자금
-
MZ 다음 알파세대, 그들 세상은 행복할까 [김성탁의 시선]
━ '내가 주인공' 초등학생 세대 김성탁 논설위원 최근 출근길 라디오에서 새로운 세대 얘기를 들었다. MZ세대에 이은 알파(α)세대다. 1980~90년대 태어나 30~40
-
[김성탁의 시선] '하루이틀삼일사흘’ '하드캐리하길'
━ 사흘이 4일? 또 번진 문해력 논란 김성탁 논설위원 ‘난 안 심심한데. 진심이라면서 '심심한 사과'라니….” 몇 달 전 마음이 간절하다는 표현을 지루하다는 단어와 헷갈
-
[김성탁의 시선] 민주당에는 왜 '유승민'이 없나
━ '친윤' 주도 전대룰 논란 거세지만 ━ '반윤' 유승민, 중도층 묶는 효과도 김성탁 논설위원 최근 여러 여론조사 기관이 추가해 조사하는 항목이 있다. 국민의
-
[김성탁의 시선] 여야만 바뀐 데칼코마니 대립
김성탁 논설위원 “민생이 어려울 때 야당이 전혀 책임지지 않는 자세,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모습은 굉장히 국민에게 염치없고 무책임하다.” 이듬해 예산안 처리와 관련한 정치인의
-
[김성탁의 시선] 진짜 웃기고 있다
김성탁 논설위원 “장관 강령에 의회를 잘못 이끌면 사의를 표하게 돼 있는데, 본인에게도 적용되나.”(키어 스타머 영국 노동당 대표) “물론이다. 하지만 수사에 대한 질문이라면 답
-
[김성탁의 시선] 노인 1인 가구 시대…걸을 수 있어야 산다
김성탁 논설위원 ━ 30년 후 가구 20% 노인 혼자 산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장례가구추계’ 자료는 2050년 국내 10가구 중 4가구가 1인 가구일 것으로 예측했다
-
[김성탁의 시선] 정치 싸움에 말려들면 진짜 ‘개·돼지’ 될 수도
김성탁 논설위원 최근 저녁 자리에서 가슴 아픈 얘기를 들었다. 스타트업 기업이 생명줄과 같은 개발자들을 내보내고 있다고 했다. 월급을 주기 어려울 정도로 사정이 어려워져서다. 투
-
[김성탁의 시선] 툭 내뱉은 SKY·특목고·대기업 지방 이전
김성탁 논설위원 ━ 이상민, 부처 협의 없이 '임기내 추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기업 3~5곳과 주요 대학, 특수목적고의 지방 이전을 윤석열 정부 임기 내 추진하겠
-
[김성탁의 시선] 여소야대라는 냉정한 시험대
김성탁 논설위원 “당선되더라도 2년 내내 야당과 싸우게 될 겁니다. 그러다 2024년 총선에서 다행히 다수당이 된다면 남은 3년 간 해보고 싶은 것 좀 해볼 수 있겠죠.” 지난
-
[김성탁의 시선] 보수의 품격은 어디 갔나
김성탁 논설위원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취임 3년 만에 최근 물러나기로 했다. 명문 이튼 스쿨을 거쳐 옥스퍼드대 토론클럽 회장을 지낸 그는 런던시장 시절 공공주택 보급 등 성과
-
[김성탁의 시선] 민주당, 반사이믹만 노린다면 침몰 깊을 뿐
━ 대통령 지지 빠져도 야당은 제자리 ━ 당 대표 선출 앞두고 계파 갈등만 ━ '먹고사니즘' 시대 새 가치 찾아야 김성탁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
[김성탁의 시선] 반도체 인력난, 대학 학과 구조조정으로 풀자
김성탁 논설위원 서울 한 사립대의 영어영문학과 정원은 100명가량이다. 30년 전 정원에서 큰 변화가 없다. 이 대학에는 최근 반도체 등 차세대 산업 관련 학과가 새로 생겼다.
-
이재명 “박지현 논란 잘 몰라”…진중권 “무책임한 회피 실망”
이재명 진중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이 박지현 비대위원장의 ‘대국민 사과’와 ‘586용퇴론’ 등으로 당 내 갈등을 겪고 있는 것과 관련해 “잘 모른다”고 말했다. 그러